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제조
산업용 사물 인터넷 | 산업자재 | 장비 유지 보수 및 수리 | 산업 프로그래밍 |
home  MfgRobots >> 산업 제조 >  >> Industrial materials >> 나노물질

열 제어 RKKY 커플링이 있는 나노구조의 자기 히스테리시스

초록

최근에 시연된 자기 다층의 간접 교환 결합의 현장 외 열 제어 메커니즘은 스페이서 층의 다양한 설계에 대해 논의됩니다. 자화 히스테리시스의 온도 유도 변화는 서로 다른 유형의 경쟁적인 층간 교환 상호 작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론적 분석은 자화 루프의 측정된 계단 ​​모양과 히스테리시스가 강한 강자성 필름 내에서 나노 결정의 국부적 면내 자기 이방성으로 인한 것임을 나타냅니다. 실험과 이론의 비교는 (i) 간접(RKKY) 및 직접(비-RKKY) 층간 교환 상호작용 뿐만 아니라 (ii) 간접 강자성 및 간접 반강자성( RKKY 유형 모두) 중간층 교환. 시스템의 풍부한 자기 위상 공간을 자세히 설명하는 이러한 결과는 자기 다층에서 자화를 열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RKKY를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섹션 데이터-제목="배경">

배경

Ruderman-Kittel-Kasuya-Yosida(RKKY) 유형의 간접 교환 결합(IEC)[1]과 거대 자기 저항 효과[2]의 중요한 발견은 수많은 응용 분야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본 물리학 결과를 많이 생성했습니다. [삼]. 발견된 IEC는 금속 스택에서 개별 강자성 층의 분리에 대해 크기와 부호가 진동하여 평행(P) 또는 역평행(AP) 자기 접지 상태를 생성합니다. 이 RKKY 유형의 상호 작용은 온도와 거의 독립적이며[4, 5] 효과의 사용을 제한하는 제작 후 다른 외부 제어에 크게 둔감합니다. RKKY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강화하고 Tb/Y/Gd[6] 및 Co/Pt[7] 다층의 IEC를 제어하는 ​​데 사용하려는 최근 시도는 직접적인 평행 대 역평행(P-대-평행) 없이 상대적으로 약한 RKKY를 보고합니다. AP) 열 스위칭, 광범위한 열 전이(~ 100 K).

우리는 최근 [8, 9] 자기 다층에서 층간 RKKY 결합의 현장 외 열 제어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시연했습니다. 이 아이디어는 상대적으로 낮은 퀴리 온도(T C * ) 강자성(FM) 층 사이의 비자성 스페이서 대신. 초기 설계에서 기존 RKKY 삼중층 Fe/Cr/Fe의 Cr 스페이서는 희석된 합금 Fex로 대체됩니다. Cr100 − x (그림 1a, b). 스페이서가 T에서 상자성(PM)일 때> T C * (그림 1a), 삼층은 반강자성(AFM) 간접으로 인해 Fe 모멘트의 역평행 정렬을 나타냅니다. 교환 커플 링 (RKKY). 평행 정렬은 직접 스페이서가 FM(T)일 때 커플링을 교환하십시오. < C * ) (그림 1b).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이러한 삼중층은 자기 근접 효과로 인해 ~ 100K의 다소 넓은 전이와 함께 병렬에서 역평행 자화 스위칭을 보여줍니다[10]. 유니폼이 있는 삼중 레이어와 달리 스페이서, 불균일한 삼중층, 복합체 스페이서는 열자기 전이 폭이 ~ 10K 이하로 크게 향상된 성능을 보여줍니다. 또한 스페이서 속성을 조정하여 역평행(그림 1c) 또는 평행 접지 상태(그림 1e)를 티 < C * . T 이상 가열 시 C * , Fe 모멘트는 Fe/sp1/Fe에 대해 평행하게(그림 1d) 또는 Fe/sp2/Fe에 대해 역평행으로(그림 1f) 상호 방향을 바꿉니다. 좁은 열 전이와 자기 영역(P/AP)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 및 작동 온도 간격은 모두 실용적인 의미에서 중요한 이점입니다.

