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제조
산업용 사물 인터넷 | 산업자재 | 장비 유지 보수 및 수리 | 산업 프로그래밍 |
home  MfgRobots >> 산업 제조 >  >> Industrial materials >> 나노물질

고성능 대칭 슈퍼커패시터를 위한 질소 도핑 미세다공성 탄소 구체의 손쉬운 합성

초록

질소 도핑된 미세 다공성 탄소 구체(NMCS)는 Stöber-하에서 연질 템플릿으로 삼중 블록 공중합체 Pluronic F108을 사용하여 손쉬운 시간 절약형 1단계 열수 전략으로 합성된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중합체 구체의 탄화 및 KOH 활성화를 통해 성공적으로 준비됩니다. 메소드 조건과 같습니다. 에탄올/물 부피비 및 탄산화 온도가 제조된 NMCS의 형태, 기공 구조 및 전기화학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했습니다. 최적의 NMCS는 1517m 2 의 넓은 비표면적을 가집니다. g − 1 모공 부피 0.8cm 3 g − 1 . X선 광전자 분광법 분석은 2.6at.%의 적절한 질소 도핑 함량을 나타냅니다. 슈퍼커패시터 전극 재료로 사용되는 준비된 NMCS는 416F g − 1 의 뛰어난 비정전용량을 나타냅니다. 0.2A의 전류 밀도에서 g − 1 , 또한 10,000회 주기 후에도 정전용량 유지율이 96.9%로 우수한 충방전 주기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겔 전해질로 PVA/KOH를 사용하여 구성된 대칭형 슈퍼커패시터는 60.6F g − 1 의 비정전용량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1A g − 1 의 전류 밀도에서 . 최대 에너지 밀도 21.5Wh kg − 1 800Wkg − 1 의 전력 밀도에서 달성 가능 , 에너지 밀도는 여전히 13.3Wh kg − 1 을 유지합니다. 16kW kg − 1 의 높은 전력 밀도에서도 . 결과는 이 연구가 고성능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극 재료에 대한 NMCS를 합성하는 쉽고 효과적인 방법을 열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섹션 데이터-제목="배경">

배경

에너지 안보와 지구 온난화는 전통적인 화석 연료의 엄청난 고갈이 증가함에 따라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에너지와 출력이 높고 수명이 긴 친환경적이고 친환경적이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개발이 시급합니다[1]. 따라서 최근 수십 년 동안 슈퍼 커패시터는 빠른 충방전 속도, 높은 전력 밀도 및 우수한 사이클 안정성의 장점으로 인해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에 상당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2,3,4]. 슈퍼 커패시터는 전하 저장 메커니즘에 따라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DLC)와 의사 커패시터로 나눌 수 있습니다. 탄소 기반 슈퍼커패시터로도 알려진 EDLC는 전극/전해질 계면에서 가역적인 물리적 정전기 전하 축적으로 인해 높은 전력 밀도와 긴 사이클 수명을 갖는다[5]. 그러나 EDLC의 전기화학적 커패시턴스와 에너지 밀도는 비표면적의 한계로 인해 여전히 낮아 상용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6]. 반면에 유사 커패시터는 표면 패러딕 산화환원 반응으로 인해 EDLC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지만 전력 밀도와 사이클 수명을 희생합니다. 따라서 슈퍼 커패시터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높은 전력 성능과 긴 사이클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정전기 흡착 메커니즘과 패러딕 산화환원 반응 효과를 결합한 다수의 다기능 탄소 재료가 광범위하게 설계 및 합성되었다[7,8,9,10,11]. 그 중 헤테로원자 도핑(특히 질소(N) 및 산소(O)) 탄소구(CS)는 독특한 구조적 특징(예:규칙적 기하학 및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 안정적인 물리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가장 유망한 후보 중 하나입니다. 속성 및 고급 다공성 [12,13,14,15,16]. 이전 연구에서는 헤테로원자 도핑이 전자 전도도 증가, 표면 습윤성 개선과 같은 CS의 특성을 최적화하는 효과적인 전략이며 더 중요한 것은 패러딕 반응을 통한 정전 용량 향상에 대한 추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13, 17] .

