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제조
산업용 사물 인터넷 | 산업자재 | 장비 유지 보수 및 수리 | 산업 프로그래밍 |
home  MfgRobots >> 산업 제조 >  >> Industrial materials >> 나노물질

황금 나노 입자의 생물 제조 및 세포 독성 평가를 위한 쑥, 마치현 및 심상추 추출물의 항산화 잠재력

초록

세 가지 수성 식물 추출물(Artemisia capillaris , Portulaca oleracea , 및 Prunella vulgaris )은 금 나노 입자의 바이오 제조를 위해 선택되었습니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즉,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총 페놀 함량 및 환원력)과 이러한 활성이 금 나노 입자의 생체 가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피. 저속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A였다. 모세혈관 그리고 P. 올레라시아 . 피. 저속한 생물제조 과정에서 가장 효율적인 환원제였다. P에 의해 생체 가공된 금 나노 입자. 저속한 (PV-AuNPs)는 다양한 모양으로 530nm의 최대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가졌습니다. 고해상도 X선 회절 분석은 PV-AuNP가 면심입방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반응 수율은 유도 결합 플라즈마 광 방출 분광법에 의해 99.3%로 추정되었다. 유체역학적 크기는 제타 전위가 - 13.99mV인 45 ± 2nm로 결정되었습니다. PV-AuNPs는 용량 의존적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현저하게, PV-AuNPs의 가장 높은 세포독성은 태아 소 혈청이 없는 인간 결장직장 선암종 세포에 대해 관찰된 반면, 인간 췌관 선암종 세포의 경우 태아 소 혈청 존재하에 가장 높은 세포독성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P. 저속한 추출물은 암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발휘하는 금 나노입자의 생물제조를 위한 효율적인 환원제였습니다.

소개

금속 나노 입자에 대한 관심은 다양한 응용 분야로 인해 크게 증가했습니다[1]. 특히, 금 나노입자(AuNPs)는 약물/유전자 전달 매개체, 촉매, 영상화제 및 화학/생물학적 센서로서 많은 가치 있는 응용을 갖는다[2]. 이온 스퍼터링, 역 미셀 및 화학적 환원과 같은 다양한 화학적 및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여 AuNP를 제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비용 및 잠재적인 독성에 대한 우려로 제한됩니다. AuNPs의 biofabrication(또는 녹색 합성)에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은 다른 방법에 비해 이점이 있어 매우 유망한 대안이 됩니다[2]. 바이오제조 공정은 비용 효율적이고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친환경 소재를 활용하고 두 소재(AuNP와 식물추출물)의 활성을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합니다. Biofabrication은 합성 과정에서 유해한 화학적 환원제를 도입하지 않으므로 공정이 완전히 친환경적입니다. 또한, 이 기능은 결과 AuNP의 생체 적합성을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증가시킵니다. 식물 추출물에서 추출한 다양한 파이토케미컬은 환원제뿐만 아니라 캡핑 및 안정화제로도 사용됩니다[3].

아테미시아 모세혈관 Artemisia 속에 속한다 , 국화과의 가장 큰 속 중 ​​하나입니다 [4]. 고대부터 A. 모세혈관 항균, 항염, 항산화, 간보호 작용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으로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전 연구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A의 활성 성분으로 돌렸습니다. 모세혈관 , capillin, capillene, scoparone 및 β-sitosterol 포함 [4,5,6]. Portulaca 올레라시아 Portulacaceae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항균, 항진균, 항염, 항산화, 항궤양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을 나타낸다. 이러한 효과는 알칼로이드, 지방산, 플라보노이드, 다당류 및 테르페노이드를 포함한 다양한 활성 성분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7, 8]. Prunella vulgaris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많은 연구에서 P의 항바이러스[9], 항암[10], 면역조절[11], 항산화[11, 12], 혈당강하 활성[13]이 입증되었습니다. 저속한 . 이러한 효과에 기여하는 주요 활성 성분은 리놀렌산, 팔미트산, 시스를 포함한 유기산, 페놀산 및 트리테르페노이드입니다. 그리고 트랜스- 카페산, 로즈마린산, 올레아놀산, 우르솔산 [14].

"단백질 코로나"로 인해 나노 입자 연구에서 시험관 내 결과와 생체 내 결과 사이에 큰 격차가 종종 존재합니다. 생물학적 환경에 진입하면 나노입자의 표면은 단백질 코로나라고 불리는 다양한 단백질의 코팅으로 덮이게 된다[15]. 단백질 코로나 코팅된 나노입자는 세포에 들어가 세포의 흡수, 세포독성, 생체분포, 배설, 세포반응, 약물방출, 치료효율에 영향을 미친다[16]. 흥미롭게도 모양, 크기, 표면 전하 및 표면 거칠기와 같은 금속 나노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단백질 코로나를 형성할 때 혈청 단백질 흡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17]. Shannahan과 동료들은 은 나노입자(AgNPs)에서 단백질 코로나의 형성이 를 통해 쥐의 폐 상피 세포와 쥐의 대동맥 내피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매개한다고 보고했습니다. 스캐빈저 수용체[18]. 혈청 알부민은 항균 및 세포독성 효과를 감소시켜 하이드로겔이 포함된 콜로이드 AgNP에 영향을 미칩니다[19].

