이 연구는 도핑된 폴리아닐린(PANI)이 있는 폴리스티렌(PS)의 새로운 코어-쉘 나노복합체의 합성 및 조사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15~30nm 크기의 PS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는 수성 매질에서 스티렌의 미세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되었습니다. PS/PANI 나노복합체는 도펀트와 가소제 모두의 역할을 하는 LSA(라우릴 황산)의 존재 하에 PS 라텍스 매체에서 아닐린의 화학적 산화 중합에 의해 합성되었습니다. 합성된 나노복합체에서 PANI의 실제 함량은 UV-Vis 분광법으로 측정하였다. 나노복합체의 조성과 도핑된 폴리아닐린의 산화 상태를 FTIR 분광법으로 특성화하였다. 나노복합체 나노입자의 코어-쉘 형태는 투과전자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증명되었다. 이러한 나노복합체의 공기 중 전도도 및 열 거동은 도핑된 폴리아닐린 함량에 비선형적으로 의존할 뿐만 아니라 산-도펀트의 가소화 특성과 폴리아닐린 쉘의 존재 모두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나노복합체를 센서 재료로 응용할 가능성이 입증되었습니다.
섹션> <섹션 데이터-제목="배경">
배경
폴리아닐린(PANI)은 고유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 높은 안정성, 저렴한 가격 등을 갖고 있어 마이크로 및 광전자, 센서 및 전기 변색 장치와 같은 다양한 하이테크 분야에서 다기능 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 배터리, 슈퍼커패시터 등 [1, 2]. PANI의 가공성 및 적용성은 다양한 제품으로 쉽게 형성될 수 있는 용해성 또는 용융성 일반 중합체와 함께 복합재 또는 나노복합체에 사용하면 크게 향상될 수 있습니다[3]. 이러한 물질의 다양한 제조 방법 중 아닐린을 수성 산성화 라텍스 또는 나노 입자 또는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다른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서로 다른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중합체로 안정화됨)에서 산화 중합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가장 효과적인 접근 방식[3]. 이 접근법은 코어가 폴리머(나노) 입자이고 쉘이 PANI로 형성되는 코어-쉘 유형의 다기능 복합재 또는 나노 복합재를 얻을 수 있게 해줍니다[3,4,5,6,7,8,9,10]. 코어-쉘 형태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닐린은 첨가된 산-도펀트, 일반적으로 HCl(예:[8, 10])과의 아닐린 상호작용으로 인해 라텍스 매질에 나타나는 염으로 중합되거나 상업적으로 사용됩니다. 아닐린 염산염(예:[4, 7]). 많은 경우에 라텍스 중합 매체의 안정성은 비이온성 또는 이온성 안정화 첨가제(더 자주는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라우릴 설페이트(SDS/SLS)[3,4,5,6,7,8,9, 10]). 그러나 이러한 재료를 준비하는 대체 방법이 개발되었습니다. 이 방법은 계면활성제, 가소제 및 산 도펀트의 특성을 통합하는 표면 활성 산(예:도데실벤젠설폰산--DBSA)을 사용하므로 위에서 언급한 추가 HCl 또는 기타 산 도펀트의 사용을 피할 수 있습니다[11, 12].
다양한 유기 또는 무기 표면(유리 또는 석영, 폴리머 필름, 섬유 등) 및 미시(폴리스티렌 라텍스, 실리카 또는 티타니아, 폴리머 입자 등) 표면에 PANI 층 또는 쉘 형성의 기계적 측면 (템플릿)은 일반적으로 사전 흡착/그래프팅된 음이온/작용기의 음전하를 갖는 표면에서 양전하를 띤 아닐리늄 양이온의 제자리 흡착 중합의 관점에서 주로 많은 간행물에서 논의되었습니다 [13,14,15,16,17] . 흡착된 아닐리늄 양이온은 산화제-개시제를 첨가한 직후 중합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당연히, 비흡착 아닐리늄 양이온도 중합 과정에 관여하고 양전하를 띤 올리고머 및 중합체 분자를 형성하여 동일한 표면에서 침전/흡착하여 PANI 쉘 두께를 증가시킵니다.
대안적인 접근 방식에서는 아닐린 단량체를 먼저 폴리스티렌(PS) 라텍스에 첨가하고 3일 동안 PS 코어 입자에 의해 중성 형태로 흡수되었습니다[9]. 산화제-개시제(과황산암모늄, APS)를 첨가하면 입자 계면에 전도성 폴리아닐린 막이 형성되고 두 시약이 분리됩니다. 전자는 폴리아닐린 막을 통해 아닐린 분자에서 산화제 분자로 전달되며, 따라서 폴리아닐린으로 라텍스 입자의 고전적인 코팅에서 얻은 위에서 언급한 코어-쉘 형태와 대조적으로 폴리아닐린은 PS 라텍스 입자 내부로 점진적으로 침투한다[9]. 이 접근법의 또 다른 변형에서는 PS 입자를 중성 아닐린 단량체로 12시간 동안 팽윤시킨 후 APS와 염산을 반응 매질에 첨가했습니다[18]. HCl을 첨가하면 입자에서 방출된 아닐린 분자가 아닐리늄 양이온으로 변형되었으며, 이는 APS를 사용한 화학적 산화에 의해 중합되었습니다. 형성된 PS/PANI 합성물의 명확한 core-shell 구조는 이 경우에 확인되었다[18].