탄소 전구체는 생성된 탄소 프레임워크의 최종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결정합니다[18].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폴리머인 페놀 수지는 저렴한 비용, 높은 열 안정성 및 탄소 재료로의 쉬운 변형으로 인해 매혹적인 전구체가 되었으며 CS 합성에 널리 사용됩니다[14, 19, 20]. 2011년에 Liu et al. [21] 먼저 Stöber 방법을 매우 균일하고 제어 가능한 크기로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중합체 구체 및 CS 합성으로 확장했습니다. 그 후, N-도핑된 CS를 제조하기 위해 많은 Stöber-유사 방법이 개발되고 사용되었습니다[22,23,24]. 예를 들어 Lu와 동료[25]는 Stöber 조건에서 N 함유(1.21at.%) 초미세 다공성 CS를 제조하기 위해 레조르시놀과 중합된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활용했습니다. 슈퍼커패시터용 전극재료로 얻어진 N-도핑된 CS는 269F g - 1 의 높은 비정전용량을 나타냈다. 1.0A에서 g − 1 . Tian et al. [26]. 127 F g − 1 의 우수한 전기화학적 정전용량을 나타내는 Stöber-like 방법에 의해 5.5wt%에서 11.9wt%의 높은 질소 함량을 갖는 N-도핑된 CS를 성공적으로 준비했습니다. 10mV s − 1 에서 . 그러나 이러한 Stöber와 유사한 합성 방법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절차 및/또는 긴 처리 시간(보통 24시간 이상)이 필요했으며 이러한 CS 중 다수는 제한된 비정전용량 및 불만족스러운 에너지 밀도를 나타냈습니다. 따라서 고성능 슈퍼커패시터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N-도핑된 CS를 준비하기 위한 쉽고 빠른 전략을 개발하는 것은 큰 도전입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고성능 슈퍼커패시터 전극 재료를 위한 N-도핑된 미세다공성 탄소 구체(NMCS)를 준비하기 위한 손쉬운 시간 절약형 원팟 열수 합성 방법을 보고합니다. 페놀-포름알데히드(PF) 수지 구체는 3블록 공중합체(Pluronic F108, PEO132 -PPO50 -PEO132 )은 소프트 템플릿으로 사용되며 수산화 암모늄은 촉매제 및 질소 소스로 사용됩니다. 전체 열수 합성 시간은 이전에 보고된 Stöber-like 방법에 비해 현저히 단축될 수 있습니다. 넓은 표면적과 적절한 질소 함량을 갖는 NMCS는 PF 수지 구체의 탄화 및 KOH 화학적 활성화를 통해 성공적으로 얻어집니다. 그 결과 슈퍼커패시터용 전극재료로 제조된 NMCS는 416 F g − 1 의 뛰어난 비정전용량을 나타내었다. 0.2A의 전류 밀도에서 g − 1 10,000회 충전/방전 주기 후 정전 용량 유지율이 96.9%로 뛰어난 사이클링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구성된 대칭형 슈퍼커패시터 장치(SSD)는 21.5Wh kg − 1 의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결과는 합성된 NMCS가 고성능 슈퍼커패시터를 위한 유망한 전극 재료임을 나타냅니다.

방법

자료

페놀, 포름알데히드(37 중량%), 암모니아 용액(25 중량%), 무수 에탄올,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KOH는 Sinopharm Chemical Reagent Co. Ltd.에서 구입한 분석 시약입니다. sub>132 -PPO50 -PEO132 )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60wt%)은 Aladdin에서 구입했습니다. 모든 화학 물질과 시약은 사용하기 전에 추가 정제 없이 받은 그대로였습니다.

NMCS 합성

NMCS는 Stöber 방법의 수정된 확장에 의해 합성되었습니다[21]. 일반적인 합성에서 F108 0.5g을 먼저 80mL 혼합 용매에 용해했습니다(에탄올/탈이온수의 부피 비율은 4.3:1이고 다른 비율은 7:1, 3:1 및 1:1로 비교를 위해 사용됨).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투명한 용액을 형성합니다. 그런 다음, 3mL 암모니아 용액, 1.2g 페놀 및 4.5mL 포름알데히드를 상기 시스템에 추가하고 30분 동안 계속 교반합니다. 그 후, 생성된 용액을 밀봉된 100mL 테프론 라이닝 스테인리스 스틸 오토클레이브에 옮기고 170°C에서 6시간 동안 열수 반응시켜 PF 수지 폴리머 구체를 제작했습니다. 얻어진 담황색 침전물을 탈이온수와 무수 에탄올로 여러 번 헹구고 80°C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수집 후, 생성물을 3시간 동안 다양한 탄화 온도(500°C, 600°C, 700°C 또는 800°C)에서 어닐링한 다음 700°C에서 1시간 동안 1:2의 질량비로 활성화된 KOH를 처리했습니다. N2 아래 NMCS를 제작하기 위한 흐름(NMCS-x로 표시, 여기에서 x는 탄화 온도를 나타냄).

