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제조
산업용 사물 인터넷 | 산업자재 | 장비 유지 보수 및 수리 | 산업 프로그래밍 |
home  MfgRobots >> 산업 제조 >  >> Industrial materials >> 나노물질

반도체 나노결정으로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치료 물질:개발 및 기능 특성화

초록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및 약물, 형광 표지 및 금속 나노입자의 담체로서의 사용은 치료학 제제를 설계하는 유망한 접근 방식입니다. 반도체 양자점(QD)은 극도로 높은 밝기와 광안정성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마이크로캡슐의 세포 내 침투 및 전달을 시각화하기 위한 매력적인 형광 라벨이 됩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수용성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코어/쉘 QD로 안정화되고 수용성으로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물리 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설계, 제작 및 특성화하는 접근 방식을 설명합니다. 개발된 마이크로캡슐은 동적 광산란, 전기영동 이동성, 주사 전자 현미경, 형광 및 공초점 현미경 접근 방식으로 특징지어지며 크기 분포, 표면 전하, 형태 및 광학적 특성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QD로 인코딩된 마이크로캡슐의 형광 수명도 측정하고 마이크로캡슐 제조 후 시간에 대한 의존성을 평가했습니다. 인코딩된 마이크로캡슐의 최적 형광 특성을 제공하는 인코딩 절차에 사용된 QD의 최적 함량이 결정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쥐 대식세포에 의한 세포내 마이크로캡슐 흡수가 입증되어 살아있는 세포 이미징 및 살아있는 세포 내 마이크로캡슐 수송 및 전달의 시각화를 위해 개발된 시스템의 효율적인 사용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섹션 데이터-제목="배경">

배경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을 약물 및 조영제의 표적 전달 및 제어 방출을 위한 매개체로 사용하고 생체 외 및 생체 내 이미징을 위한 형광 프로브로 사용하는 것은 다양한 인간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번역 의학 및 개인화 접근 방식의 유망한 연구 라인입니다. 1,2,3,4].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바이오마커의 영상화 도구와 약물의 기능을 결합한 검사학 제제의 개발은 약물 전달 시스템 설계 분야에서 중요한 과제이다[5, 6].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은 두 기능을 결합하기 위한 유망한 후보입니다. 제조 조건은 생물학적 활성 물질, 금속 나노입자, 형광 표지 등을 마이크로캡슐에 통합할 수 있도록 합니다[7,8,9]. 추가 파일 1:그림 S1은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을 기반으로 하는 일반적인 치료학적 제제를 개략적으로 보여줍니다.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구형 또는 다른 모양의 기판에 반대 전하를 띤 폴리머 층을 연속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이는 나중에 제거됩니다[10, 11]. 특정 pH, 이온 강도, 용액 온도 및 용매 극성에서 반대 전하를 띤 다중양이온과 다중음이온의 상호작용은 기질을 코팅하는 막 또는 쉘 형태의 혼성중합체 복합체를 생성합니다[12,13,14].

위에 나열된 요소는 다공성 및 모양 및 벽의 무결성을 포함하여 생성된 마이크로캡슐의 형태에도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환경의 이온 강도 또는 pH의 증가는 캡슐 벽을 형성하는 고분자 전해질의 형태 변화 또는 양성자화/탈양성자화를 촉진한다. 이것은 차례로 구조적 무결성의 손실 정도와 "열린"상태로의 전환에 이르기까지 변형 및 다공성 증가로 이어지며 캡슐의 내부 내용물과 벽에 묻힌 구성 요소가 방출됩니다. 미세 환경 [15, 16]. 이러한 특성은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을 자극에 민감한 전달 시스템의 역할에 대한 좋은 후보로 만들고 치료학 제제를 설계하기 위한 유망한 기반을 만듭니다[2, 17, 18].

양자점(QD)은 넓은 흡수 스펙트럼과 좁고 대칭적인 형광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 2~10nm의 형광 반도체 나노결정입니다. 이것은 다른 형광 최대값을 갖는 QD가 단일 방사선 소스에서 여기되도록 하여 특히 다중화 이미징을 위해 형광단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19, 20]. QD의 높은 광안정성과 밝은 형광성은 검출 응용 분야에서 표준 유기 형광단에 비해 이점을 결정합니다[21,22,23,24].