PS는 우수한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 기계적 특성, 생체 적합성 등으로 인해 코어 폴리머 구성 요소와 같은 재료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특정 응용 분야의 (나노)복합체에 매우 적합한 크기의 입자입니다. 예를 들어, 도핑된 PANI로 코팅된 미크론/서브미크론 크기의 PS 입자는 정전기 가속기에 사용되어 하전 입자를 초고속[20] 또는 전기유변학적 유체[21] 등으로 가속할 수 있었습니다. 다른 코어-쉘(나노)과 유사합니다. 합성물 [22] PS/PANI는 분명히 감지 응용 분야에 대한 잠재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아는 한 PS/PANI 코어-쉘(나노) 합성물을 감지 재료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톨루엔에 용해된 PS를 캄포설폰산으로 도핑된 PANI 입자와 혼합하면 암모니아에 민감한 복합 필름의 형성에 적합한 분산물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3]. 흥미롭게도, 이들 혼합물은 기체 암모니아에 대해 상당히 높은 반응을 나타내었지만, 즉 (ΔR /R0 ) × 100 ~ 73% at 20 ppm, 더 높은 농도의 암모니아에 대한 반응은 크게 다르지 않았고 100 ppm에서 최대 ~ 90%에 불과했습니다([23]의 그림 11). 이 약한 반응 농도 거동은 이러한 혼합물의 용액 준비로 인해 민감한 PANI 클러스터의 일부만 분석물 분자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다른 부분은 감지 물질에 일부 확산 제한을 부여하는 PS 매트릭스에 의해 스크리닝됨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비스크린 PANI 표면을 가진 PS/PANI 코어-쉘 복합 재료가 용액 준비된 혼합 재료와 비교하여 향상된 감지 거동을 가질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23].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 연구는 주로 라우릴 황산(LSA)이 도핑된 PANI와 PS 나노입자의 새로운 코어-쉘 나노복합체의 합성과 실질적으로 중요한 특성(형태, 화학 구조, 전도도, 열안정성)에 대한 조사에 집중되었습니다. . 감지 재료로서의 가능성도 평가되었습니다. LSA 선택은 주로 세 가지 전제 조건을 기반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PANI 쉘 합성 단계에서 사용되는 LSA는 (2) 반응 매질[24, 25]을 산성화하는 표면 활성 기능화된 양성자산-도펀트로서 수행할 수 있으며, (3) 아닐리늄 염을 형성합니다(즉, 표면 활성 반응성 단량체 또는 서머) 나노 크기의 PANI 껍질 및 구조 형성을 촉진합니다[25, 26].
섹션>
방법
자료
아닐린(Merck) 및 스티렌(시약 등급, 우크라이나)을 진공 증류하고 아르곤 하에 3–5°C에서 보관했습니다. 산화제 과황산칼륨(KPS)(우크라이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SLS, 동의어로 도데실황산나트륨--SDS, Aldrich)은 시약 등급이었고 추가 정제 없이 사용되었습니다. KU-2-8 수지(우크라이나)와의 이온 교환 반응을 통해 SLS로부터 라우릴 황산(LSA)을 제조했습니다.
PS 라텍스 준비
PS 나노입자 라텍스는 다른 곳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스티렌의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되었습니다[27]. 간단히 말해서, 스티렌은 다음과 같이 산화제-개시제 KPS가 있는 SLS의 미셀 수용액에서 중합되었습니다. 2g의 스티렌을 0.01g의 NaH2의 격렬하게 교반된 용액에 1.5시간의 기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했습니다.> PO4 , 0.2g SLS 및 0.01g KPS를 아르곤 대기에서 70°C의 물 10ml에 녹입니다. 혼합물을 70°C에서 추가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90°C에서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했습니다. 최종 중합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48시간 동안 증류수에 대해 MWCO 3500Da를 사용하여 셀룰로오스 막을 통한 투석으로 정제했습니다.
PS/PANI-LSA 나노입자의 제조
PS 라텍스의 아닐린 중합은 반응 혼합물 성분의 다음 비율에서 [28, 29] 다른 곳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되었습니다:아닐린/LSA =1/1.5(mol/mol) 및 아닐린/산화제 =1/1.25 (mol/mol) at 10°С. 중합 혼합물에서 아닐린 대 PS 나노입자의 초기 중량비는 1-10wt% 범위의 최종 나노복합체에서 예상되는 이론적인 탈도핑된 폴리아닐린 양에 의해 미리 결정되었습니다. 즉, 중합 혼합물 제조의 첫 번째 단계에서 계산된 양의 산을 표적 PS 라텍스 부분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이 산성화된 PS 라텍스에 계산된 양의 아닐린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아닐리늄 염이 완전히 형성되도록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제조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10℃로 냉각시켰다. 세 번째 단계에서 10°C로 미리 냉각된 증류수 KPS 용액의 계산된 양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한 다음 10°C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했습니다. 아닐린 중합이 완료된 후 수득된 PS/PANI-LSA 라텍스를 3일 동안 증류수에 대해 셀로판 막을 통한 투석으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나노복합재를 주변 조건에서 분말 상태로 시각적으로 건조시킨 후 일정한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 하에 60°C에서 건조했습니다. 참조 순수 PANI-LSA 샘플은 PS 나노입자가 없는 수용액에서 동일한 조건에서 합성되었습니다.