특성화

NMCS의 형태는 주사 전자 현미경(SEM, Nova NanoSEM230)으로 특성화되었습니다. Tecnai G2 F20 S-TWIX 기기로 투과 전자 현미경(TEM)을 조사했습니다. X선 회절(XRD) 패턴은 Cu Kα 방사선(λ =0.15056nm). X선 광전자 분광법(XPS) 측정은 Al 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ESCALAB 250Xi 기기에서 수행되었습니다. N2 흡착-탈착 등온선은 ASAP 2020 기기로 77K에서 측정되었습니다. BET(Brunauer-Emmet-Teller) 방법과 BJH(Barret-Joyner-Halenda) 방법을 사용하여 재료의 비표면적과 기공 크기 분포를 각각 계산했습니다.

전기화학 측정

모든 전기화학적 측정은 전기화학적 워크스테이션(CHI660E, Shanghai Chenhua Instruments)에서 수행되었습니다. 작동 전극은 NMCS 활물질, PTFE 및 아세틸렌 블랙을 80:10:10의 질량비로 에탄올에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혼합 재료는 니켈 폼에 코팅되었으며 각 조각 작업 전극의 활물질 질량은 약 3 mg cm - 2 이었습니다. . NMCS 전극의 전기화학적 성능은 백금 호일과 Hg를 사용하는 6M KOH 전해액에서 고전적인 3전극 시스템을 사용한 순환 전압전류법(CV), 정전류 충전/방전(GCD) 및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기(EIS) 측정으로 특성화되었습니다. 상대 전극과 기준 전극으로 각각 HgO.

SSD는 NMCS-600 전극과 PVA/KOH의 겔 전해질로 조립되었습니다. 수정된 방법을 사용하여 PVA/KOH 겔 전해질을 제조했습니다[27]. 일반적으로 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 하에 2g PVA를 80°C에서 12mL 탈이온수에 용해했습니다. 그 후, 1.5g의 KOH를 3mL의 탈이온수에 용해시키고, 상기 시스템에 적가하였다. 혼합물 용액을 80℃에서 30분 동안 더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위의 방법으로 만든 두 개의 동일한 NMCSs-600 전극을 PVA/KOH 겔 용액에 5분 동안 담그고 멤브레인으로 분리된 두 개의 NMCSs-600 전극을 대면하여 겹쳐 놓았습니다. 실온에서 젤이 응고된 후 SSD가 성공적으로 준비되었지만 캡슐화되지 않았습니다(추가 파일 1:그림 S1 참조).

중량 비 커패시턴스, 에너지 밀도 및 전력 밀도는 다음 방정식에 따라 방전 곡선에서 계산되었습니다.

$$ Cg=\frac{I\Delta t}{m\Delta V} $$ (1) $$ Cs=\frac{I\Delta t}{M\Delta V} $$ (2) $$ E=\frac{Cs\Delta {V}^2}{2\times 3.6} $$ (3) $$ P=\frac{3600E}{\Delta t} $$ (4)

(A)는 충전/방전 전류, Δt (s)는 방전 시간, ΔV (V)는 잠재적 창, m (g) NMCS 전극의 활성 물질 질량, M (g) NMCSs-600 기반 SSD의 총 활물질 질량, C g (F g − 1 ) NMCS 전극의 비정전용량, C s (F g − 1 ), E (Wh kg − 1 ) 및 (W kg − 1 )는 각각 NMCS-600 기반 SSD의 비정전 용량, 에너지 밀도 및 전력 밀도입니다.

결과 및 토론

NMCS 제작

합성 경로는 반응식 1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친수성/소수성 비율이 큰 삼중 블록 공중합체 Pluronic F108을 소프트 템플릿으로 사용하고, 에탄올과 탈이온수를 공용매로 사용하고, 페놀과 포름알데히드를 탄소 전구체로 선택했습니다. Pluronic F108 단량체는 먼저 에탄올/물 용액에 용해되어 구조 지시 및 기공 형성제로서 F108 미셀을 형성합니다[28]. 그 다음, 많은 수산기(-OH)를 갖는 PF 전구체와 F108의 PEO 사슬 사이의 수소 결합 상호작용을 통해 에멀젼 방울이 형성되었다[29, 30]. 열수 반응 과정(일반적인 온도는 170°C임) 동안 NH4 촉매하에 에멀젼이 가교 중합되어 PF 수지 중합체 구체를 합성했습니다. + [21]. 높은 암모니아 농도와 중합 과정을 가속화하는 높은 열수 온도로 인해 반응 시간이 매우 짧다는 점(단 6시간 소요)이 주목할 만합니다. 그러나 반응시간이 더 단축됨에 따라 생산수율이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NMCS는 PF 수지 구체의 탄화 및 KOH 활성화를 통해 얻어졌습니다.