본 보고서에서 우리는 A의 수성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총 페놀 함량 및 환원력을 포함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했습니다. 모세혈관 , 피. 올레라시아 , 및 P. 저속한 . 그 후, 이 세 가지 추출물을 이용한 AuNPs의 생체 가공을 수행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AuNPs의 콜로이드 용액의 색상과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 밴드의 모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습니다. 이하, 생물가공된 AuNPs는 각 식물의 학명을 따서 명명한다:A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얻은 AuNPs. 모세혈관 P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얻은 AuNP를 AC-AuNP라고 합니다. 올레라시아 PO-AuNPs, 및 P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얻은 AuNPs라고 합니다. 저속한 PV-AuNP라고 합니다. P의 항산화 활성. 저속한 추출물이 가장 높았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UV 가시 분광 광도법, 고해상도 투과 전자 현미경 (HR-TEM), 고해상도 X 선 회절 (HR-XRD) 및 유도 결합 플라즈마를 포함한 다양한 분광 및 현미경 방법으로 PV-AuNP를 특성화했습니다. 광학 방출 분광법(ICP-OES). PV-AuNPs의 유체역학적 크기는 제타 전위와 함께 동적 광산란(DLS)에 의해 측정되었습니다. 또한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모니터링하여 PV-AuNPs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했습니다. 3개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세포 배양에서 소태아혈청(FBS)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수용성 테트라졸륨(WST) 분석에 의해 조사되었습니다. 다음의 암세포가 사용되었습니다:인간 결장직장 선암종(HT-29), 인간 유방 선암종 세포(MDA-MB-231), 인간 췌관 선암종 세포(PANC-1).

방법

자료

칼륨 금(III) 염화물(KAuCl4 ),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일염기인산나트륨,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트리클로로아세트산, Folin-Ciocalteu's 페놀 시약, 탄산나트륨, 갈산, 칼륨 타르타르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황산, 2,2'-azino-bis- 3-에틸벤즈티아졸린-6-설폰산(ABTS), 과황산칼륨 및 d-(+)-글루코스는 Sigma-Aldrich(St. Louis, MO, USA)에서 구입했습니다. DPPH는 Alfa Aesar(Ward Hill, MA, USA)에서 구입했습니다. Potassium hexacyanoferrate(III)는 Wako(Osaka, Japan)로부터 입수하였다. 황산나트륨, 헥사암모늄 7수화물 4수화물, 및 비산수소이나트륨 7수화물은 Junsei(Tokyo, Japan)에서 구입했습니다. 염화철(III)은 덕산(경기도 한국)에서, 황산구리 오수화물은 대정(대한민국 경기)에서 얻었다. 다른 시약은 분석 등급이었고 받은 대로 사용했습니다. 고글루코스 Dulbecco의 변형된 Eagle 배지(DMEM),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0,000U/mL), 트립신-EDTA(0.5%, 페놀 레드 없음) 및 인산완충식염수(PBS)는 Gibco(Thermo Fisher Scientific, 메사추세츠, 미국). FBS는 GE Healthcare HyClone™(Victoria, Australia)에서 입수했습니다.

악기

Shimadzu UV-2600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UV 가시 스펙트럼을 획득하고 SPR을 관찰했습니다(Shimadzu Corporation, Kyoto, Japan). 입자 크기 및 모양에 대한 정보는 HR-TEM 이미지에서 얻었습니다. HR-TEM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200kV에서 작동하는 JEM-2100F 기기를 사용했습니다(JEOL, Tokyo, Japan). PV-AuNPs의 콜로이드 용액을 탄소 코팅 구리 그리드(carbon type-B, 300 mesh, Ted Pella, Redding, CA, USA)에 로드했습니다. 샘플이 장착된 그리드는 주변 온도에서 공기 건조되었습니다. Rigaku Miniflex 회절계(40kV, 30mA)를 사용하여 CuKα 방사선 소스(λ =1.54056 Å) 10º ~ 80° 범위(2θ 규모) (리가쿠, 일본). FD5505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HR-XRD 분석을 위한 분말 샘플을 준비했습니다(일신바이오, 서울, 대한민국). 반응 수율을 추정하기 위해 Perkin Elmer Optima 8300 기기(Waltham, MA, USA)에서 ICP-OES를 수행했습니다. 원심분리를 수행했습니다(18,500g 힘, 7시간, 18°C), 상청액을 수집했습니다. 콜로이드성 PV-AuNP 용액과 상등액의 두 가지 샘플을 ICP-OES 분석하였다. Eppendorf 5424R 원심분리기를 원심분리에 사용했습니다(Eppendorf AG, Hamburg, Germany). 유체역학적 크기와 제타 전위는 NanoBrook 90 Plus Zeta 분석기(Brookhaven Instruments Corporation, Holtsville, NY, USA)로 측정되었습니다.