형광 고분자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 개발에 전념한 이전에 발표된 연구는 열수 탄화 및 덱스트란을 발광 탄소 나노입자로 변환하여 1차 준비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고분자 구조 내 고분자 전해질 쉘 포획으로 전환하여 기존 유기 형광 염료 또는 제자리에서 탄소 점을 형성하는 한 가지 일반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줍니다. . 유기 염료 포획의 접근 방식은 형광 염료 충전을 초래하는 고분자 전해질에 의해 형성된 막의 다공성 구조로 저분자량 덱스트란 또는 소 혈청 알부민(BSA)과 접합된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또는 로다민 B, 테트라메틸로다민 염료의 확산을 기반으로 합니다. 내부 중공 및 고분자 멤브레인에서와 같이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 캡슐의 전체 구조. 탄소점으로 인코딩된 마이크로캡슐의 경우 높은 열처리의 필요성은 마이크로캡슐 구조의 유연성을 변화시키고 더 단단하게 만들어 pH 및 이온 강도의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자극 반응성 테라노스틱 시스템 개발[25,26,27, 28,29,30].

이 연구에서 우리는 상당한 콜로이드 안정성을 가진 고형광성 수용성 양자점으로 인코딩된 고분자 마이크로캡슐 제조의 모든 기술적 측면을 설명하고, 물리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설명하고, 마이크로캡슐의 살아있는 세포 이미징 및 시각화에 대한 적용을 보여줍니다.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운송 및 전달. 데이터는 다기능 기능화된 마이크로캡슐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진단학 제제의 개발을 위한 다음 단계로 가는 길을 닦을 수 있습니다.

실험

양자점의 가용화 및 특성화

형광 최대값이 λmax인 CdSe/ZnS 코어/쉘 QD Pavel Samokhvalov 박사(러시아 모스크바 국립 연구 핵 대학 MEPhI(모스크바 공학 물리학 연구소) 나노 생물 공학 연구소)가 590nm에 해당하는 값을 제공했습니다.

새로 합성된 QD는 트리옥틸포스핀 옥사이드(TOPO)로 코팅되었으며 수불용성입니다. 수상으로의 전환은 TOPO를 d,l-시스테인으로 대체하고 후속적으로 d,l-시스테인을 12-로 대체하여 수행되었습니다. 티올 및 카르복실 말단기를 함유하는 단위 PEG 유도체 HS-(PEG)12 -COOH(Thermo Fisher Scientific, USA)는 앞서 설명한 대로 [22, 31, 32]. 이를 위해 QD 샘플을 클로로포름 800μl에 녹인 후 메탄올 1200μ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절차는 세 번 반복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QD 펠릿을 800μl의 클로로포름에 재현탁했습니다. 메탄올 중 d,l-시스테인의 용액을 1:0.13의 QD 대 d,l-시스테인 중량비로 현탁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6,873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10분 동안(Centrifuge 5418, Eppendorf, USA) 동일한 속도로 3분 동안 원심분리를 통해 QD 펠렛에서 메탄올로 과량의 d,l-시스테인을 세척했습니다. QD 펠릿을 Concentrator Plus 원심 농축기(Eppendorf, USA)에서 2분 동안 건조했습니다. 건조된 QD를 650μl의 0.1M 수산화나트륨에 현탁시키고 Elma Sonic P30H 초음파 수조(Elma Schmidbauer, Germany)에서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했습니다. 그런 다음, 용액을 5509g에서 원심분리했습니다. 10분간 기공 크기가 0.22μm인 Millipore 필터(Merck, Germany)를 통해 상등액을 여과했습니다. 샘플의 QD 함량은 첫 번째 여기자 흡수 피크의 파장에서 분광광도계로 결정되었습니다.

얻어진 수용성 QD 샘플은 HS-(PEG)12를 첨가하여 안정화되었습니다. 1:4.6의 QD 대 PEG 유도체 몰 비율에서 -COOH 및 혼합물을 2~8°C에서 24~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합니다.

탄산칼슘 미세입자 합성

탄산칼슘 미세입자는 다른 곳에서 설명한 대로 얻었다[33, 34]. 0.33M Na2 15ml CO3 (Sigma-Aldrich, Germany) 용액을 15ml의 0.33M СаСl2에 첨가했습니다. (Sigma-Aldrich, Germany) 용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내지 60초 동안 RCT 기본 자기 교반기(IKA, Germany)에서 250, 500 및 750 rpm의 속도로 교반했습니다. The СаСl2 및 Na2 CO3 0.22μm의 구멍 크기를 가진 필터를 통해 용액을 미리 여과했습니다.

그 후, 교반을 중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혼합물을 452g에서 교대로 재현탁하고 원심분리하여 MilliQ 물로 세척했습니다. Centrifuge 5810(Eppendorf, USA)을 사용하여 5분 동안 얻어진 미립자를 4회 세척하였다. 최종 세척 후 펠릿을 60°C의 오븐에서 90분 동안 건조했습니다.