<그림>

NMCS 제조 공정의 개략도

형태 및 구조

그림 1a ~ d는 합성된 NMCS의 SEM 이미지를 다양한 에탄올/물 부피비로 보여줍니다. NMCS는 규칙적인 구형 입자를 가지고 있지만 각각 7:1, 4.3:1 및 3:1의 높은 부피비에서 덩어리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탄올/물 부피비가 1:1일 때, NMCS는 매끄러운 표면, 완전한 구형 형태 및 양호한 분산을 가지며 CS의 직경은 주로 1.2-2μm에 집중된다. NMCS의 구형도와 분산도는 에탄올/물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점차 좋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의 비율을 높이면 표면 장력이 감소하고 [31] 인접한 페놀 수지의 가교 밀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에탄올/물의 부피비를 감소시키면 분산이 잘 되고 표면이 매끄러운 PF 수지 고분자 구체가 형성된다. NMCS-600의 TEM 이미지(그림 1e)는 구 형태를 나타냅니다. HR-TEM 이미지(그림 1f)는 높은 비정전용량에 대해 충분한 활성 부위와 보다 효율적인 경로를 제공하는 명확한 미세다공성 구조를 보여줍니다.

<그림>

(a ) 7:1, (b ) 4.3:1, (c ) 3:1 및 (d ) 1:1, (e ) TEM 및 (f ) NMCS-600의 HR-TEM 이미지

그림 2a는 다양한 탄화 온도에서 NMCS 샘플의 XRD 패턴을 나타냅니다. ca에 위치한 하나의 명백한 넓은 회절 피크. 2θ =44°, 다른 하나는 ca. 2θ =25°는 탄화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형성된다. (100) 및 (002) 격자 평면에 각각 해당하는 이 두 피크는 준비된 NMCS가 비정질 탄소임을 나타냅니다.

<사진>

( ) XRD 패턴 및 (b ) 준비된 NMCS 재료의 XPS 조사 스펙트럼 및 (c의 다양한 탄화 온도에서의 고해상도 N 1 s 스펙트럼 ) 500°C, (d ) 600°C, (e ) 700°C 및 (f ) 800°C

구성 분석

Stöber 방법의 확장에서 암모니아 수용액은 PF 수지 구체의 제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F 수지의 중합을 시작하는 촉매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N 헤테로원자를 탄소 프레임워크에 도입하는 질소 공급원 역할도 합니다[25]. 따라서 XPS 측정을 통해 준비된 재료의 화학 조성을 탐색합니다. 그림 2b는 다양한 탄화 온도에서 NMCS 재료의 XPS 조사를 보여줍니다. C 1 s, N 1 s 및 O 1 s의 세 가지 명백한 피크는 각각 284.8eV, 400.5eV 및 532.9eV의 결합 에너지에 있습니다. N 및 O 헤테로원자가 CS 매트릭스에 성공적으로 도핑된 것이 분명하며 이는 다른 이전 연구 결과와 일치합니다[22]. NMCS의 XPS 원소 조성 분석은 Table 1과 같다. NMCSs-600의 N 상대 함량이 2.6at.%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탄화 온도가 800°C로 증가함에 따라 N의 함량은 0.9at.%로 감소합니다. 이것은 고온에서 N 함유 작용기의 분해 및 전환으로 설명되어야 합니다[15]. 다양한 탄화 온도에서 NMCS 재료의 고해상도 N 1 스펙트럼이 그림 2c ~ f에 나와 있습니다. 4개의 특징적인 피크는 398.5 eV, 400.2 eV, 401.0 eV 및 403.2 eV의 결합 에너지에 위치하며, 이는 피리딘-N(N-6), 피롤산-N(N-5), 4차-N(NQ) 및 각각 피리딘-N-옥사이드(NX). 표 1은 해당 NMCS의 총 N 1 에 대한 N-6, N-5, N-Q 및 N-X의 상대 비율을 제공합니다. N-6의 비율은 탄화 온도가 500°C에서 800°C로 상승함에 따라 32.4%에서 10.7%로 현저하게 감소합니다. NMCSs-600 재료는 31.7%의 가장 높은 N-5 비율을 갖지만 탄화 온도가 더 증가함에 따라 감소합니다. 이에 반해 N-Q의 비율은 탄화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19.4%에서 38.5%로 급격히 증가하여 다른 탄소재료와 유사하다[9]. N의 각 화학적 상태는 슈퍼커패시터의 전기화학적 성능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칩니다. 연구에 따르면 음전하를 띤 N-6과 N-5는 전기화학적 활성 및 전자 공여체로 확인되어 유사 정전 용량 반응에 기여하는 반면, 양전하를 띤 NQ와 NX는 주로 전하 이동을 개선하고 탄소의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재료 [22, 25]. 따라서 NMCS-500 및 NMCS-600이 더 큰 유사 용량을 나타내는 반면 NMCS-700 및 NMCS-800은 더 나은 전기 전도도를 보일 것이라고 추론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NMCS 샘플의 고해상도 C 1 s 스펙트럼(추가 파일 1:그림 S2)은 3개의 특징적인 피크가 284.7eV, 285.4eV 및 288.6eV에 있으며 C=C, C–OH 및 C–N에 할당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환경 각각 [32]. CN 피크는 N 1 스펙트럼의 N-Q 환경도 반영합니다. 또한, O 1 s의 고해상도 스펙트럼(추가 파일 1:그림 S3)은 C=O, C–에 해당하는 531.3 eV, 533.3 eV 및 536.4 eV의 결합 에너지에 위치한 3개의 개별 피크로 분해될 수 있습니다. OH 및 COOH, 각각 [7]. 일반적으로 O-함유 그룹의 존재는 전자 공여체의 산화환원 반응 덕분에 추가적인 유사 정전용량의 이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극성 작용기의 형성을 통해 재료 표면의 습윤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N 및 O 도핑된 CS가 성공적으로 합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질소 흡착 연구