의 수성 추출물의 제조 A. 모세혈관 , 피. 올레라시아 , 및 P. 저속한

P의 건조된 공중 부분. 저속한A. 모세혈관 , 꽃과 잎을 포함하여 Omniherb(대한민국 대구) 및 P. 올레라시아 Handsherb(대한민국 영천)에서 입수했습니다. 각 식물의 지상부 수성 추출물은 초음파 처리(WUC-A22H, 대한사이언티픽, 대한민국)로 제조하였다. 각 식물에 대해 잘게 잘린 식물 100g을 탈이온수(1000mL)로 3회 추출했습니다. 추출 절차는 25°C에서 3시간 동안 식물을 초음파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수성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동결 건조기(FD8518, IlShinBioBase Co. Ltd., 대한민국)에서 동결 건조시켰다. 마지막으로, 각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얻어 사용하기 전에 - 20°C에서 보관했습니다.

DPPH 급진적 소탕 활동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서 20μL의 각 추출물을 에탄올(0.1mM, 180μL)의 DPPH 라디칼 용액과 혼합하여 추출물의 여러 최종 농도(31.25μg/mL, 62.5μg/mL, 125μg/mL 및 250μg/mL). 플레이트를 주위 온도에서 30분 동안 암실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다중 검출 판독기(Synergy HT, BioTek Instruments, Winooski, VT, USA)를 사용하여 517 nm에서 각 웰의 흡광도를 측정했습니다. BHT를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삼중으로 수행되었습니다. 517 nm에서 AuNP의 고유 흡광도를 제거하기 위해 각 샘플의 흡광도에서 AuNP의 흡광도를 뺍니다.

ABTS 급진적 소탕 활동

ABTS 라디칼 양이온은 1:1(v/v ) 주위 온도의 암실에서 24시간 동안 7.4mM ABTS 용액과 2.6mM 과황산칼륨 용액의 혼합물. 측정을 위해 ABTS 라디칼 용액을 730nm에서 흡광도 0.74가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했습니다.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서 에탄올(180μL)의 ABTS 라디칼 용액을 각 추출물(추출물의 최종 농도, 15.63μg/mL, 31.25μg/mL, 62.5μg/mL, 및 125μg/mL). 주변 온도의 암실에서 10분 동안 배양한 후 다중 검출 판독기를 사용하여 730nm에서 각 웰의 흡광도를 측정했습니다. 비타민 C 용액을 표준으로 준비했습니다. 모든 실험은 삼중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전력 감소

동일한 부피(500μL)의 다양한 농도의 추출물을 0.2M 인산 완충액(pH 6.6, 500μL) 및 1% 헥사시아노철산칼륨(III)(500μL)과 혼합했습니다. 추출물의 최종 농도는 52.1μg/mL, 104.2μg/mL, 208.3μg/mL 및 416.7μg/mL였습니다. 각 혼합물을 50°C에서 배양했습니다. 20분 후, 트리클로로아세트산(10%, 500μL)을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3400g에서 원심분리했습니다. 10분 동안 힘을 가합니다. 그런 다음 염화철 용액(0.1%, 100μL)을 상등액 500μL에 첨가했습니다. 10분 후 다중 검출 판독기를 사용하여 700nm에서 반응 혼합물의 흡광도를 측정했습니다. BHT를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삼중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과 페놀화합물 함량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20마이크로리터의 추출물을 100μL의 Folin-Ciocalteu 시약(탈이온수로 10배 희석) 및 80μL의 탄산나트륨(7.5%, w/v ). 반응은 주위 온도의 암실에서 수행하였다. 30분 후 7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갈산으로 구성된 검량선을 사용하여 총 페놀 함량을 측정했습니다. 모든 결정은 세 번 수행되었습니다.

PO-AuNP, AC-AuNP 및 PV-AuNP의 생물 제작

생물 제작 반응 전에 염화칼륨(10mM)과 추출물(2%, w/v)의 두 가지 원액이 준비되었습니다. ). 각 추출물(2%)의 원액을 원심분리했습니다(18,500g 힘, 30분, 18°C). 상층액을 수집하여 생물제조 반응에 활용하였다. 최종 농도는 0.5mM 염화칼륨(III) 및 0.05%(w/v ) AuNPs의 생체 가공을 위해 2mL 유리 바이알에서 추출합니다. Au 염을 추출물과 혼합한 후, 37°C의 건조 오븐에서 5시간 동안 배양을 수행했습니다. 그런 다음 300~800nm ​​범위에서 UV-가시광선 스펙트럼을 획득했습니다.