양자점으로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마이크로입자는 매트릭스 역할을 하는 준비된 탄산칼슘 마이크로입자에 반대 전하를 띤 폴리머와 카르복실화된 수용성 QD를 층별로 증착하는 수정된 기술을 사용하여 QD로 인코딩되었습니다. 고분자 전해질 층은 Mw≈ 15,000Da(Sigma-Aldrich, USA)를 갖는 다중양이온 폴리(알릴아민 염산염)(PAH) 및 Mw≈≈ 70인 다중음이온 폴리(나트륨 4-스티렌설포네이트)(PSS) 쌍으로 구성됩니다. Sigma-Aldrich, 미국).

레이어는 다음 순서로 적용되었습니다:СаСО3 /PAH/PSS/PAH/PSS/PAH/QD-S-(PEG)12 -COOH/PAH/PSS/PAH/PSS/PAH/PSS.

건조된 미세입자 샘플을 0.5ml의 MilliQ 물에 재현탁하고 초음파 수조에서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했습니다. 0.5M NaCl에 녹인 2mg/ml PAH 용액의 0.5ml 분취량을 3.7× 10 8 을 포함하는 현탁액에 첨가했습니다. MilliQ 물의 탄산칼슘 미립자. 현탁액을 초음파 수조에서 60초 동안 초음파 처리한 다음 교반하면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했습니다. 그 후, 미립자 현탁액을 1054g에서 원심분리하여 과량의 중합체를 세척했습니다. MilliQ 물에 5분 동안 재부유합니다. 폴리양이온의 적층 후 탄산칼슘 미립자의 세척을 3회 반복하였다. 다음(다중음이온) 층의 적용을 위해 미립자를 미리 0.5ml의 MilliQ 물에 재현탁했습니다. 현탁액을 0.5M NaCl에 녹인 2mg/ml PSS 용액 0.5ml와 혼합하고 초음파 수조에서 60초 동안 초음파 처리하고 교반하면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 위에서 설명한 대로 과량의 폴리머를 세척했습니다.

PAH로 구성된 외부 층인 5개의 고분자 전해질 층은 인코딩 전에 탄산칼슘 입자에 적용되었습니다. 0.10~2.24mg의 QD를 미립자 현탁액에 첨가했습니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8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원심분리에 의해 3회 세척하였다. 그 후, 반대 전하를 띤 폴리머의 연속적인 층이 적용되었습니다. 인코딩된 미세 입자는 + 4 °C 어둠 속에서 보관되었습니다.

QD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을 얻기 위해, 탄산칼슘 코어를 마이크로입자로부터 제거하였다. 이를 위해 원심분리 후 QD로 인코딩된 미세입자의 펠릿을 2ml의 0.2M EDTA(이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pH 6.5)에 재현탁하고 현탁액을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했습니다. 탄산칼슘 코어의 용해를 보장하기 위해 이 절차를 두 번 더 반복했습니다. 매번 2152g<에서 샘플을 5분 원심분리한 후 용액을 0.2M EDTA(pH 6.5)의 새로운 분취량으로 교체했습니다. /나> . 그런 다음, QD로 인코딩된 마이크로캡슐의 현탁액을 MilliQ 물에 재현탁하고 위에 명시된 조건하에서 원심분리하여 과량의 EDTA를 4회 세척했습니다. 생성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은 어두운 곳에서 + 4 °C에서 보관되었습니다.

QD로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과 세포의 상호작용을 연구할 때 BSA로 마이크로캡슐 표면을 수정했습니다(열 충격 분획, 무단백질, 낮은 내독소, 세포 배양에 적합, pH 7, ≥ 98%, Sigma-Aldrich, USA). . 간단히 말해서, 다중양이온 상층을 갖는 암호화된 마이크로입자는 Mw ≈ 15,000 Da(Sigma-Aldrich, USA)를 갖는 다중음이온 폴리아크릴산(PAA)으로 추가로 코팅되고,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코어가 제거된다. 최종 세척 후, 마이크로캡슐을 1%의 BSA를 포함하는 50mM 인산 완충 용액(pH 7.4)에 분산시키고 암실에서 + 4 °C에서 인큐베이션했습니다. 사용하기 전에 마이크로캡슐을 50mM 인산완충액(pH 7.4)으로 과량의 BSA로 세척했습니다.