NMCS의 질소 흡착/탈리 등온선은 그림 3a에 나와 있습니다. 생성된 모든 NMCS는 P/P0의 낮은 상대 압력에서 급격한 흡수로 전형적인 유형 I 등온선을 전달했습니다. <0.05, 풍부한 미세 기공을 보여줍니다[33, 34]. 높은 N2 0.1

0의 상대 압력에서 흡착 수평 안정기 <1은 비표면적이 높고 기공 부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NMCS의 기공 크기 분포 곡선은 그림 3b에 나와 있습니다. 0.7 ~ 2nm 범위에 미세 기공이 많이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NMCS의 미세 기공은 고온 탄화 과정에서 F108과 PF 수지 고분자의 분해와 KOH의 화학적 활성에 기인할 수 있다[23, 28]. 표 2는 NMCS의 비표면적과 기공 구조 매개변수를 요약한 것입니다. 총 기공 부피는 탄화 온도가 500°C에서 600°C로 증가함에 따라 커집니다. 비표면적 뿐만 아니라 기공 부피도 동시에 증가합니다. 결과는 기공 부피의 증가가 비표면적의 증가에 유리함을 나타냅니다. NMCSs-600은 1517m 2 의 가장 높은 비표면적을 가집니다. g − 1 최대 총 모공 부피 0.8cm 3 g − 1 , 충분한 전극/전해질 접촉 계면과 전기 이중층을 위한 풍부한 활성 부위를 제공하고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탄화 온도가 800°C까지 추가로 상승하면 총 기공 부피와 비표면적이 모두 현저하게 감소하며, 이는 기공의 붕괴 또는 수축으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7, 8]. 또한, CS의 적층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메조다공성 부피가 있습니다. 따라서 탄화온도는 NMCS의 기공구조 조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위의 구조 특성 및 분석은 NMCS 샘플, 특히 NMCS-600이 EDLC용 전극 재료로서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림>

( ) 질소 흡착/탈착 등온선 및 (b ) NMCS 재료의 기공 크기 분포 곡선

NMCS 전극의 전기화학적 성능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재료로서 얻어진 NMCS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CV, GCD 및 EIS가 6M KOH 수성 전해질에서 3전극 시스템으로 수행되었습니다. 그림 4a는 NMCS의 CV 곡선을 보여줍니다. 모든 샘플은 10mV s − 1 의 스캔 속도에서 대칭 준 직사각형 모양을 나타냅니다. . N- 및 O-도핑된 산화환원 반응에 기인한 명백한 가역 혹이 - 0.8 ~ - 0.2 V의 전위 창에서 입증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NMCS-600 재료는 이전 XPS 분석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N 도핑 농도 및 적당한 O 함유. 이 결과는 N- 및 O-함유 작용기가 패러데이 반응의 발생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NMCS-600은 높은 비표면적과 높은 N-도핑 농도로 인해 다른 샘플보다 높은 전류 밀도를 가지므로 비정전용량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다른 스캔 속도에서 NMCS-600 전극의 CV 곡선은 그림 4b에 나와 있습니다. 100mV s − 1 의 높은 주사율에서도 준사각형 모양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NMCSs-600 재료는 고유한 다공성 구형 구조가 짧은 확산 경로와 빠른 이온 수송을 생성하기 때문에 속도 성능이 우수함을 나타냅니다.

<그림>

( ) 10mVs의 스캔 속도에서 NMCS 전극의 CV 곡선 − 1 , (b ) 10~100mV s − 1 의 다양한 스캔 속도에서 NMCS-600 전극의 CV 곡선 , (c ) 1A g - 1 의 전류 밀도에서 NMCS 전극의 GCD 곡선 , (d ) 다른 전류 밀도에서 NMCS-600 전극의 GCD 곡선, (e ) 전류 밀도의 함수로서의 NMCS 전극의 비정전용량 및 (f ) 10 A g − 1 의 전류 밀도에서 NMCSs-600 전극의 사이클링 성능 10,000 주기 동안 삽입된 그림은 6M KOH 수용액에서 3전극 시스템을 사용하여 처음 5개 및 마지막 5개 주기의 GCD 곡선을 보여줍니다.