특성화
합성된 나노복합체의 실제 PANI 함량은 분광광도계 Cary 50(Varian)을 사용하여 N-methyl-2-pyrrolidone(NMP)에서 용액의 UV-Vis 분광분석에 의해 [29]와 유사하게 결정되었습니다. 요컨대, 첫 번째 단계에서 건조 나노복합재는 일반적으로 0.3wt% 암모니아 수용액에서 24시간 동안 탈도핑된 다음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일정한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60°C에서 진공 건조했습니다. 두 번째 단계에서 탈도핑된 분말 나노복합체의 고정된 부분을 NMP에 용해시키고 NMP의 아스코르브산 용액과 혼합하여 류코메랄딘 염기(LB, PANI의 완전 환원형)를 얻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 LB 농도는 이전에 준비된 보정 곡선을 사용하여 343nm에서 1mm 석영 큐벳에서 이 용액의 UV 흡수로부터 계산되었습니다. 네 번째 단계에서 이 LB 농도는 나노복합체에서 실제 탈도핑된 PANI 함량에 대해 다시 계산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후자의 함량을 사용하여 이 PS/PANI-LSA 나노복합체에서 도핑된 PANI-LSA 함량을 추정했습니다. 이 최종 재계산은 [28, 29]와 유사하게 PANI에서 LSA와 이민 질소의 이론적인 화학량론적 비율, 즉 PANI:LSA =1:0.5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28]에 따라 이 재계산의 단순성과 명확성을 위해 LSA만으로 완전한 PANI 도핑을 가정했습니다. 합성된 나노복합체의 조성과 표기법은 표 1과 같다.
그림>
PS/PANI-LSA 나노복합체의 푸리에 변환 적외선(FTIR) 스펙트럼과 KBr이 있는 펠릿의 순수한 PANI-LSA 샘플은 1cm
−1
의 분해능으로 기록되었습니다. Bruker Vertex 70 분광계 사용.
투과 및 주사 전자 현미경(TEM 및 SEM) 이미지는 각각 JEOL JEM-1400 및 Hitachi S4800 현미경으로 얻었다. TEM 측정을 위한 샘플은 2μL의 샘플 수분산액을 탄소 또는 Formvar 코팅된 200메시 구리 그리드에 15분 동안 배치한 다음 여과지로 분산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여 준비했습니다. SEM 측정용 샘플은 투석된 순수 PS 또는 나노복합체의 수분산액 5μl를 유리판에 떨어뜨려 준비했습니다. 건조된 샘플은 얇은(~ 7nm) 금층으로 스퍼터 코팅되었습니다.
합성 물질의 열 안정성은 가열 속도가 10°C/min인 MOM Q-1500 D(Paulik-Paulik-Erdey) Derivatograph 시스템을 사용할 때 공기 중 샘플의 열중량 분석(TGA)으로 연구했습니다.
합성된 나노복합체의 전도성 특성을 특성화하기 위해 2분 동안 5 MPa(SPECAC 프레스 사용)에서 240°C의 압축 성형 기술과 아래에서 제조된 3% 분산액을 유리판에 주조하여 분말을 필름으로 가공했습니다. 초음파 처리.
합성된 PS/PANI-LSA 나노복합체의 유해가스에 민감한 물질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전도성이 높은 나노복합체 NC15를 사용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합성된 순수 PANI-LSA와 특성을 비교하였다. 암모니아 농도가 19~152ppm 범위인 암모니아-공기 혼합물이 분석물질로 사용되었습니다. 민감한 요소는 다음과 같이 준비되었습니다. 용매에서 나노복합체의 초음파 처리된 분산액의 1μL 부피(2% w /v )은 유리-세라믹 기판에 형성된 서로 맞물린 금 전극의 미니어처 시스템에 드롭 캐스트되었습니다. 형성된 감지 요소를 60°C에서 30분 동안 건조한 다음 다른 곳에서 설명한 기밀 테스트 챔버에 설치했습니다[30]. 준비된 암모니아-공기 혼합물을 이 챔버에 주사기로 주입했습니다. 이러한 요소의 센서 응답(SR)은 주변 온도 및 상대 습도 약 50%에서 기록되었으며 저항 R의 상대 변화로 결정되었습니다. 방정식에 따라 분석물에 노출된 센서의 SR =[(R -R0 )/R0 ] × 100%, 여기서 R 샘플 저항, R0 초기 저항값입니다.