양자점으로 인코딩된 양자점, 마이크로입자 및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특성

크기 및 요금 연구

가용화된 QD, 고분자 껍질로 코팅된 QD로 인코딩된 마이크로입자 및 QD로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유체역학적 직경은 동적 광산란 방법에 의해 결정되었습니다. 표면 전하는 Zetasizer NanoZS(Malvern, UK)를 통해 도플러 효과를 사용하여 전기영동 이동도에서 추정되었습니다.

형광 분석

가용화된 QD, 고분자 껍질로 코팅된 QD로 인코딩된 마이크로입자 및 QD로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형광 수명(형광 붕괴 동역학)을 형광 최대 파장에서 측정했습니다. YAG의 두 번째 고조파:Nd 3+ 펄스 길이가 350ps이고 펄스 속도가 50Hz인 레이저를 여기 소스로 사용했습니다. 신호는 시간 분해능이 2ns인 DPO 3054 오실로그래프(Tektronix, USA)에 연결된 광전자 증배관 검출기로 감지되었습니다. QD로 인코딩된 마이크로입자 및 마이크로캡슐의 현탁액은 시료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MIXcontrol 에코 마그네틱 교반기(2mag,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동안 영구적으로 교반되었습니다.

인코딩 효율 추정

인코딩 효율은 미세 입자 표면에 QD를 적용(흡착)한 후 상등액의 QD 함량에서 추정되었습니다. 미립자 표면에 흡착된 QD의 양(\( {Q}_{{\mathrm{QD}}_{\mathrm{abs}}} \))은 다음과 같이 계산되었습니다.

$$ {Q}_{{\mathrm{QD}}_{\mathrm{abs}}}={Q}_{{\mathrm{QD}}_0}-{Q}_{{\mathrm{QD} }_i}, $$

여기서 \( {Q}_{{\mathrm{QD}}_0} \)는 인코딩에 사용된 부분표의 QD의 초기 양이고 \( {Q}_{{\mathrm{QD}}_i} \ )는 i의 상층액에 있는 QD의 양입니다. 샘플입니다.

샘플의 QD 함량은 Infinite 200 PRO 다중 모드 플레이트 판독기(Tecan, Switzerland)를 사용하여 분광 광도계로 결정되었습니다.

주사형 전자 현미경

탄산칼슘 미립자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쇼트키 음극이 장착된 JSM-7001F 주사전자현미경(JEOL, Japan)을 사용하여 얻었다. 건조된 미립자 분말을 전도성 탄소 접착 테이프에 도포하고 평균 50, 빔 전류 20pA, 가속 전압 15~30kV에서 스캔했습니다.

고분자 전해질 층으로 코팅된 미립자의 현미경 사진을 얻기 위해 ~ 10 6 을 포함하는 희석된 미립자 현탁액 한 방울 미리 정제된 실리콘 기판에 0.5ml당 마이크로 입자를 넣고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결과 샘플은 평균 50, 빔 전류 20pA, 가속 전압 3–30kV에서 스캔되었습니다.

형광 및 공초점 현미경

QD로 인코딩된 미세입자의 형태 및 크기 분포는 Texas Red 형광 방출 필터가 장착된 Carl Zeiss Axio Scope A1 현미경(Carl Zeiss, Germany)을 사용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분석했습니다. 20% 글리세롤 수용액을 슬라이드 마운팅 미디어로 사용했습니다.

QD로 인코딩된 마이크로캡슐의 샘플은 여기 405, 458, 476, 488, 496, 514, 561, 633nm 및 Leica LAS용 레이저가 장착된 Leica TCS SP5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독일 Leica Microsystems)을 사용하여 연구했습니다. AF 소프트웨어 버전 2.7.3.9723. 분석은 여기 파장 488nm에서 수행되었으며 Leica HCX PL APO CS 63x/1.20 CORR WATER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555~620nm의 방출 범위를 포괄하는 필터 세트를 수집했습니다. PBS 완충액 pH 7.4의 20% 글리세롤 용액을 슬라이드 장착 매체로 사용했습니다. Image J 1.51 s 소프트웨어(미국)는 이미지 분석 및 처리에 사용되었습니다.