1A g − 1 의 전류 밀도에서 NMCS 전극의 GCD 곡선 그림 4c에 나와 있습니다. 전형적인 삼각형 모양은 충전/방전 과정에서 가역적인 전기화학적 성능과 우수한 쿨롱 효율을 보여줍니다. NMCSs-600 전극은 318F g − 1 의 가장 높은 비정전용량을 가집니다. NMCSs-500(280 F g − 1 )과 비교 ), NMCS-700(295 F g − 1 ) 및 NMCS-800(271 F g − 1 ). 전극과 전해질 사이의 많은 접촉 계면을 허용하는 높은 비표면적. 적절한 N-도핑 농도(특히 N-5 및 N-6 질소 종의 경우)는 탄소 재료의 표면 습윤성을 개선하지만, 이는 충분한 활성 부위와 유사 정전용량 성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습니다[32]. NMCS-700은 동일한 비표면적과 높은 O 함량을 갖지만 N-도핑 농도는 더 낮지만 NMCS-600보다 비정전용량이 더 낮은 이유를 설명합니다. 그 결과 높은 N-도핑 함량과 비표면적의 증가가 전기화학적 정전용량 개선에 공동으로 기여함을 시사한다. 그림 4d는 0.2 ~ 20A g − 1 의 다양한 전류 밀도에서 NMCS-600 전극의 GCD 프로파일을 보여줍니다. . 20A g − 1 의 높은 전류 밀도에서도 명백한 IR 강하 없이 우수한 속도 성능이 관찰됩니다. , NMCS-600 전극의 작은 등가 직렬 저항을 나타냅니다[35]. 그러나 곡선은 불완전한 대칭이지만 약간 왜곡되어 N 및 O를 포함하는 작용기가 전기 이중층 정전용량과 의사 정전용량의 조합을 유발하여 설명할 수 있습니다. NMCS 재료의 속도 성능을 자세히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전류 밀도에서 방전 곡선에서 계산된 모든 샘플의 비정전용량이 그림 4e에 나와 있습니다. 분명히 NMCS-600 전극은 동일한 전류 밀도에서 다른 NMCS 재료보다 비정전용량이 더 높습니다. NMCSs-600 전극은 여전히 ​​253F g − 1 의 특정 정전용량을 유지합니다. 20A g − 1 의 큰 전류 밀도에서도 , 415 F g − 1 의 특정 정전용량과 비교 0.2A에서 g − 1 , 61%의 우수한 정전용량 유지율을 나타냅니다. 문헌에 보고된 soft-template 또는 Stöber-like 방법으로 합성된 다른 CS 재료와 NMCS-600의 전기화학적 성능 비교가 표 3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NMCS-600의 비정전용량은 탁월한 이점이 있습니다. 높은 기공 부피, 높은 비표면적 및 N 및 O의 높은 도핑 함량에 의해 제공되는 유사 정전용량의 상승적 기여에 기인하는 대부분의 CS에 비해. 더 중요한 것은 이 작업에서 CSs 합성 시간이 이전에 보고된 소프트 템플릿 및 Stöber 유사 방법. 따라서 여기에 보고된 방법은 EDLC의 고성능 CS 기반 전극을 준비하기 위한 시간을 절약하고 유망한 전략입니다.