섹션>
결과 및 토론
합성된 PS/PANI-LSA 나노복합체의 형태
TEM 이미지(그림 1a)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된 합성 방법을 사용하면 15-30nm 범위에서 매우 작은 크기의 구형 PS 나노입자를 합성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아는 한, 이 PS 나노입자는 가장 낮은 PS 나노입자 중 하나입니다.
<그림>
TEM(a –f ) 및 검색엔진 마케팅(g –오 ) 순수 PS 및 PS/PANI-LSA 나노복합체의 이미지:a , 지 - 순수한 PS; ㄴ , h - NC2; ㄷ , 나 - NC3; d , m - NC6; 이 , n - NC11 및 f , 오 - NC15
그림>
중합 후 분리된 PS/PANI-LSA 나노 입자의 TEM 이미지는 PANI-LSA 함량에 따라 크기가 증가함을 보여줍니다(그림 1b-f). 이 효과는 PS 나노입자의 코어와 PANI-LSA의 쉘을 갖는 이들 나노입자의 코어-쉘 형태를 시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기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나노 복합재(NC2, NC3, NC6)에서 PANI-LSA 함량이 낮은 경우 얇은 PANI-LSA 껍질을 시각적으로 구별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그림 1b-d). 이 문제는 두 구성 요소의 폴리머 특성과 이러한 쉘의 느슨한 구조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후자는 차례로 소형 PANI-LSA 쉘의 형성을 방해하는 도펀트 음이온의 큰 크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NC11, 특히 NC15에서 더 높은 PANI-LSA 함량에서 불규칙한 껍질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그림 1e, f).
나노복합체 입자의 매우 넓은 크기 분포에도 불구하고(그림 1b-f), 우리는 대략적으로 껍질 두께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PANI-LSA 함량이 가장 낮은 NC2(표 1)는 모체 PS와 유사한 약 15nm 크기의 나노입자를 포함하지만 TEM 이미지(그림 1b)에서 최대 40nm 크기의 나노입자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는 아마도 표면에 최대 10nm 두께의 PANI-LSA 껍질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NC3의 경우 15nm 나노입자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최대 10nm의 쉘 두께를 갖는 30~40nm 나노입자의 수가 크게 증가했습니다(그림 1c). 이 경향은 NC6 나노 입자에서 강화됩니다(그림 1d). NC11 및 특히 NC15의 TEM 이미지는 약 25-50nm 범위에서 크기가 증가된 나노입자를 표시합니다(그림 1e, f). 불규칙한 모양의 반점의 존재는 더 높은 함량으로 인해 이러한 나노복합체에서 별도의 PANI-LSA 상이 나타남을 시사합니다. 또한 NC15 이미지를 통해 두께가 10–20nm인 불규칙한 PANI 쉘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SEM 이미징을 위해 모 PS 라텍스를 세척하고 준비한 후("특성화" 섹션 참조) PS 나노입자는 2~5개 이상의 초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30~150nm 범위 이상의 크기를 가진 덩어리를 형성했습니다(그림 2a). 1g). 표면 활성 LSA가 있는 라텍스 매질에서 아닐린 중합은 상황을 변경했습니다(그림 1h-o). 따라서 가장 낮은 PANI-LSA 함량(1.84wt%)에서 NC2 이미지에서 표면이 매우 매끄러운 약 400~500nm 크기의 크고 불규칙한 개체를 볼 수 있습니다(그림 1h). PANI-LSA 함량이 증가한 NC3의 경우(3.01wt%) 개체는 약 100~300nm 범위에서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경향은 NC6에서 더 높은 PANI-LSA 함량(5.85wt%)에서 강하게 강화됩니다. 특히 SEM 이미지는 최대 150nm 크기의 소수의 개체뿐만 아니라 40~100nm 범위의 크기를 가진 불규칙한 덩어리를 보여줍니다(그림 1m). NC11 및 NC15의 SEM 이미지(그림 1n, o)는 샘플 형태의 추가 발달, 즉 가장 높은 PANI-LSA 함량으로 인해 이러한 나노복합체의 정성적 및 정량적 변화를 각각 11.27 및 14.82wt%로 보여줍니다. 특히, 평평한 NC11 샘플 표면에서 주로 약 25-50nm 범위의 크기를 가진 상당히 조밀하게 포장된 덩어리를 볼 수 있는 반면, NC15 샘플의 경우 "포도 뭉치"로 배열된 25-50nm 덩어리를 잘 구별할 수 있습니다. 형태가 관찰됩니다(그림 1n, o). 이 형태는 다른 나노복합체에 비해 NC15의 더 높은 비표면적을 시사합니다.