세포 배양

3개의 암세포(HT-29, PANC-1 및 MDA-MB-231)는 한국세포주은행(서울, 대한민국)에서 구입했습니다. 세포는 10% FBS, 페니실린(100unit/mL) 및 스트렙토마이신(100μg/mL)이 보충된 고글루코스 DMEM에서 성장했습니다. 세포는 37°C에서 배양되었습니다(5% CO2 공급 ) 인큐베이터에서 트립신 처리 전에 약 80% 합류를 유지했습니다.

세포독성

암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WST 분석에 DoGenBio(경기, 대한민국)의 EZ-CYTOX 키트를 사용했습니다. 세포를 5.0 × 10 3 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했습니다. 세포/웰. 인큐베이션은 CO2 아래 37°C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수행되었습니다. (5%) 분위기. 인큐베이션 후, 배지를 버렸다. 그런 다음, 서로 다른 농도의 PV-AuNPs(ICP-OES 분석에 의해 측정된 Au 농도를 기준으로 0, 29.9, 59.8, 119.6, 239.2, 478.3μg/mL)를 배양 배지가 있는 세포에 첨가했습니다. FBS 부재. 인큐베이터에서 37°C에서 24시간 더 인큐베이션한 후 EZ-CYTOX 시약(10μL)을 첨가하고 세포를 CO2에서 인큐베이션했습니다. 추가 1시간 동안 인큐베이터 흡광도는 Cytation 하이브리드 다중 모드 판독기(BioTek Instruments, Winooski, VT, USA)를 사용하여 450nm에서 측정되었습니다. PV-AuNP의 고유 흡광도는 450nm에서 세포독성 측정을 방해했습니다. 따라서 450nm에서 측정된 각 데이터 포인트의 흡광도에서 PV-AuNP의 배경 흡광도를 뺍니다. PV-AuNPs의 배경 흡광도는 WST가 없는 조건에서 측정되었습니다. 또한 PV-AuNPs 대신 동일한 양의 탈이온수를 대조군으로 사용했습니다.

통계 분석

모든 실험은 3중으로 수행되었으며 결과는 평균 ± 표준 오차(SE)로 표시됩니다. 차이의 중요성은 ANOVA(일방향 분산 분석)에 이어 Tukey의 다중 비교 테스트 또는 Newman-Keuls 다중 비교 테스트를 사용하여 조사되었습니다. 통계 분석은 GraphPad Software(GraphPad Software 버전 5.02, San Diego, CA, USA)를 사용하여 계산되었습니다. 결과는 p 값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0.05.

결과 및 토론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각 식물의 공중 부분의 수성 추출물을 초음파 처리하여 얻었다. A의 추출 수율. 모세혈관 , 피. 올레라시아 , 및 P. 저속한 각각 14.1%, 39.12%, 28.6%였다.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은 P에 표시되었습니다. 올레라시아 , 뒤에 P. 저속한 그리고 마지막으로 A. 모세혈관 .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환원력 및 총 페놀 함량을 측정했습니다.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 및 ABTS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습니다. DPPH 라디칼은 항산화제에 의해 환원될 때 흡광도를 잃는 안정적인 자유 라디칼이기 때문에 DPPH는 페놀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ABTS 분석은 ABTS와 강한 산화제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라디칼을 소거하는 항산화제의 능력을 측정합니다. 수소 공여 특성을 가진 항산화제에 의한 ABTS 라디칼의 흡광도 감소가 평가됩니다. 수성 추출물은 용량 의존적으로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테스트된 농도(15.63μg/mL, 31.25μg/mL, 62.5μg/mL, 125μg/mL 및 250μg/mL)에서 P. 저속한 (IC50 DPPH 라디칼에 대해 50.35 ± 1.22μg/mL; IC50 ABTS 라디칼에 대해 38.6 ± 0.44 μg/mL)가 DPPH 및 ABTS 라디칼에 대해 가장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A 추출물이었다. 모세혈관 (IC50 DPPH 라디칼에 대해 156.72 ± 0.97μg/mL; IC50 ABTS 라디칼에 대해 147.28 ± 2.95μg/mL), 그 다음 P. 올레라시아 (IC50 DPPH 라디칼에 대해 247.33 ± 1.57μg/mL; IC50 ABTS 라디칼에 대해 305.54 ± 4.86μg/mL). 특히, P. 저속한 BHT보다 더 강력한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냄(IC50 71.37 ± 0.84μg/mL), 이는 표준으로 사용되었습니다(표 1 및 그림 1a, b). P의 추출물. 저속한 세 가지 추출물 중 가장 높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이 결과는 P에 더 많은 항산화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저속한 A보다. 모세혈관P. 올레라시아.