시험관 내 살아있는 세포에 의한 양자점으로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미세 캡슐의 흡수

불멸화된 마우스 폐포 대식세포 세포주 MH-S(ATCC, USA)는 5% CO2의 가습 분위기에서 10% FCS, 0.05 mM 2-mercaptoethanol 및 2.06mM 글루타민이 보충된 RPMI 배지에서 유지되었습니다.> 37 °C. 최대 3×10 6 배양된 MH-S 세포 35mm μ-dish 및 1.2×10 6 의 셀 BSA로 코팅된 QD로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을 각 μ-접시에 추가했습니다. 세포를 37°C 및 5% CO2에서 추가로 배양했습니다. 각각 4시간 및 24시간 동안 그런 다음, 세포 핵을 30분 동안 DRAQ5 형광 프로브(ex/em 파장 646/697 nm, ThermoFisher, USA)를 사용하여 대조염색한 후 세포 샘플을 세척하고 Leica TCS SP5 공초점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Leica Microsystems, Germany)을 사용하여 분석했습니다. ). QD로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세포 흡수 이미지는 HCX PL APO CS 63.0 × 1.30 GLYC/OIL, HCX PL APO lambda blue 40.0 × 1.25 OIL을 사용하여 획득했습니다. QD의 형광은 488 nm에서 여기되고 방출은 555–620 nm에서 수집된 반면 DRAQ5로 대조염색된 세포 핵의 형광은 633 nm에서 여기되고 방출은 650–750 nm에서 수집되었습니다.

통계 분석

통계 분석은 MS Office Excel 2007 및 Origin Pro 2015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최소 3회의 독립적인 실험의 결과를 사용하여 평균 및 표준 편차로 표시됩니다.

결과 및 토론

탄산칼슘 미립자의 합성 및 특성화

구형 무기 결정, 특히 탄산칼슘 미소구체를 기질로 사용하는 것은 생체 적합성과 생물계에 공격적인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고분자 전해질 미소 캡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거 가능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탄산칼슘 미세입자 자체는 또한 변형되거나 장기간 방출되는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약물을 로딩하고 미세 환경으로의 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매트릭스 역할을 합니다. 즉, 전달 시스템에서 다양한 잠재적 용도가 있습니다. ,38,39,40,41,42,43,44,45,46].

미세 결정의 크기와 모양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교반 속도와 지속 시간, 반응 혼합물의 배양 시간입니다[33, 41]. 우리는 최적의 크기 분포를 가진 탄산칼슘 미소구체를 얻기 위한 조건을 실험적으로 결정했습니다. 단일 CaCO3 마이크로 입자는 거의 규칙적인 둥근 모양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추가 파일 1:그림 S2는 다양한 교반 속도에서 얻은 탄산칼슘 미립자의 크기 분포를 보여줍니다. 이들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자의 크기 불균일성은 교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교반 속도가 250rpm인 경우 얻은 입자의 크기는 4.0~6.0μm 범위였습니다. 이 경우 샘플의 모든 미세 입자는 분리되었으며 크기 분포는 정상에 가까웠습니다(추가 파일 1:그림 S2a). 그러나 혼합물을 500rpm에서 교반하면 더 작은 입자의 응집인 불규칙한 모양의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개별 입자의 평균 크기는 2.7~5.6μm로 다양했습니다(추가 파일 1:그림 S2b). 750rpm의 교반 속도에서 입자 크기의 산란이 증가했습니다. 이 샘플은 또한 불규칙한 모양의 응집체를 포함했으며 개별 미세 입자의 평균 크기는 3.8~5.7μm 범위입니다(추가 파일 1:그림 S2c).

따라서 반응 혼합물을 25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 최적의 크기 분포와 거의 규칙적인 모양을 갖는 입자를 얻을 수 있고 입자 응집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교반 속도에서 미세 입자 크기 분포에 대한 교반 지속 시간의 영향을 추정했습니다(추가 파일 1:그림 S3). 15초 동안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면 30초 교반에 비해 더 큰 입자의 수가 증가했습니다. 교반 시간을 60초로 늘리면 비슷한 효과가 나타납니다. 즉, 전자의 경우(추가 파일 1:그림 S3a) 교반 시간이 부족하고 후자의 경우(추가 파일 1:그림 S3c) 교반 시간이 과도합니다. 따라서 최적의 교반 조건은 250rpm의 속도와 30초의 지속 시간을 고려했습니다.

주사전자현미경(SEM) 데이터에 따르면, 탄산칼슘 미립자의 표면은 다공성을 특징으로 하는 불균일한 표면이었다(그림 1a). × 40,000 배율에서 미세 입자가 더 작은 서브마이크로미터 입자로 차례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그림 1b). 따라서, 얻어진 미세입자는 다공성 구조를 갖고 기질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전달 시스템 자체로도 사용될 수 있는 매트릭스를 나타내었고 이들의 특정 표면 구조로 인해 층별 매트릭스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폴리머 증착.