일반적으로 TEM 및 SEM 측정은 세척 후 순수한 PS 나노입자가 덩어리지는 경향이 있지만 나노복합체 NC2 및 NC3에서 낮은 함량의 PANI-LSA가 이러한 덩어리를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효과는 PS 코어의 양으로 하전된 PANI 껍질 주변에 국한되어 나노입자를 분리하는 전하 보상 큰 LS' 음이온의 표면 활동에 할당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황은 보통(NC6), 특히 높은(NC11 및 NC15) PANI-LSA 함량에서 반전되어 PS 코어 주위에 상당히 두꺼운 PANI-LSA 껍질의 형성을 분명히 촉진합니다. 이에 따라 LS
¯
를 보상하는 전하량 양전하를 띤 PANI 껍질 주변과 내부의 음이온은 NC2 및 NC3 케이스에 비해 높아집니다. 필연적으로, 긴 도데실 꼬리를 가진 이러한 양친매성 음이온은 시스템에 존재하는 분자간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NC2 및 NC3에서 위에서 언급한 경향보다 더 강할 것이며, 차례로 NC6, NC11 및 NC15 나노입자의 관찰된 응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FTIR 측정
합성된 폴리머의 구조는 FTIR 스펙트럼을 통해 특성화됩니다. 특히, 그림 2에서 볼 수 있듯이 PS의 FTIR 스펙트럼은 3025cm
-1
에서 최대 피크를 갖는 방향족 C-H 신축 진동의 5가지 특성 피크를 포함합니다. [31]. 메틸렌기의 CH 신축 진동의 피크는 2920 및 2850cm에서 발생합니다.
−1
. 방향족 C=C 신축 진동의 4개 밴드가 1601, 1583, 1492 및 1452cm
−1
에서 관찰됩니다. . 756 및 697cm의 매우 강한 밴드
−1
는 각각 CH 면외 진동과 링 면외 변형에 할당될 수 있습니다[31]. 이 밴드는 일치환된 방향족 그룹의 존재를 확인합니다.
<그림>
PS(1), PANI(2) 및 PS/PANI-LSA 합성물의 FTIR 스펙트럼:NC3(3), NC3(4), NC3.5(5), NC11(6), NC15(7). PS 및 PANI-LSA의 주요 특징 피크는 빨간색 점선으로 표시됩니다. 및 파란색 선 , 각각. 모든 표시는 텍스트에서 논의된 빈도에 해당합니다.
그림>
차례로, PANI-LSA의 FTIR 스펙트럼은 공개된 데이터와 잘 일치합니다[32,33,34]. 1565, 1492, 1294, 1133, 818cm의 일반적인 밴드를 포함합니다.
−1
퀴노이드 고리, 벤젠 고리, 2차 방향족 아민의 C–N 신축, B–NH
+
의 진동 모드의 신축 진동에 할당 =질문 구조, 각각 1.4-링의 면외 굽힘 CH. 3l00–3500cm
−1
영역에서 매우 약한 NH 신축 진동과 같은 일부 기능 , PANI가 도핑된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B–NH
+
=질문 1133cm의 밴드 강도
−1
이 PANI-LSA의 도핑 수준이 상당히 낮음을 시사하는 매우 약합니다[34].
약 1180cm의 뚜렷한 밴드
−1
(그림 2 및 3b, 곡선 1) S=O 신축 진동[31]에서 유래하는 것은 합성된 PS 나노입자가 PS 나노입자의 합성 조건으로 인해 분명히 존재하는 라우릴 황산 음이온을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방법 부분 참조). 더욱이, 이러한 음이온의 과량은 최종 PS/PANI-LSA 합성물에서 분명히 관찰됩니다. 따라서 그림 3a(곡선 2)에서 알 수 있듯이 PANI-LSA의 방향족 고리와 메틸렌기의 C-H 신축 진동은 매우 약하다. 따라서 NC15 스펙트럼에서 PS 스펙트럼을 빼면 메틸렌기의 CH 신축 진동의 강한 밴드가 나타납니다(3025cm
-1에서 밴드 높이로 정규화한 후). )(그림 3a, 곡선 4)는 분명히 별도의 SLS 단계에 할당될 수 있습니다.
<그림>
PS 나노입자(1), PANI-LSA(2) 및 NC15(3)의 FTIR 스펙트럼:a 스펙트럼 4는 NC15 스펙트럼에서 정규화된 PS 스펙트럼을 뺀 결과입니다. b 스펙트럼 4는 PS 스펙트럼의 합입니다(3025cm
−1
에서 NC15의 밴드 높이로 정규화됨). ) 및 PANI-LSA 스펙트럼(1560cm
−1
에서 NC15의 밴드 높이로 정규화됨) )
그림>
나노 복합재에서 PANI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NC15의 스펙트럼을 모델 스펙트럼과 비교했습니다(그림 3b, 이에 따라 곡선 3 및 4). 마지막은 PS 및 PANI-LSA 스펙트럼 기여도의 합입니다. 특히 PS 기여도는 3025cm
−1
에서 NC15의 밴드 높이로 정규화된 PS 스펙트럼입니다. (여기서 PANI-LSA 흡수는 매우 약함), PANI 기여도는 1560cm
−1
에서 NC15의 밴드 높이로 정규화된 PANI 스펙트럼입니다. (PS 흡수가 없는 경우). 도핑된 PANI 밴드는 약 1580 및 1490cm
−1
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각각 quinoid 및 benzenoid 고리에서 주요 기여를 합니다[32,33,34]. 이 밴드의 강도 비율은 PANI의 화학 구조에 민감하므로 모델 스펙트럼과 비교하여 NC15의 스펙트럼에서 벤조노이드 단위에 대한 퀴노이드 고리의 우세는 PANI-LSA 상의 산화 정도를 증명합니다. nanocomposite은 순수한 PANI보다 높습니다. 또한 방향족 C=C 신축 진동의 PS 밴드가 1601 및 1583cm
−1
에서 진동함을 알 수 있습니다. NC15 스펙트럼에서 확장되고 더 낮은 파장으로 약간 이동합니다. 이 이동은 아마도 PANI와 PS 사이의 π–π 상호 작용을 나타냅니다. 1133cm
−1
에서 NC15 밴드의 강도 이 나노복합체에서 순수한 PANI와 비교하여 PANI 상의 더 높은 전도도를 나타내는 모델 스펙트럼보다 상당히 높습니다.