<그림>

A의 수성 추출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 모세혈관 , 피. 올레라시아 , 및 P. 저속한 . DPPH 라디칼 소거 활동. ABTS 과격한 청소 활동. 추출물의 힘을 줄입니다.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표시됩니다. 별표는 표준(BHT 또는 비타민 C)에 대한 차이의 중요성을 나타냅니다. *p <0.05, **p <0.01, ***p <0.001. 결과는 세 가지 독립적인 실험을 나타냅니다.

우리는 또한 vi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했습니다. 환원력 분석. 항산화제가 있는 경우 페리시안화칼륨(Fe 3+ )는 페로시안화칼륨(Fe 2+ )으로 전환됩니다. ), 이것은 염화 제2철과 반응하여 제2철-제1철 복합체를 형성합니다. ferric-ferrous complex는 700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며, 이는 항산화제의 환원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보고서에서 환원력은 700nm에서 흡광도가 0.7인 각 추출물의 농도(μg/mL)로 표시됩니다. 그림 1c와 같이 P. 저속한 (162.98 μg/mL)는 A보다 현저히 높은 환원력을 발휘했습니다. 모세혈관 (235.38μg/mL) 및 P. 올레라시아 (396.16μg/mL).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환원력의 결과는 P에 더 많은 항산화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저속한 A보다. 모세혈관P. 올레라시아.

각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도 조사했습니다. 페놀 화합물은 잠재적인 항산화제이며 하이드록실 그룹으로 인해 라디칼을 제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페놀 함량과 잘 관련될 수 있습니다. 갈산을 사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작성했으며 이 곡선은 선형 관계(y =6.0617x + 0.1293, r 2 =0.9983).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총 페놀 함량을 계산하고 추출물 그램당 갈산 당량(GAE) 밀리그램으로 표시합니다.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P에 대해 90.53 ± 6.81mg GAE/g이었습니다. 저속한 , A의 경우 39.88 ± 4.55mg GAE/g 모세혈관 , 및 P의 경우 18.32 ± 2.76mg GAE/g. 올레라시아 . 총 페놀 함량은 P에서 가장 높았다. 저속한 세 가지 추출 중.

총 페놀 함량과 라디칼을 소거하는 추출물의 능력 또는 환원력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 종합하면, A의 수성 추출물. 모세혈관 , 피. 올레라시아 , 및 P. 저속한 상당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특히, P. 저속한 DPPH와 ABTS 라디칼 모두에 대해 가장 큰 라디칼 소거능, 가장 강한 환원력,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나타내어 P. 저속한 AuNPs의 biofabrication을 위한 환원제로서 가장 강력한 활성을 발휘할 것입니다. 세 가지 추출물을 사용한 AuNPs의 생체 제조의 이러한 흥미로운 결과는 다음 섹션에서 논의될 것입니다.