<그림>

스페이서가 상자성(PM)일 때 Fe/균일 스페이서/Fe 다층의 자기 레이아웃 그림(a ) 또는 강자성(FM)(b ). , e 변형된 복합 스페이서 sp1 및 sp2가 있는 구조는 저온에서 각각 역평행 및 평행 자기 접지 상태를 나타냅니다(T < C * ). d , f 스페이서의 내부 희석 합금 층의 다른 조성에 대한 스페이서 sp1 및 sp2를 사용하는 구조의 잔류 자화 특성 온도 변화에 해당합니다. 레이어 두께는 괄호 안에 "나노미터"로 표시됩니다.

다층의 반강자성 층간 결합은 Fe 층 모멘트의 역평행 정렬을 반영하여 잔류 자화가 0으로 명확하게 나타납니다. 제로 잔류 외에도 자화 곡선 M ( ) 필드 스윕을 역전시킬 때 포화 및 히스테리시스에 대한 계단식 접근 방식이 특징입니다(그림 2a). 쌍선형 교환 결합 모델은 M을 제공합니다. ( ) 간접 교환의 유효 필드에서 포화에 접근하는 선으로, H 제이 . 포화의 계단형 특성은 구조의 강자성층의 면내 자기 이방성으로 인해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쉬운 축 이방성에 대해 한 단계[11], 4중 이방성에 대해 두 개의 순차적 단계[12]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다층에 대한 각도 의존적 ​​자기 측정 및 자기 공명 연구는 거시적인 평면 내 자기 이방성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후자의 사실은 모델 시뮬레이션과 함께 실험 결과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분석을 보증합니다. 다음에서는 복합 스페이서 층(그림 1c, e)과 비교하여 균일한(그림 1a, b) 두 가지 주요 다층 설계에 대한 자화 스위칭 메커니즘을 대조하기 위해 이러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이 사용됩니다.

<그림>

일반적인 면내 자화 곡선, M ( ), 반강자성 층간 결합이 있는 Fe/sp2/Fe 다층에 대해 MOKE로 측정됨. 곡선 화살표는 필드 스위프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수평 화살표는 Fe 자기 모멘트의 상호 정렬을 나타냅니다. 모크 ( ) 참조 Fe(2)/Cr(10)(하부 Fe) 및 Cr(10)/Fe(2)(상부 Fe) 이중층에 대한 루프. 평면 내 M의 참조 프레임 도식 1 , 2 , 및 H , 나노 결정의 이중 자기 이방성의 용이축에 대하여

우리는 주어진 시스템에서 층간 교환과 관련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지적합니다. 다층에서 RKKY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13]와 예를 들어 bi-quadratic exchange[14, 15]로의 확장은 스핀트로닉스로 알려진 물리학 및 기술의 주요 발전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원래 형태의 RKKY는 적절한 스위칭 메커니즘이 없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사용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자속 폐쇄 참조 레이어용 장치에서 보조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작업에서 우리는 이러한 기본 RKKY 스위칭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RKYY의 열 켜기/끄기로 이어지는 상호 작용 간의 상호 작용을 분석하여 자화의 P/AP 스위칭 효율을 제어합니다. 나노구조. 이 분석을 바탕으로 Curie-RKKY 나노장치의 스위칭 성능 최적화에 대한 결론과 권장 사항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방법

이 작업에서는 두 가지 샘플 시리즈를 분석합니다. (1) Fe(2)/sp1(x =30–40 at.%)/Fe(2), 여기서 sp1 =N/f/N/f/N, N =Cr(1.5), f =Fe(0.25)/Fex Cr100 − x (3)/Fe(0.25)(그림 1c) 및 (2) Fe(2)/sp2(x =10–20 at.%)/Fe(2), 여기서 sp2 =N/f/N, N =Cr(d Cr ), f =Fex Cr100 − x (d ), d =(2d Cr + d ) =1.5nm(그림 1e). 또한, 다수의 참조 필름과 이중층이 증착되었습니다. 괄호 안의 두께는 "나노미터" 단위입니다. 다층은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시스템을 사용하여 Ar 사전 에칭되지 않은 Si(100) 기판에 실온에서 증착되었습니다. 희석된 Fex Cr100 − x 다양한 조성의 이원 합금이 별도의 Fe 및 Cr 타겟에서 공동 스퍼터링을 사용하여 증착되었습니다. 다층 제작에 대한 추가 세부 정보는 다른 곳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8, 9].