열 안정성
최근에, PANI 함량이 상당히 낮은 폴리카보네이트(PC)의 마이크론 크기 미립자 코어-쉘 폴리머-폴리머 복합체에 대해 표시되었습니다(~ 2 wt%의 PANI 염기 또는 다른 방향족 술폰산으로 도핑된 경우 3.5-5.0 wt%). -dopants) 도펀트의 존재는 열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35]. 도펀트의 방향족 고리에 있는 알킬 치환기에 따라 합성물은 가소화하는 큰 도펀트 음이온 및/또는 PC 사슬이 있는 열 방출 도펀트 분자[35]. 그러나 쉘의 PANI가 일반적으로 탈도핑(기본) 상태인 500°C 이상의 온도에서는 복합재 안정성이 PC보다 높았습니다. 이 효과는 코어-쉘 합성물에서 코어 재료의 표면에 쉘로 위치한 PANI의 특정 상태와 PANI 쉘에 의한 PC 코어 입자의 안정화 가능성에 할당되었습니다[35, 36]. 이러한 가능성과 나노복합체 형태에 기초하여, 우리는 PANI 쉘 안정화 효과가 다른 폴리머-PANI 코어-쉘 나노복합체에서도 발생할 수 있음을 제안합니다. 이 제안은 그림 4에 나와 있는 합성된 PS 나노입자 및 나노복합체의 열 거동과 잘 일치합니다.
<사진>
다양한 PANI-LSA 함량(wt%)을 갖는 PS/PANI-LSA 나노복합체의 열중량 곡선:1 추신, 2 1.84(NC2), 3 3.01(NC3), 4 11.27(NC11), 5 14.82(NC15), 6 SLS
그림>
실제로 합성된 PS 나노입자는 벌크 PS의 열 안정성과 어느 정도 다른 열 안정성을 보여줍니다(그림 4의 곡선 1과 [37]의 그림 1 비교). 특히 후자는 주로 공기 중에서 200~450°C에서 한 단계로 분해되지만[37] 전자의 열중량(TG) 곡선은 대략 3단계를 보여줍니다. 262°C, 두 번째 온도 범위는 262–330°C, 세 번째 온도 범위는 330–505°C입니다. 이 차이는 아마도 PS 나노입자 합성의 특이성으로 인해 SLS 불순물의 구성에 불가피한 존재가 나타나 PS 열 거동을 변화시켰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 제안은 SLS의 최종 분해 온도가 PS 나노입자 분해의 세 번째(주요) 단계의 시작(330°C)에 매우 가깝다는 사실과 잘 일치합니다(그림 4, 곡선 1 및 6).피>
그림 4에서 볼 수 있듯이, 나노복합체의 TG 곡선은 PS와 모양이 유사하며, 게다가 일반적으로 수분 증발에 할당될 수 있는 최대 120°C의 온도에서 유사한 작은 질량 손실을 보여줍니다[35]. . 더 높은 온도에서 PANI-LSA의 부하가 낮거나 높은 샘플의 열 안정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코어-쉘 PANI 함유 복합재의 열 거동 특이성에 대한 보완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PANI-LSA 함량이 11.27wt% 이하인 나노복합재 중 3개(NC2, NC3, NC11)는 최대 208°C까지 높은 열 안정성을 PS와 유사하게 나타냅니다(그림 4, 표 2). 그러나 가장 높은 PANI-LSA 함량(14.82wt%)을 갖는 NC15는 120°C에서도 PS보다 덜 안정적이며(그림 4, 곡선 1 및 5, 표 2), 이는 아마도 수분뿐만 아니라 증발에도 할당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마도 결합되지 않은 도펀트 및/또는 미반응 단량체/올리고머 불순물[38].