AC-AuNP, PO-AuNP 및 PV-AuNP의 생물 제작

우리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AuNPs의 생체 제조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했습니다. 항산화 활성이 Au 염을 AuNP로 환원시키는 주요 원동력이기 때문에 P. 저속한 ,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가 가장 효율적인 환원제가 될 수 있다. AuNPs는 가시광선-근적외선 파장 범위에서 독특한 SPR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물 가공 공정은 UV-가시광선 분광광도법으로 이어졌습니다. AuNPs의 biofabrication은 Au 염을 각 추출물 용액과 혼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각 추출물에는 Au 염을 AuNPs로 환원시키는 데 매우 효율적인 다양한 파이토케미컬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AuNPs의 뚜렷한 SPR 밴드는 초기에 옅은 노란색 용액의 색상을 PO-AuNPs의 경우 진한 파란색, AC-AuNPs의 경우 형광 갈색, PV-AuNPs의 경우 포도주색으로 변경했습니다(그림 2). . UV 가시 스펙트럼은 각 AuNP 세트의 뚜렷한 SPR 밴드를 관찰하기 위해 5시간 동안 건조한 오븐에서 37°C로 배양한 후 기록되었습니다(그림 3). 최대 흡광도는 PV-AuNP의 경우 530nm에서, AC-AuNP의 경우 555nm에서 관찰되었습니다. PO-AuNP의 경우 500~700nm에서 넓은 SPR 밴드가 관찰되었습니다. 세 가지 추출물은 UV 가시 스펙트럼에서 특징적인 SPR 밴드를 갖는 AuNP를 생성했습니다. 뚜렷한 SPR 밴드와 함께 각각의 색상 변화는 각 추출물로 AuNP의 성공적인 바이오 제조를 분명히 지원했습니다. 우리는 항산화 활성과 관련된 세 가지 요소(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총 페놀 함량 및 환원력)가 AuNP 바이오 제조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했습니다. P의 추출물. 저속한 세 가지 요소 모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A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모세혈관 그리고 마지막으로 P. 올레라시아 . 흥미롭게도 PO-AuNP는 주변 온도(25°C)에서 30분 동안 보관한 후 응집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결과는 PO-AuNPs가 P의 항산화 활성, 총 페놀계 화합물의 양, 환원력으로 가장 불안정함을 시사하였다. 올레라시아 이 세 가지 추출물 중 가장 낮았습니다. 대조적으로 PV-AuNP는 가장 높은 흡광도와 투명한 와인 레드 용액을 보였다. AC-AuNP의 흡광도는 PO-AuNP와 PV-AuNP의 흡광도 사이였다. 따라서 이러한 관찰을 바탕으로 P의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총 페놀 함량 및 환원력이 더 높은 것으로 결정되었다. 저속한 추출물은 A의 추출물에 의해 생성된 AuNP에 비해 더 안정적인 AuNP의 합성을 초래했습니다. 모세혈관P. 올레라시아 . 종합적으로, 최대 SPR 밴드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감소함에 따라 bathochromic 및 hypochromic 이동을 보였다. 또한, SPR 밴드의 형태는 항산화 활성이 감소함에 따라 넓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PV-AuNPs는 HR-TEM, HR-XRD, 유체역학적 크기 및 제타 전위 측정에 의해 추가로 특성화되었습니다. 반응 수율을 결정하기 위해 ICP-OES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FBS의 유무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독성을 암세포에 대해 추가로 평가했습니다.

<그림>

PO-AuNP, AC-AuNP 및 PV-AuNP의 디지털 사진

<그림>

PO-AuNPs(검정색 선), AC-AuNPs(빨간색 선) 및 PV-AuNPs(파란색 선)의 UV 가시 스펙트럼

PV-AuNP의 HR-TEM 이미지

현미경 기술은 나노 입자를 시각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HR-TEM과 함께 주사 전자 현미경 및 원자력 현미경은 일반적으로 크기, 형태, 지형 및 2차원/3차원 구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V-AuNPs의 크기와 형태는 HR-TEM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4와 같이 구, 삼각형, 막대, 마름모,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관찰되었다(그림 4a~e). 막대(그림 4f, g)와 삼각형(그림 4h)의 격자 구조 관찰은 PV-AuNP가 본질적으로 결정질임을 분명히 보여주었습니다. 이 결과는 후속 HR-XRD 분석 결과에 의해 강력하게 뒷받침되었습니다. 각 입자 모양의 크기는 HR-TEM 이미지에서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로 생성된 크기 히스토그램은 그림 5에 나와 있습니다. 모든 히스토그램은 가우스 분포를 나타냅니다. 이미지의 개별 나노 입자는 각 모양의 평균 크기를 얻기 위해 무작위로 선택되었습니다. 구체의 직경은 250개의 나노입자로부터 23.8 ± 1.3nm로 결정되었습니다(그림 5a). 흥미롭게도 정삼각형이 생성되었습니다. 따라서 64개의 나노 입자(25.7 ± 2.2nm, 그림 5b)의 높이를 측정했습니다. 평균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27개의 막대 모양의 나노 입자가 무작위로 선택되었습니다(28.4 ± 0.4 nm, 그림 5c). 막대의 길이를 너비로 나눈 평균 종횡비는 2.4로 결정되었습니다. 마름모 모양의 경우 이미지에서 38개의 마름모가 무작위로 선택되었습니다. Fig. 5d, e와 같이 장대각선과 단대각선의 평균길이는 각각 22.0 ± 0.6 nm와 15.4 ± 0.3 nm로 측정되었다. 다양한 형태의 PV-AuNPs는 30nm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다음 섹션에서 유체역학적 크기와 크기를 비교하였다.