295–400K의 온도 범위에서 고온로(Lakeshore Inc.)와 광자기 커 효과(MOKE)가 장착된 진동 샘플 자력계(VSM)를 사용하여 면내 자기 특성화를 수행했습니다. 77–450K의 온도 범위에서 광학 저온 유지 장치(Oxford Instr.)가 장착된 자력계. 또한, FMR(강자성 공명) 측정은 자기 공명 스펙트럼의 면내 각도 의존성

결과 및 토론

간접 교환 커플링의 현상

F1 및 F2가 강자성층이고 NM이 비자성 스페이서인 삼중층 F1/NM/F2의 자화 곡선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현상학적 정자기 모델은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합니다. 첫째, 자기장은 우리의 실험에 해당하고 계산을 단순화하는 필름의 평면에 적용됩니다. 둘째, 다결정 필름의 개별 입자는 모든 면내 각도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용이축을 갖는 2중 면내 이방성을 특징으로 합니다(필름은 면내 회전하에 증착됨). 이러한 가정은 연구된 시스템에 대해 합리적이며 측정된 M ( ) 아래에 논의된 바와 같이 다양한 온도에서의 데이터.

F1/NM/F2 시스템의 자유 에너지 밀도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 {\displaystyle \begin{array}{c}U={U}_{\mathbf{H}}+{U}_{\mathrm{a}}+{U}_J=\\ {}=- MH\left[\cos \left({\varphi}_1-{\varphi}_{\mathbf{H}}\right)+\cos \left({\varphi}_2-{\varphi}_{\mathbf {H}}\right)\right]-\left(1/2M{H}_{\mathrm{a}1}{\cos}^2{\varphi}_1+1/2M{H}_{\ mathrm{a}2}{\cos}^2{\varphi}_2\right)+\\ {}+1/2M{H}_J\cos \left({\varphi}_1-{\varphi}_2\ 오른쪽),\end{배열}} $$ (1)

여기서 U , U 그리고 U 제이 각각 필드 H에 있는 FM 레이어의 Zeeman 에너지입니다. =( , φ ), 일축 이방성 에너지, 쌍선형의 층간 결합 에너지[16, 17]. FM 레이어의 자기 모멘트, M 1 =(M , φ 1 ) 및 M 2 =(M , φ 2 ), 그림 2c와 같이 크기가 동일합니다. a1,2 그리고 H 제이 는 각각 단축(이중) 이방성과 쌍선형 층간 결합의 유효 필드입니다. 각도 변수 φ로의 변환 m =(φ 1 + φ 2 )/2 및 φ d =(φ 1φ 2 ) 시스템의 자기 자유 에너지에 대한 표현을 다음과 같이 단순화합니다.

$$ {\displaystyle \begin{array}{l}U=-2 MH\cos \left({\varphi}_{\mathrm{m}}-{\varphi}_{\mathbf{H}}\right )\cos \left({\varphi}_{\mathrm{d}}/2\right)-1/2M\Big[{H}_{\mathrm{a}1}{\cos}^2\left ({\varphi}_{\mathrm{m}}+\delta /2\right)\\ {}\operatorname{}+{H}_{\mathrm{a}2}{\cos}^2\left ({\varphi}_{\mathrm{m}}-\delta /2\right)\Big]+1/2M{H}_J\cos {\varphi}_{\mathrm{d}}.\end{ 배열}} $$ (2)

다음 시뮬레이션에서 자화 곡선 M ( ), 매개변수 φ를 찾아 얻습니다. mφ d , 이는 U의 최소값에 해당합니다. 주어진 φ에 대해 (2)에서 , 안녕 1a , 안녕 2a , 및 H 제이 ,

에 따르면 $$ M/{M}_{\mathrm{s}}=\left[\cos \left({\varphi}_1-{\varphi}_{\mathbf{H}}\right)+\cos \left ({\varphi}_2-{\varphi}_{\mathbf{H}}\right)\right]/2=\cos \left({\varphi}_{\mathrm{m}}-{\varphi} _{\mathbf{H}}\right)\cos \left({\varphi}_{\mathrm{d}}/2\right). $$ (3)

자화 보자력

측정된 M ( ) AFM 교환 커플링이 있는 구조의 경우 역방향 필드 스윕에 대해 잘 정의된 보자력이 있는 계단 모양의 모양입니다(그림 3a). 위의 현상학적 모델은 강자성층 Fe(2 nm)의 자기적 특성과 층간 결합을 매개하는 복합 스페이서의 열적으로 유도된 자기 전이를 모두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림>