<그림>

탄산칼슘 미립자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a ) 및 더 높은 배율의 표면(b )

양자점으로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및 특성화

준비된 수용성 양자점은 최대 방출이 590nm인 넓은 흡수 스펙트럼과 좁은 형광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합니다(그림 2). 이러한 QD 샘플의 유체역학적 직경은 23.96~28.2nm 범위였습니다. 추가 파일 1:그림 S4는 HS-(PEG)12로 안정화된 QD의 크기 분포를 보여줍니다. -쿠우. HS-(PEG)12를 사용한 QD 표면 수정 -COOH는 수상에서 QD 안정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인코딩 과정에서 양전하 고분자 전해질 층 사이에 QD의 효과적인 흡착에 충분한 표면 음전하를 보장합니다[22, 47].

<그림>

HS-(PEG)12로 가용화된 CdSe/ZnS 코어/쉘 양자점의 광학적 특성 -COOH 리간드

고분자 전해질 층 및 QD의 각 단계에서 측정된 탄산칼슘 미세입자 샘플의 표면 전하 값(표 1)은 각 폴리머 증착 후 표면 재충전뿐만 아니라 원래 매트릭스의 표면 전하, 가용화된 QD를 확인했습니다. 각 후속 레이어의 효과적인 흡수에 충분합니다.

합성 탄산칼슘 미립자의 고유한 표면 전하와 다공성 표면 구조로 인해 반대 전하를 띤 고분자 전해질 및 QD 증착을 위한 매트릭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그림 3). QD로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고분자 마이크로캡슐에 PAH 및 PSS 고분자를 적용하는 것은 생체 적합성, 무독성 및 비생분해성에 의해 결정되어 쉘 내에서 QD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 형성에도 널리 사용되는 폴리-l-아르기닌, 폴리-l-라이신, 키토산, 알긴산 나트륨 염 및 덱스트란 설페이트의 생분해성은 폴리머 막에서 QD 확산을 유도하여 감소해야 합니다. 미세 입자의 형광 특성 [3, 11, 39, 48, 49, 50, 51, 52]. 본 연구에서 사용된 PAH 폴리양이온과 PSS 폴리음이온은 각각 아민과 설페이트 그룹을 포함하여 폴리머 층 사이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보장하여 인터폴리머 복합체를 형성합니다[16, 25, 36, 37]. 첫 번째 고분자 층의 선택은 합성된 탄산칼슘 미립자의 표면 전하 값에 의해 결정되었습니다.

<그림>

양자점으로 인코딩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절차:매트릭스 표면에 폴리양이온(1) 및 다중음이온(2), PAH 및 PSS 고분자 전해질 각각의 층 형성; 생성된 마이크로입자를 양자점 및 추가 층별 중합체 증착으로 인코딩(3); 탄산칼슘 코어 제거(4)

그림 4는 기판 표면에 고분자 쉘이 형성되는 단계의 SEM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현미경 사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립자는 탄산칼슘 입자의 코어와 쉘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흡착된 폴리머 층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뚜렷해진다. 고분자 전해질 층으로 코팅된 미세입자의 표면은 기질의 형상을 따라 특성이 균일하여 다공성임을 시사한다(그림 4a, b)[44]. 고분자 외피가 두꺼워질수록 미세입자 표면은 더욱 균일하고 매끄러워졌다(그림 4c, d).

<그림>

4개(a)를 적용한 후 탄산칼슘 미립자의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 , b ) 및 10(c , d ) 고분자 전해질 층

QD로 인코딩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 제조의 마지막 단계에는 탄산칼슘 코어의 제거와 마이크로캡슐의 최종 구조 형성이 포함됩니다. 탄산칼슘 입자로 구성된 매트릭스를 용해시키기 위해 마이크로입자를 EDTA로 세척하였다. EDTA는 칼슘을 포함한 2가 금속의 염과 상호작용하여 수용성 착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저분자량은 EDTA용 고분자 전해질 껍질의 투과성을 보장하고 Ca 2+ 와의 착물화를 보장합니다. . 이것은 고분자 전해질 입자의 코어가 용해되고 속이 빈 구조를 형성합니다[45, 46].