<그림>

PV-AuNP의 HR-TEM 이미지. 눈금 막대는 a를 나타냅니다. 50nm, b 50nm, c 50nm, d 50nm, e 10nm, f 2nm, g 2nm 및 h 2nm

<그림>

PV-AuNP의 크기 히스토그램. 구체의 직경. 정삼각형의 높이. 막대의 길이. d 마름모의 길이(긴 대각선). 마름모의 길이(짧은 대각선)

PV-AuNP의 유체역학적 크기 및 제타 전위

유체역학적 크기와 제타 전위는 추가 응용을 위한 나노입자 연구에서 중요한 특성입니다. 일반적으로 HR-TEM 이미지에서 측정된 크기는 유체역학적 크기보다 작은데, 이는 유체역학적 크기가 나노입자 표면에 결합된 생체분자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그림 6a에서 볼 수 있듯이 유체역학적 크기는 0.258의 다분산 지수와 함께 45 ± 2 nm로 결정되었으며, 이는 HR-TEM 이미지(250개 나노입자에서 23.8 ± 1.3 nm)에서 측정된 구체의 크기보다 큽니다. . 이 결과는 추출물의 파이토케미컬이 PV-AuNP의 표면에 결합하여 안정화되었음을 분명히 시사한다. 또한 PV-AuNP는 - 13.99mV의 음의 제타 전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그림 6b). 이러한 결과는 음전하를 가진 파이토케미컬이 음의 제타 전위에 가장 크게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This negative zeta potential gives repulsive forces in a colloidal solution of PV-AuNPs endowing its stability. Therefore, one of our future works will include the phytochemical screening on the extract of P. vulgaris to elucidate the exact compounds which contribute to the negative zeta potential.

Hydrodynamic size and zeta potential of PV-AuNPs. Hydrodynamic size. Zeta potential

HR-XRD Analysis of the PV-AuNPs

X-ray diffraction analysis is generally employed to obtain crystallographic information about metallic nanoparticles. The characteristic diffraction patterns in terms of the Bragg reflections obtained from HR-XRD showed that the PV-AuNPs possessed a crystalline structure. The diffraction peaks (2θ values) observed at 38.1°, 44.5°, 64.8°, and 77.4° corresponded to the (111), (200), (220), and (311) planes, respectively, of a face-centered cubic structure in the PV-AuNPs (Fig. 7). The Scherrer equation (D  = 0.89·λ/W·cosθ ) was used to determine the approximate size of the PV-AuNPs. We selected the most intense (111) peak for application in the equation. The definition of each term in the equation is as follows:D is the size of the PV-AuNPs determined from the (111) peak, θ is the Bragg diffraction angle of the (111) peak, λ is the X-ray wavelength that was utilized, and W is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of the (111) peak, in radians. From the Scherrer equation, the approximate size of the PV-AuNPs was determined to be 16.7 nm. The size determined from the Scherrer equation was smaller than the sizes measured from both HR-TEM images and the hydrodynamic size. The hydrodynamic size was the largest, possibly due to the fact that phytochemicals in the extract bound to the surface of the PV-AuNPs.

HR-XRD analysis of PV-AuNPs

Reaction Yield of the PV-AuNPs

ICP-OES was used to estimate the reaction yield. First, the total concentration of Au was obtained by analyzing the PV-AuNP solution. Second, the PV-AuNPs were centrifuged and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The supernatant was analyzed to ascertain the concentration of unreacted Au in the reduction reaction. Then, the reaction yield was estimated as follows:reaction yield (%) = 100 − [Au concentration in the supernatant/Au concentration in the colloidal solution] × 100.

Based on ICP-OES analysis, the concentrations of Au in the colloidal PV-AuNP solution and the supernatant were determined to be 96.337 ppm and 0.679 ppm,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action yield of the PV-AuNPs was determined to be 99.3%. From the ICP-OES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reaction condition was optimal which produced a high reaction yield of PV-AuNPs.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V-AuNP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examin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V-AuNPs. As shown in Fig. 8,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PV-AuNPs was nearly constant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20.9 μg/mL (based on the Au concentration). However,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41.9~334.8 μg/mL based on the Au concentratio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increased, suggesting that the activity was dose-dependent. IC50 of the PV-AuNPs was observed to be 165.0 μg/mL, which was equivalent to the IC50 of vitamin C (49.4 μM).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V-AuNPs. The concentration was expressed as Au concentration

Green-synthesized AuNPs or AgNPs have been known to possess antioxidant activity in term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0, 21]. Ginseng-berry-mediated AuNPs demonstrated antioxidant activity [20]. The absorption of phytochemicals in the ginseng berry extract on the surface of nanoparticles having a large surface area can be credited to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uNPs [20]. Green-synthesized AuNPs using Angelica pubescens roots showed antioxidant activity with a dose-dependent manner [21]. Secondary metabolites in A. pubescens such as flavonoids, sesquiterpenes, and phenolic compounds are potential contributors for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1]. However, AgNPs demonstrat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AuNPs in the two articles mentioned above.