그림>
208–262°C의 온도 범위에서 모든 나노복합체는 중량 손실을 보여 LSA 함량보다 높지만 PS의 중량 손실보다 훨씬 적습니다(그림 4, 곡선 1, 4 및 5, 표 2). 그러나 NC2 및 NC3의 경우 이러한 손실이 PANI-LSA의 내용보다 훨씬 높습니다. PANI 염기[39]의 높은 열 안정성과 PS 나노입자의 열 거동(그림 4, 곡선 1)을 기반으로, 우리는 나노복합체 손실을 도펀트의 증발 및 분해뿐만 아니라 도펀트의 분해에도 할당할 수 있습니다. PS 구성 요소. 또한 262°C에서 NC2 및 NC3의 중량 손실(표 2)이 LSA 함량과 PS 손실(각각 3.02 및 3.7)의 합을 초과하는 반면, 나노복합체는 도펀트의 분해 산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노복합체 손실은 일반적으로 더 높은 온도에서 증가하지만 290°C에서 NC2 및 NC3의 TG 곡선(NC11 및 NC15의 곡선과 다름)은 5.58wt% 지점에서 PS의 TG 곡선과 교차합니다(그림 4, 표 2). . This behavior, in general, suggests a complete loss of the dopant [35, 37, 38] and transformation of the PANI-LSA component in the dedoped PANI. Above this, temperature NC2 and NC3 are more stable than PS up to the end of the heating process (Fig. 4, curves 1–3). As a consequence, the position of the TG trace of PS nanoparticles along the temperature axis in the range of 262–430 °C roughly separates positions of the nanocomposites with low and high contents of PANI-LSA (Fig. 4). This fact confirms a difference which is probably inherent to these two sets of nanocomposites.
Indeed, one can see strongly different course of the thermal degradation of these nanocomposites both in the range of 262–430 °C and above 430 °C. Whereas all these nanocomposites have the core-shell morphology, it is unlikely that only this morphological factor can explain their specific thermal behavior. However, if to take into account the presence in their composition of the LSA dopant, which contains the long dodecyl tail with plasticizing ability [3], we can at least partially understand such difference as a result of intermolecular interactions (causing a plasticizing effect [40]) of the dopant anion with the polymer components of the nanocomposites. Naturally, in the case of low or high contents of the PANI-LSA component, its influence on thermal behavior of the nanocomposites will be less (NC2, NC3) or more (NC11, NC15) significant. In the latter case, the plasticization effect is so strong that the thermogramms of NC11 and NC15 (Fig. 4, TG curves 4 and 5) take positions below the PS one up to 430 °C even after a complete removal of the dopant (above ~ 290 °C) because of weakened interactions between PS macromolecules. Slowing down the degradation rate of the nanocomposites with high content of PANI base at temperatures above 430 °C can be probably explained by cross-linking of its chains [39] and possible enhancement of the stabilizing role of the PANI shell.
In the case of NC2 and NC3, the situation is obviously opposite to NC11 and NC15. In particular, contents of PANI-LSA are quite small, and therefore, quantities of the plasticizing dopant LSA are not enough to significantly weaken interactions between PS macromolecules. As a consequence, once the dopant is eliminated completely, the nanocomposites display thermostability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PS nanoparticles (Fig. 4, curves 2 and 3, intersection point at 290 °C). In spite of the low content of PANI-LSA and, therefore, of its thin shell, these NC2 and NC3 behaviors match well with the suggestion about stabilizing effect of the PANI base shell.
Conductivity and sensing properties of the synthesized nanocomposites
One of most important features of polymer-polymer composites, in particular of PANI-containing composites, is probably their ability to withstand conditions of common treatments, which are typically applied to produce different articles. Therefore, a lot of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estimate changes in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after treatments by melting or solution techniques [3, 38, 39]. Based on these studies and the thermally induced weight losses of the synthesized nanocomposites (Table 2, Fig. 4), one might expect that such important property of doped PANI as conductivity could be changed under these treatments. Indeed, as one can see from Fig. 5, the values of conductivity of the cast and compression molded PS/PANI-LSA films strongly differ. To quantify the difference, we treated these data (Fig. 5) by the scaling law based on the percolation theory [41] in accordance with the known methodology of processing the conductivity behavior of polyaniline networks in composites [42, 43]:
여기서 σo is the constant displaying conductivity of the PANI conducting phase, f is the volume fraction of PANI, fㄷ is the percolation threshold, and t is the critical exponent. Volume fractions of PANI-LSA in the nanocomposites we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densities of PS and PANI-LSA, i.e., 1.04 [44] and 1.18 g/cm
3
[45], respectively.
Dependencies of DC conductivity of the cast (1 ) and compression molded (2 ) PS/PANI-LSA nanocomposite films on the volume fraction of PANI-LSA
그림>
The power-law dependence was determined with various trial values of fㄷ by applying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the plot of log σ versus log (f − fㄷ ). The solid lines represent best fits to the data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996 and 0.993 for the cast and compression molded nanocomposite films, respectively.