측정된 M ( ) 시리즈의 샘플에 대한 곡선, Fe/sp1(x =15%)/Fe, 다른 온도에 대해. 해당 시뮬레이션된 M ( ) 유효 필드 H의 다양한 강도에 대한 모델 F1/NM/F2 삼중층에 대한 곡선 제이 간접 교환 결합. ( av =( a1 + H a2 )/2, 여기서 H a1 그리고 H a2 F1 및 F2 레이어의 이방성 필드입니다. ( ) 선택한 각도 φ에 대해 시뮬레이션된 곡선 , H제이 / av =2. d 적용 필드 H의 함수로서 자유 에너지의 국소 최소값 변환(2) , H의 경우 제이 / av =2 및 φ =15°. 파란색 선은 다른 φ에 대한 에너지 최소값을 연결하는 경로를 추적합니다. m (φ d ). 에너지 표면의 전면은 그림의 시각적 명확성을 위해 투명합니다.

단결정 기판에서 성장한 에피택셜 (100) Fe 기반 다층은 일반적으로 4중 평면 내 자기 이방성을 특징으로 하는 반면[12], 다른 질감의 기판[예:(211)]은 2중 이방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11]. M의 주요 차이점 ( ) 두 경우 사이에 M의 두 가지 특징적인 단계가 있음 대 H 이방성이 4배이고 하나의 M일 때 -vs- 두 배일 때 단계. 기준 Fe(2 nm) 필름과 Fe/Cr/Fe 삼중층에 대한 VSM 및 FMR 연구(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는 히스테리시스 루프 또는 공명 스펙트럼에서 유의미한 면내 각도 의존성을 나타내지 않아 결론을 내렸습니다. 본질적으로 거시적인 평면 내 자기 이방성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수치해석은 측정된 1단계 형태의 M ( ) RKKY 결합 Fe/Cr/Fe 삼중층에 대한 루프는 다결정 필름을 형성하는 개별 결정자 규모의 2배 자기 이방성으로 인한 것이어야 합니다. 필름 평면에서 국부적 등방성 쉬운 축의 균일한 각도 분포는 샘플의 경우 회전하는 기판에 증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이러한 자기 이방성 패턴은 스퍼터링된 다층의 다결정 특성과 나노 결정 입자 사이의 평면 내 변형 변화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습니다[18].

( ) 모델 시스템 F1/NM/F2에 대한 곡선, AFM 층간 교환 결합의 다양한 강도에 대해 시뮬레이션됨(유효 필드 H 제이 ) 및 그림 3b에 표시된 것처럼 실험 곡선에서 발견되는 모든 주요 특징을 보여줍니다(그림 3a). ( ) Fe/sp1(x) =35 at.%)/Fe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당한 변화를 겪습니다. 변화는 시뮬레이션된 M ( ) 그림 3b에 나와 있습니다. 실험 M ( ) 층간 결합이 약해짐에 따라 보자력의 향상을 포함한 데이터는 모델을 검증하는 시뮬레이션된 거동과 매우 잘 연관됩니다. 모델 계산은 온도의 영향을 직접 고려하지 않고 수행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효과적으로 감소된 H 제이 ), 개별 레이어의 자기 보자력을 줄여야 합니다. 이것은 실험에서 다소 더 작은 보자력에 대한 가능한 원인입니다.