전극 재료의 사이클 수명은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장치의 실제 적용 과정에서 확실히 필수적인 매개변수입니다. NMCSs-600 전극의 장기 사이클링 안정성은 10A g − 1 의 전류 밀도에서 충전/방전 사이클링으로 평가됩니다. . 그림 4f에서 볼 수 있듯이 비정전용량 유지율은 10,000주기 후 초기 정전용량의 96.9%로 NMCS-600 소재가 우수한 주기 안정성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하게, 처음 5번과 마지막 5번의 충전/방전 사이클의 거의 유사한 GCD 곡선도 가역적 프로세스와 사이클링 안정성을 확인합니다(그림 4f의 삽입). 미세다공성 CS의 독특한 구조적 이점은 우수한 사이클 안정성을 부여하고 높은 비정전용량과 결합되어 슈퍼커패시터의 유망한 전극 재료로서 큰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EIS는 정전용량 특성, 저항 특성 및 이온 이동 거동과 같은 전극/전해질 계면의 전하 수송 정보 및 동역학 과정을 연구하는 강력한 방법입니다[ 36 ]. EIS 측정을 통해 준비된 재료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탐색합니다. 그림 5a는 0.01Hz ~ 10kHz의 주파수 범위에서 NMCS 전극의 Nyquist 플롯을 보여줍니다. 모든 샘플의 곡선은 그림 5b에 표시된 EDLC의 일반적인 Nyquist 플롯과 매우 유사한 모양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 Z의 첫 번째 교차점 축은 등가 직렬 저항을 나타냅니다(R S ), 주로 전극 재료의 고유 저항, 전해질 저항 및 전극/집전체의 접촉 저항으로 구성됩니다[2]. 고주파에서 준 반원 존재의 직경은 전하 이동 저항을 반영합니다(R ct ) 전극/전해질 계면에서. 중간 주파수에서 거의 45° 직선은 Warburg 임피던스를 나타냅니다(R w ), 탄소 재료의 기공 채널에서 전해질 이온의 확산 수송 속도를 나타냅니다[7]. 저주파 영역에서 모든 샘플은 거의 수직선으로 존재하며 NMCS 재료가 이상적인 정전 용량 성능을 가지며 전극에서 확산 제한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등가 회로 모델은 그림 5b의 삽입 부분에 표시되어 있으며 NMCS 전극의 다양한 저항 피팅 데이터는 추가 파일 1:표 S1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All samples have small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and semicircle diameter indicate a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ontact interface, which could be due to the high N-doped concentration improving the electronic character and wettability of those carbon materials. Furthermore, the short Warburg-type line reveals that appropriate porosity matching perfect with the electrolyte ions and minimize the diffusion resistance for mass transport at the pore channels.

( ) Nyquist plots of NMCSs materials and the inset shows the magnify plots at high frequency range and (b ) a typical Nyquist plot of EDLCs and the equivalent circuit model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NMCSs-600-Based SSD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as-prepared NMCSs-600 materials, the SSDs are assembled by the identical NMCSs-600 electrodes and the gel electrolyte of PVA/KOH.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NMCSs-600-based SSDs are evaluated by two-electrode system. To determine the maximum voltage window, Fig. 6a show the CV curves of the NMCSs-600-based SSD measurement at scan rate of 20 mV s − 1 with different voltage windows range from 1 V to 1.6 V. The CV curves exhibit a rectangular-like shape in the work windows from 1 to 1.4 V, indicating the ideal EDLCs behavior. When the voltage window increases to 1.6 V, a slightly anodic current polarization peak begins to appear. Thus, 1.6 V is selected as the work voltage window to study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the SSDs. Figure 6b shows the CV curves of the SSD at different scan rates from 10 to 100 mV s − 1 over a voltage window of 1.6 V. Obviously, the current density increasing with the scan rate, and a quasi-rectangular shape is well maintains even at a high scan rate of 100 mV s − 1 . It suggests that the as-prepared SSD has ideal supercapacitor behavior and fast charge transportation. In addition, the SSD presents a wide and reversible peak at 0.4 V with a little distort, demonstrating the good pseudocapacitance performance provided by N- and O-doped. Moreover, the GCD curves of the SSD are also performed at various current densities from 1 to 20 A g − 1 (Fig. 6c). As expected, the nearly triangular shape can be observed, showing it is a reversible charge/discharge process. The specific capacitance of the NMCSs-600-based SSD as a function of current density is shown in Fig. 6d. A maximum capacitance of 60.6 F g − 1 can be reached at current density of 1 A g − 1 and retains 37.5 F g − 1 at 20 A g − 1 , demonstrate the good rate performance and high capacitance retention. EIS measurement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rface contact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SSDs. According to the Nyquist plot (Fig. 6e), a small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of 0.83 Ω and charge transfer resistance of 0.85 Ω are obtained, manifesting the excellent electronic conductivity of the as-prepared SSD and good interface contact between the NMCSs-600 electrodes and the PVA/KOH electrolyte. In addition, the low Warburg resistance of 0.52 Ω and a nearly straight line at low frequency reveal the fast charge transportation as well as ion diffusion, which represent a favorable capacitive performance of the NMCSs-600-based SSDs. In addition, the NMCSs-600-based SSD displays good cycling stability with 80% retention after 2000 consecutive cycles at a current density of 10 A g − 1 (Additional file 1:Figure S4).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assembled SSDs based on the NMCSs-600 materials using PVA/KOH as the gel electrolyte in two electrode system. CV curves of the SSD in different voltage windows from 1 to 1.6 V at the scan rate of 20 mV s − 1 . CV curves of the SSD at various scan rates within a voltage window of 1.6 V. c GCD curves at different current densities. d The gravimetric capacitance of the SSD as a function of current density, the inset image shows a commercial red LED powered by two SSDs in series. Nyquist plot of the SSD, the inset gives the magnify plot for high frequency range. Ragone plots of the SSD and the other carbon spheres based symmetric supercapacitors