우리 연구에서 얻은 QD로 인코딩된 미세입자 및 고분자 전해질 미세캡슐은 구형 또는 거의 구형이며 크기는 3.8~6.5μm입니다(그림 5). 형광 모드에서 미세 입자 및 미세 캡슐의 형태 및 구조 분석은 고분자 전해질 미세 캡슐 내에 공동을 보여 주었고, 이는 미세 입자에 비해 높은 투명도에서 분명합니다(그림 5b). 이것은 EDTA를 사용한 코어 용해 절차가 효과적임을 입증했습니다. 공초점 현미경 데이터는 또한 얻어진 형광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중공 구조를 보여주었다(그림 6). 이러한 마이크로캡슐은 BSA 코팅에 의한 표면 개질로 인해 거친 표면을 가진 구형 입자로 특징지을 수 있는 단일 입자(그림 6a, b)로 구별될 수 있습니다.

<그림>

고분자 전해질로 코팅되고 양자점으로 인코딩된 탄산칼슘 미립자의 형광 현미경 이미지(a ) 및 이들로부터 얻은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b )

<그림>

양자점으로 인코딩되고 BSA로 코팅된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공초점 현미경 이미지:마이크로캡슐의 단면(a ); 단일 고분자 전해질 마이크로캡슐의 3D 투영(b )

인코딩 효율 추정

인코딩 효율은 미립자의 양전하를 띤 폴리머 표면에 흡착된 QD의 양에 의해 추정되었다. QD 용액과 함께 마이크로입자를 인큐베이션하기 전과 후에 마이크로입자 인코딩에 사용된 원래 용액과 상청액에서 QD의 양을 추정한 결과, 마이크로입자 표면에 결합된 QD의 수는 0.36~2.241mg(그림 7a). 용액에서 양자점의 양이 더 증가하면 흡착된 양자점의 수가 감소한다. This may have resulted from an insufficient density of the positive charge determined by amine groups of PAH on the microparticle surface because of an excessive amount of QDs and the resultant saturation of the surface with them. Apparently, the QDs were adsorbed more efficiently if their amount was smaller than 2.241 mg owing to sterically favorable conditions and less interference with one another’s attachment. The pattern of the dependence of the encoding efficiency on the QD content of the solution used for the encoding agrees with our earlier data [22].

Estimation of the efficiency of encoding of microparticles with different amounts of quantum dots (a ) and their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b ). Asterisk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of QD-encoded microbeads from the QD-encoded microcapsules (p  < 0.05)

Estimation of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obtained polyelectrolyte microcapsules is an essential stage of the assessment of encoding efficiency. Its results show how suitable the given technique is for fabrication of imaging agents based on QD-encoded polyelectrolyte microcapsules.

Figure 7b shows the fluorescence intensities of the microparticles and microcapsules measured as the mean normalized intensity of gray color as dependent on the amount of QDs used for encoding them. As seen from the figure,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encoded microparticl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icrocapsules obtained from them. At the same time, the microcapsules enco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QD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one another in fluorescence intensity (p  > 0.05). Despite some decrease in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microcapsules, their encoding with the amount of QDs indicated above ensures a contrast sufficient for effective imaging.

Quantum Dot Fluorescence Lifetime within Encoded Polyelectrolyte Microcapsules

As noted above,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polyelectrolyte microcapsules was decreased compared to the microparticles used for their fabrication and encoded with the same QDs. Therefore, we have estimated the fluorescence lifetimes of both the original QDs and the same QDs embedded in the microparticles or the polymeric walls of the microcapsules.

The QD fluorescence kinetic curves (Fig. 8) are characterized by monoexponential dependence of fluorescent intensity on time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 I(t)={A}_1\bullet {e}^{-x/{t}_1}, $$

Fluorescence lifetimes of the solubilized CdSe/ZnS quantum dots with a fluorescence peak at 590 nm incorporated in the fabricated microparticles and microcapsules

( ) is the intensity of QD fluorescence in response to excitation pulses and A 1 , х , 그리고 t 1 are parameters describing the change in the intensity with time.

We determined the fluorescence lifetime for each sample (Table 2). The original solubilized QDs had the longest fluorescence lifetime; it was decreased after the QDs were adsorbed onto the microparticles and incorporated into the structure of the polymer shell. This may have resulted from interaction between the QDs and PAH, as we found earlier [22]. In the case of microcapsules, the QD fluorescence lifetime tended to further decrease compared to the QDs within the microparticles from which the microcapsules were fabricated. A possible cause of this decrease was a technological factor entailed in the fabrication of microcapsules, namely, the dissolution of the core and the related increase in the necessary number of wash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luorescence lifetime also tended to decrease with time after the microcapsule fabrication. However, since 48 h after the microcapsule fabrication, further changes in the mean fluorescence lifetime were insignificant. The fluorescence decay was apparently caused by a decrease in the fluorescence quantum yield of QD embedded in the shells of the capsules. This effect is likely to have resulted from the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the electron potential and the geometric rearrangement of QDs in the inner layers of the polymer shell after the core removal that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nonradiative recombination due to the charge transfer to between neighboring QDs or between QDs and polymer molecules [22].