시뮬레이션된 M ( ) 그림 3b에 표시된 곡선은 M ( ) 다른 각도 φ에 대해 계산됨 외부 필드 H 사이 그리고 단축 자기 이방성의 쉬운 축. 그림 3c는 선택한 각도 φ에서의 곡선을 보여줍니다. 케이스 H 제이 / av =2. 여기서 H av =( a1 + H a2 )/2, 여기서 H a1 그리고 H a2 는 각각 F1 및 F2 레이어에 작용하는 면내 단축 이방성의 유효 필드입니다. 비율 H a1 / a2 계산에 사용된 =0.7은 실험적으로 얻은 값에 해당합니다(그림 2b). 계단 모양의 모양과 보자력은 φ에 대해 잘 정의되어 있습니다. <60°.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준 Fe(2nm) 필름과 Fe/Cr/Fe 삼중층에 대한 추가 VSM 및 FMR 연구에서는 히스테리시스 루프 또는 공명 스펙트럼에서 중요한 평면 내 각도 의존성을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VSM과 FMR은 샘플의 적분 속성을 측정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거시적인 평면 내 자기 이방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립니다. 반면에, 관찰된 보자력은 면내 자기 이방성에만 기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험적인 M 모양의 ( ) 곡선은 선택한 φ에 대한 개별 곡선보다 평균화하여 얻은 계산된 곡선에 더 가깝습니다. . 따라서 스퍼터링된 다층의 다결정 특성을 고려하면 Fe(2nm) 층이 필름 평면에서 국소 이방성 용이축의 균일한 각도 분포를 갖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그림 3d는 에너지 U (φ m , φ d ) 식의 H에 대한 2개의 변경 사항 . 다시 한 번 H 제이 / av =2 및 φ =15°, 패널(c)의 두 번째 곡선에 해당합니다. 그림 3d의 굵은 실선은 서로 다른 φ에 대한 에너지 최소값을 연결하는 경로를 추적합니다. m (φ d ). 국소 에너지 최소값은 이 최소값 경로 내에서 잘 정의됩니다. 낮은 필드에서 최소값은 Fe 모멘트의 역평행 방향에 해당합니다(φ m ≈ 90°, φ d ≈ 180°). H가 증가함에 따라 , 두 번째 국부 에너지 최소값이 나타나고 심화되는 반면, 첫 번째 최소값은 얕아지고 결국 사라집니다. 이 단일 최소 상태는 Fe 모멘트의 평행 방향에 해당합니다(φ mφ , φ d ≈ 0°). 이후 H 감소 시 , 시스템은 낮은 H에서 사라질 때까지 처음에 두 번째 최소값(평행 자기 상태)에 있습니다. 시스템은 첫 번째 에너지 최소값(역평행 상태)으로 끝납니다.

직접 및 간접 교환 커플링 간의 경쟁:자기 보자력의 온도 의존성

첫 번째 시리즈의 삼중층 Fe/sp1/Fe는 저온 원자현미경 층간 결합에서 고온 분리 상태로 열적으로 유도된 전이를 나타내는 반면, 두 번째 시리즈는 저온 FM에서 고온 원자현미경으로의 전이를 보여줍니다. 커플 링. 두 번째 경우의 FM에서 AFM으로의 열 전환의 경우 외부 자기장이 필요하지 않으며 자화 전환이 완전히 가역적이므로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이점입니다.

위의 첫 번째 샘플 시리즈 분석을 통해 검증된 모델을 사용하여 Fe/sp2*(x )/Fe, sp2* =Fex 유형의 균일한 스페이서 사용 Cr100 − x (1.5nm) 및 sp2* =Cr(d 유형의 복합 스페이서 Cr )/Fex Cr100 − x (d )/Cr(d Cr ), d + d Cr =1.5nm(sp2*는 두께 고정 스페이서 sp2 =Cr(0.4)/Fex에서 파생됨 Cr100 − x (0.7)/Cr(0.4) 두 번째 시리즈). 그림 4는 실험 M을 비교합니다. ( ) sp2 =Cr(0.4)/Fe15인 구조에 대한 루프 Cr85 (0.7)/Cr(0.4) [패널 (a)] 및 해당 M ( ) H로 시뮬레이션된 곡선 제이 실험에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등.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 것은 계산된 루프와 측정된 루프 사이의 높은 유사성으로 모든 주요 기능이 재현됩니다. 둘째, 실험은 FM 층간 커플링[그림 4a의 저온 단일 루프]에서 AFM 커플링[그림 4a의 잔류성이 0인 고온 루프]으로의 온도 유도 전환을 보여줍니다. 다양한 유효 커플링 필드 값 H에 대한 시뮬레이션된 루프 모양의 변화 제이 (그림 4b)는 선택된 현상학적 설명의 타당성을 추가로 확인합니다. 이전 섹션과 동일, H a1 / a2 =0.7이 시뮬레이션에 사용되었습니다. 여기에서는 그렇지 않더라도 계단 모양의 M ( ) AFM 층간 결합으로 인한 것으로 간주되는 모양(예:300K 및 H의 루프) 제이 =0.5H av ) 원칙적으로 층간 결합(H 제이 =0). 그러나 강력한 FM 층간 결합은 항상 단일 M ( ) 루프.