The observed nonlinear dependences (Fig. 5) are obviously the result of formation of the phase-separated conducting percolation network of PANI-LSA in the bulk of the nanocomposite film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percolation thresholds are quite low (fㄷ = 1.26%) and independent on the used processing techniques. This fㄷ valu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heoretical model suggests for a random lattice of spheres (from 15 to 30% depending on the sphere diameter) [41]. However, the conductivity of the PANI conducting phase (σo ) in the cast nanocomposite films is more than two and a half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ression molded ones (2.3 × 10
−4
and 8.9 × 10
−5
S/cm, respectively). Obviously, the lower conductivity of the conducting phase in the compression molded film is caused by the partial thermal degradation of PANI-LSA under the melting treatment temperature (240 °C). The values of the critical exponent t for the cast and compression molded films are 1.14 and 2.62 accordingly. Such inequality in the critical exponent indicates a strong difference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percolation cluster, which results in the different slopes of the curves. As a consequence, the conductivities of the cast nanocomposite films are more than three orders of magnitude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ression molded ones at low volume fractions (contents) of PANI-LSA (Fig. 5).
Nevertheless, despite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cast and compression molded films, one can deduce that the conductivity level is enough to apply the both materials for antistatic applications. On the other hand, the obtained conductivity values of the synthesized nanocomposites are significantly lower (by 2–3 orders of magnitude) than in the case of the similar core-shell submicron/micron-sized PS/PANI composites [4, 7, 9, 14]. To understand this difference and to improve the conductivity of these new PS/PANI-LSA nanocomposites, new studies are planned. However, one can suggest that non-optimal conditions of preparation of these new materials are at least partial explanation of this low conductivity level.
Based on better conductivity properties of the cast PS/PANI-LSA films and known high sensing ability of doped PANI [46], we estimated their potential as sensing materials to determine concentrations of ammonia in its gaseous mixtures with air. Th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the example of the films of NC15 and pure PANI-LSA cast on electrodes of the transducer (see “Methods” chapter).
Both films demonstrate quite high sensitivity to ammonia in the range of 19–152 ppm (Fig. 6). However, while NC15 is more sensitive to ammonia than pure PANI-LSA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9–114 ppm, at higher concentrations, the situation becomes opposite.
Sensor responses (calibration curves) of the cast pure PANI-LSA (1 ) and NC15 (2 ) films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mmonia in the mixtures with air
그림>
The better efficiency of NC15 in this narrowed ammonia concentration range can be probably assigned to core-shell morphology of the nanoparticles constituting the cast nanocomposite film. This morphology typically specifies higher surface of the film as compared with pure PANI-LSA and improves sensitivity of sensing materials [25, 28]. The enhancement of the sensing responses of pure PANI-LSA at ammonia concentrations above 114 ppm (Fig. 6, curve 2) can be probably assigned to additional involving in the sensing process of the PANI-LSA clusters located under the surface of the film. Naturally, the quantity of these clusters in the pure doped PANI film is much higher than in the case of the thin PANI-LSA shells on the core particles constituting the nanocomposite film. Therefore, their involvement in the sensing process inevitably increases sensor responses of the pure doped PANI film as compared with the NC15 one.
섹션>
Conclusions
The new PS/PANI-LSA nanocomposites have been synthesized with the core-shell nanoparticle sizes ~ 25–50 nm, which to our knowledge are the lowest ones among the similar composites published elsewhere. The use of LSA as acidifying agent for the aniline containing PS latex medium and addition of the oxidant resulted in the precipitation of the thin PANI-LSA shell (~ 10–20 nm) on the surface of the PS nanoparticles (synthesized in the presence of SLS). As a consequence, both the shell and PS core contained the same lauryl sulfate surface active anion unlike the known core-shell PS/PANI composites synthesized with a PS latex surfactant-stabilizer and PANI dopant of different nature.
We have found that although the synthesized very small PS nanoparticles (15–30 nm) after cleaning tend to agglomerate in the dry state, the low contents of PANI-LSA in the nanocomposites suppress this agglomeration probably due to the surface activity of charge compensating large LS¯ anions which localize around positively charged PANI shells on PS cores and separate the nanoparticles. However, the situation becomes opposite at the moderate and especially at the high PANI-LSA contents, which apparently facilitate formation of quite thick PANI-LSA shells around PS cores. In this case, a number of charge compensating LS
¯
anions both around and inside of the positively charged PANI shells is higher as compared with the low contents of PANI-LSA in the nanocomposites. As a consequence, these amphiphylic anions with long dodecyl tails can enhance intermolecular interactions in the system and lead to the agglomeration of the nanoparticles with high contents of PANI-LSA.
A possibility of such agglomeration effec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using similar nanocomposites in applications which need charged nanoparticles [7, 20, 25]. We believe that applied in this work method of determination of the real PANI content in the PS/PANI nanocomposites can allow better control of their properties.
Based on FTIR and conductivity studies of the synthesized nanocomposites, we proved that oxidation state and conductivity of the PANI phase are appreciably higher than those of pure PANI-LSA. Moreover, we demonstrate here that thermal behavior of these nanocomposites in air is strongly different for low and high PANI-LSA loadings that probably stems both from the plasticizing ability of the LSA dopant and stabilizing effect of the PANI shell. This fact, in general, gives the complementary information about the thermal behavior specificity of the known PANI containing core-shell composites.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rmal stability, conductivity and sensor studies, we conclude that properties of the synthesized PS/PANI-LSA nanocomposites testify to their potential applicability as materials for antistatic and sensing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