Interaction of Quantum Dot- Encoded Polyelectrolyte Microcapsules with Phagocytic Cells In Vitro

We used confocal microscopy to analyze the interaction of QD-encoded polyelectrolyte microcapsules with live phagocytic cells, their uptake by cells, and the possibility of cell labeling. The murine alveolar macrophage (MH-S) cells were used as a model, because of the capability of these cells to phagocytize xenogenic objects.

The MH-S cells were treated with approximately 1.2×10 6 of QD-encoded microcapsules by short-term (4 h) or long-term (24 h) incubations. We observed signs of primary uptake of the microcapsules in both cases:after the short- and (Fig. 9a–d) long-term incubation (Fig. 9e–h). Polyelectrolyte microcapsules or their conglomerates could be seen in green color. The microcapsules could be clearly distinguished both i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cells and inside the MH-S cells that could be evidenc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capsules and nuclei of the MH-S cells which were stained by far-red DNA stain DRAQ5 and can be seen as red spherical shaped objects at all the microphotographs. As individual microcapsules and as their conglomerates were detected to undergo the uptake process. The fact that microcapsules were located in internal cell environment or at leas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acrophages is confirmed by clearly distinguished short distances between the nuclei and the polyelectrolyte microcapsules (Fig. 9b, d, g, h). In Fig. 9g, residually stained boundaries of the macrophage cytoplasmic membranes are distinctly seen, which indicates effective uptake, and well-discernible microcapsules are easy to detect to be attached on their surface either within the cells.

Confocal images of the MH-S cells treated with the QD-encoded polyelectrolyte microcapsules coated with BSA. The upper row shows the images of the samples after 4 h of short-term incubation; the microcapsules are shown by white arrows (ad ). The lower row demonstrates the images of the samples after 24 h of long-term incubation; the microcapsules are shown by white arrows (eh ). The nuclei of the macrophages were counterstained with far-red DNA stain DRAQ5

During the short-term incubation, single microcapsules were found to be phagocytized by MH-S cells prior to conglomerates of the microparticles. While after long-term incubation (24 h), the amount of the conglomerates of the polyelectrolyte microcapsules undergoing the uptake process and located inside cells or at least attached to the cell surface was more significant than after short-term incubation. Thus, the polyelectrolyte microcapsules obtained in this study used as promising tools for imaging and tracking of live cells.

Conclusions

Our study has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fabrication of stable QD-encoded polyelectrolyte microcapsules with optimized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and a narrow size distribution. The technique for incorporation of water-soluble and stabilized with three-functional polyethylene glycol derivatives core/shell QDs into the polymer wall of the microcapsules and detailed characterization at each stage of experimental procedure ensured efficient fluorescent encoding of microcapsules. The efficient intracellular uptake of developed QD-encoded microcapsules by murine macrophages was demonstrated, thus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efficient use of developed system for live cell imaging and visualization of microcapsules transportation and delivery within the living cells.

약어

EDTA:

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

PAA:

Polyacrylic acid

PAH:

Polycation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EG:

Polyethylene glycol

PSS:

Polyanion poly(sodium 4-styrenesulfonate)

QD:

양자점

RPMI medium: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medium

SEM:

주사전자현미경

TOPO:

Trioctylphosphine oxide


나노물질

  1. 전자 및 "구멍"
  2. Memfault, Alif Semiconductor와 협력하여 차세대 장치 진단 도구를 셀룰러 IoT 및 AI 지원 퓨전 프로세서에 제공
  3. 웹 기반 차트가 포함된 가정(방) 온도 및 습도 모니터 – Raspberry Pi
  4. 반도체 나노결정은 수소 연료 생산을 돕습니다.
  5. 첨단 농약 활성을 지닌 스마트 나노물질 및 나노복합체
  6. ZnO 나노결정의 합성 및 역 고분자 태양전지의 응용
  7. 다양한 입자 크기의 Avermectin 나노 전달 시스템의 제조, 특성화 및 생물학적 활성
  8. 폴리올 매개 공정에 의한 ZnO 나노 클립의 제작 및 특성화
  9. Ambarella, Lumentum 및 ON Semiconductor는 차세대 AIoT 장치를 위한 AI 처리 기반 3D 감지에 대해 협력합니다.
  10. 5G 및 에지 개발을 추진하는 차세대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