Energy density and power density are two key parameters for assess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supercapacitor devices. The Ragone plot displayed in Fig. 6f shows the NMCSs-600-based SSD exists a maximum energy density of 21.5 Wh kg − 1 at a power density of 800 W kg − 1 and the energy density still maintains 13.3 Wh kg − 1 even at a power density as high as 16 kW kg − 1 . As shown in Fig. 6f and Additional file 1:Table S2, the NMCSs-600-based SSD has a great advantages compared with other CSs based supercapacitor devices, such as core-shell ultramicroporous@microporous carbon nanospheres [23], N-doped carbon nanospheres [37,38,39], N and O co-doped carbon microspheres [40], hollow CSs [41], graphitic hollow CSs [42], N-doped hollow CSs [43, 44] and nitrogen-phosphorus co-doped hollow carbon microspheres [15]. Furthermore, two as-fabricated NMCSs-600-based SSDs are connected in series could power a red light emitting diode (inset of Fig. 6d), and the light intensity without obvious decrease after 60 s (as shown in Video S1). Therefore, all those impressiv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show attractive potential applications of the NMCSs-600-based SSD for energy storage.

결론

In summary, NMCSs have been successfully prepared through a simple one-pot and time-saving one-step hydrothermal polymerizing of PF resin in the existence of F108 used as a soft-template, subsequent by carbonization and KOH activation. The high concentration ammonia and high hydrothermal temperature accelerated the polymerization process and caused the short reaction time for 6 h. In the hydrothermal process, ammonia was not only as a catalyst, but also served as a nitrogen source to introduce the N-heteroatom into the CSs framework which makes a high N-doped content of 2.6 at.%. The optimized NMCSs with the ethanol/water volume ratio of 1:1 were exhibited smooth surface, perfect spherical morphology and good dispersity. At optimal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600 °C, the NMCSs-600 have the highest specific surface area of 1517 m 2 g − 1 with the largest total pore volume of 0.8 cm 3 g − 1 , which offered enough electrode/electrolyte contact interface and abundant active sites. The unique structural advantages of microporous CSs and appropriate porosity matched perfectly with the electrolyte ions were endowed fast transportation of ions in the pore channels. As a result, as supercapacitor electrodes, the as-prepared NMCSs-600 material have shown an outstanding specific capacitance of 416 F g − 1 at a current density of 0.2 A g − 1 (357 F g − 1 at 0.5 A g − 1 ) and excellent charge/discharge cycling stability with 96.9% capacitance retention after 10,000 cycles. Furthermore, the constructed NMCSs-600-based SSD has shown a high specific capacitance of 60.6 F g − 1 at current density of 1 A g − 1 , a maximum energy density of 21.5 Wh kg − 1 has been achieved at a power density of 800 W kg − 1 and the energy density still maintained 13.3 Wh kg − 1 even at a high power density of 16 kW kg − 1 . Therefore, the time-saving and effective synthesis strategy coupled with the remarkabl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may create a new situation for developing high energy density and high power density of energy storage and conversion devices.

약어

NMCSs:

Nitrogen-doped microporous carbon spheres

EDLCs: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ors

CSs:

Carbon spheres

SSDs:

Symmetric supercapacitor devices

이력서:

순환 전압전류법

GCD: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EI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나노물질

  1. 리튬 이온 배터리용 고성능 양극 재료로 MWNT에 고정된 SiO2@C 나노 입자의 손쉬운 합성
  2. 초고밀도의 정렬된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 필름을 위한 가열 강화 유전영동
  3. CO2로부터 고리형 탄산염 합성을 위한 효율적인 불균일 촉매로서의 트리페닐포스핀 기반 기능성 다공성 폴리머
  4. 광열 치료 및 광음향 영상을 위한 폴리피롤 코팅 철-백금 나노입자의 합성 및 시험관 성능
  5. 수성 나트륨 이온 배터리용 고성능 전기화학적 성능 재료로서의 Na4Mn9O18/탄소 나노튜브 복합재
  6. 양이온 염료의 효과적인 선택적 흡착을 위한 표면 기능화된 자기 나노복합체의 손쉬운 합성
  7. 폴리아닐린/질소 도핑 정렬된 메조포러스 탄소 합성물의 합성 및 슈퍼커패시터 성능
  8. 고성능 리튬 이온 배터리를 위한 공침/하소 경로를 통한 MoS2/C 나노복합체의 휴메이트 보조 합성
  9. 3D 인쇄 슈퍼커패시터, 기록적인 성능 달성
  10. 적층 제조용 고성능 알루미늄 합금 DISPAL® S220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