<그림>

두 번째 시리즈 Fe/sp2(x)의 샘플에 대해 MOKE로 측정한 자기장 대 자화 =15%)/Fe, 다른 온도에 대해. 해당 시뮬레이션된 M ( ) 간접 교환 커플링의 다른 유효 필드에 대한 모델 F1/NM/F2 삼중층에 대한 곡선, H 제이

부분 루프의 보자력(H 부분 )은 모든 샘플에 대해 확연한 온도 의존성을 가지며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거의 선형으로 증가합니다. 그림 5a는 자화 도함수 dM에 대한 두 피크 필드 간의 차이로 정의된 보자력장의 온도 의존성을 보여줍니다. /dHH . x 시리즈 =15%는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층의 두께가 다른 샘플을 포함합니다:d (d Cr ) =3(6), 7(4), 9(3), 11(2), 15(0) Å. 마지막 샘플 [d (d Cr ) =15 (0) Å] 균일한 스페이서 Fe15를 가진 삼중층 Cr85 (1.5nm). d가 있는 샘플 ≤ 7 Å(d Cr ≥ 4 Å) H의 단조로운 증가를 나타냅니다. 부분 감소하는 온도와 함께. d가 작은 샘플의 보자력 Cr (<4 Å)는 전이 온도 바로 아래에서 이 기울기에서 벗어나기 시작합니다. H의 고온 부분 부분 (T ) 그러나 [그림 5a에서 두꺼운 빨간색 선으로 표시] 일반적인 선형 추세입니다. 온도에 대한 보자력장의 선형 기울기는 주로 외부 Fe(2nm) 층의 고유 보자력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림>

부분 루프 보자력의 온도 의존성(H 부분 ) 구조 Fe/sp2(x) =15%)/Fex 두께가 다른 Fe Cr100 − x 및 Cr 레이어(d 그리고 d Cr , 각각) 스페이서 sp2. 빨간색 굵은 선은 H의 고온 부분의 선형 근사치입니다. 부분 (T ). 선형 배경으로 정규화된 보자력의 온도 의존성. 보자력 대 H 제이 시뮬레이션된 M에서 얻음 ( ) 두 가지 경우에 대한 곡선:(1) H a1 / a2 =0.7 및 (2) H a1 = a2

이전 작업에서 [9] 스페이서 두께가 d인 구조 ≤ 7 Å(d Cr ≥ 4 Å)가 가장 날카로운 열자기 스위칭을 보였습니다. 그런 다음 우리는 자기 전이가 좁아지는 이유가 외부 Fe 층 사이의 직접 교환 채널을 끄기 때문이라고 제안했습니다. 한편, H의 의존성은 부분*T (그림 5b), H를 정규화하여 얻음 부분 (T ) 경사진 고유 보자력 배경에 대해 눈에 띄는 음수를 보여줍니다. 얇은 Cr 스페이서가 있는 구조의 경우에만 편차(d Cr <4 Å) 및 본질적으로 d에 대한 편차 없음 Cr ≥ 4 Å. x에 대한 종속성 =20%, d Cr =4 Å는 x의 전환 때문에 비교를 위해 표시됩니다. =15%, d Cr =4 Å(T C * ≈ 140 K)는 가장 낮은 측정 온도에 가깝습니다. H에 음의 편차가 없음 부분*T d가 있는 구조의 경우 Cr ≥ 4 Å는 직접적인 층간 결합이 완전히 억제되었다는 추가 확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종속성 부분을 분리하여 분석하려면 H 부분 (T ), 이는 층간 결합(H)의 강도 및 부호 변화에 의해 구동됩니다. 제이 ), 시뮬레이션된 M의 보자력 ( ) 대 H로 표시됩니다. 제이 그림 5c에서. 따라서 H를 얻었습니다. T F1 및 F2 레이어의 유효 등방성 필드 사이의 비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H a1 / a2 . H의 편차가 클수록 a1 / a2 단일성에서 다이어그램의 FM 쪽의 0 필드에서 최소값이 깊어지고 오프셋이 커집니다(H 제이 <0). 이방성 필드가 같을 때(H a1 / a2 =1), 최소값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동작은 H 부분* (T ) 큰 d를 갖는 균일한 복합 스페이서가 있는 구조의 경우 Cr (≥ 4 nm) [각각 그림 5b의 파란색 및 검정색 곡선]. 이것은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스페이서가 두 개의 외부 Fe 층 사이의 층간 결합을 다르게 전달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균일한 스페이서에서 직접 FM 교환은 간접 AFM 교환과 경쟁하며 일부 온도에서는 H 제이 =0. 이 경우는 F1 및 F2 레이어가 서로 다른 등방성 필드를 갖는 우리 모델에 의해 잘 설명됩니다[그림 5c의 파란색 곡선]. 대조적으로, 복합 스페이서가 있는 구조의 Fe 층은 저온에서 Fe/Cr/FeCr 및 FeCr/Cr/Fe를 통해 순차적으로 FM 결합되며 스페이서의 FeCr 내부 층은 FM 상태입니다. 이 FeCr 층은 추가 교환 링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스페이서는 외부 Fe 층의 보자력을 효과적으로 균등화하는 방식으로 교환을 전달합니다[그림 5c의 검은색 곡선]. FeCr 층이 상자성 상태에 있을 때 시스템은 균일한 스페이서가 있는 것과 유사하게 거동 [H의 고온 부분 부분*T 그림 5b의 의존성과 H의 AFM 측 T ( 제이 > 0) 그림 5c].

결론

요약하면, 우리는 서로 다른 유형의 층간 교환 매개 스페이서가 있는 다층에서 온도 유도 자화 스위칭의 두 가지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비교했습니다. 스위칭 메커니즘은 균일한 스페이서를 통한 직접 및 간접 교환 결합 또는 복합 스페이서를 통한 강자성 및 반강자성 유형의 모든 간접 교환 결합의 경쟁을 반영합니다. 스페이서 설계의 핵심 요소는 약자성 희석 합금 층이며, 이 층의 퀴리 전이는 구조에서 P-AP 자화 스위칭으로 변환됩니다. 다층의 자기 히스테리시스에 대한 자세한 이론적 시뮬레이션으로 뒷받침되는 측정 데이터는 외부 강자성 층의 평면에 균일하게 분포된 쉬운 축을 가진 단축 자기 이방성의 나노 입자로 인해 설명됩니다. 자기 전이 영역에서 자기 보자력의 온도 의존성은 스페이서 설계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갖습니다. 복합 스페이서가 있는 구조의 특정 동작은 억제된 직접 층간 교환 채널의 결과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관련 P-AP 스위칭 메커니즘은 간접 강자성 및 간접 반강자성(둘 다 RKKY 유형) 교환의 경쟁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스페이서 내에서 직접 층간 교환의 깨진 채널이 더 날카로운 열자기 전이와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우리는 스페이서의 근접 효과가 작동하지 않는 순수한 간접 층간 교환인 강자성 RKKY 대 반강자성 RKKY의 열 구동 경쟁이 훨씬 더 나은 스위칭 성능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스핀-열-전자 장치에서 Curie-RKKY 나노구조의 장치 응용에 중요해야 합니다[19, 20].

약어

AFM:

반강자성

AP:

역평행

FM:

강자성

FMR:

강자성 공명

IEC:

간접 교환 커플링

모크:

자기 광학 커 효과

NM:

비자성

P:

병렬

오후:

상자성

RKKY:

Ruderman-Kittel-Kasuya-Yosida

VSM:

진동 샘플 자력계


나노물질

  1. Arduino 및 Raspberry Pi로 인터넷 제어 비디오 스트리밍 로봇 구축
  2. 3D-DNA 나노구조
  3. 자기 플라즈몬을 전도하는 나노클러스터
  4. 약한 강자성 정렬이 수반되는 반강자성 순서를 갖는 Ni 도핑된 Sb2Te3 토폴로지 절연체의 자기 민감도 분기
  5. 전기촉매 수소 진화를 위한 제어된 두께의 MoS2
  6. 메타 물질에서 표면 플라스몬 극성과 자기 쌍극자 공명의 결합 효과
  7. 업컨버전 발광 향상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BaYF5:Er3+, Yb3+ 제어 합성
  8. 백금 나노입자 표면 플라즈몬과의 결합을 통한 MgZnO 금속-반도체-금속 광검출기의 상당한 향상
  9. 자기 공명 영상 및 약물 전달을 위한 치료 물질로서 Fe3O4 나노클러스터를 기반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나노구조의 제작
  10. 공실이 있는 결함 있는 단층 WSe2의 전자적 및 자기적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