Cytotoxicity of the PV-AuNPs

The cytotoxicity of the PV-AuNPs against three cancer cells from different tissue types (colon, pancreas, and breast) was evaluated to examine the tissue-specific cytotoxicity of the nanoparticles in the presence/absence of FBS (Fig. 9). When serum was present during the cell culture, various kinds of protein coronas formed. The protein corona was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noparticles, such as the size, shape, surface charge, and surface roughness [22]. The protein corona can either increase or decrease the cellular uptake and cytotoxicity of the nanoparticles [23]. However, there are controversial reports regarding whether the protein corona causes the cytotoxicity to increase or decrease. Thus, the cytotoxicity of the PV-AuNPs was evaluated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FBS. In the absence of FBS, HT-29 showed the greatest cytotoxicity at the tested concentrations (29.9~478.3 μg/mL) among three cells (Fig. 9a), followed by MDA-MB-231 (Fig. 9b) and lastly by PANC-1 (Fig. 9c). However, in the presence of FBS, these cells demonstrated a different phenomenon. PANC-1 showed the highest cytotoxicity, followed by HT-29 cells. In the absence of FBS and with 478.3 μg/mL Au, both the PANC-1 and MDA-MB-231 cell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ytotoxicity, while strong cytotoxicity was observed for the HT-29 cells (65.6% cytotoxicity). However, in the presence of FBS, cytotoxicity was observed for PANC-1 (37.5% cytotoxicity) at 478.3 μg/mL Au. In general, the PV-AuNPs surrounded by a protein corona strongly influenced the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s, although the results were tissue-specific. The protein corona produced by FBS increased the cytotoxicity against PANC-1 when compared with the cytotoxicity in the absence of FBS; however, the cytotoxicity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the protein corona for HT-29 when compared with the cytotoxicity without the protein corona.

In vitro cytotoxicity on cancer cells. HT-29. MDA-MB-231. PANC-1

It has been reported that a variety of proteins bind to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charged AuNPs, while few proteins bind to AuNPs with a neutral charge [17, 24]. The negatively charged AuNPs showed a higher affinity and a slower release of fibrinogen protein than the positively charged AuNPs, suggesting the existence of specific binding sites for fibrinogen on the negatively charged AuNPs [17]. The PV-AuNPs possessed a negative zeta potential; thus, the binding of fibrinogen may affect the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s. The investigation of the protein corona of nanoparticles is beneficial in nanomedicine research for future biomedical and clinical applications.

결론

The aqueous extracts of A. capillaris , P. oleracea , and P. vulgaris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which was evaluated b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 and reducing power. P. vulgaris exer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followed by A. capillaris and P. oleracea . The extract of P. vulgaris possessing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a very efficient green reducing agent for the biofabrication of AuNPs. The findings of our study demonstrate that the factors of the antioxidant activity, such a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total phenolic content, a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color of the colloidal solution and the shape of the SPR band of the resulting AuNPs. When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 the resulting AuNPs showed a narrow SPR band with a strong absorbance. In contrast, a broad SPR band was observed for the PO-AuNPs, in which P. oleracea exhibited the lowest antioxidant activity among the three extracts. Furthermore, the PO-AuNPs aggregated easily after storage at ambient temperature. Consequently, the extract of P. vulgaris produced a wine-red colloidal solution of PV-AuNPs with various shapes with a maximum SPR of 530 nm. A face-centered cubic crystalline pattern of PV-AuNPs was confirmed by high-resolution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 reaction yield was estimated by ICP-OES to be 99.3%. The hydrodynamic size (45 ± 2 nm) was larger than that measured from HR-TEM images suggesting that phytochemicals bound on the surface of the PV-AuNPs. Furthermore, phytochemicals with negative charges possibly attributed to a negative zeta potential of − 13.99 mV.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V-AuNPs was dependent on the Au concentration that was assessed based o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Green-synthesized AuNPs using ginseng-berry and A. pubescens root extracts also show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0, 21]. The PV-AuNPs showed cytotoxicity against HT-29, PANC-1, and MDA-MB-231 cells. Interesting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FBS dramatically affected the cytotoxicity against these cells. This phenomenon was possibly due to the protein corona that surrounded the surface of the nanoparticles.

Currently, AuNPs have diverse applications in nanomedicine as drug delivery vehicles or carriers of anticancer agents such as doxorubicin. P. vulgaris ethylacetate fraction showed cardioprotective effects with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on isolated rat cardiomyocytes subjected to doxorubicin-induced oxidative stress [25]. PV-AuNPs can be applied as doxorubicin delivery vehicles with a cardioprotective ability. Therefore, our subsequent work will explore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the PV-AuNPs loaded with doxorubicin for future biomedical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Diverse plant extracts have a potential to be effective reducing agents for biofabricating AuNPs. When the biofabrication reaction is conducted, it is essential to select a plant extract that possesses a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order to produce stable AuNPs. Additionally, P. vulgaris extract has a potential to be used as a reducing agent for the green synthesis of other novel metallic nanoparticles with valuable applications in the future.

약어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C-AuNPs:

Gold nanoparticles green synthesized by the extract of A. capillaris

AgNPs:

은 나노입자

AuNPs:

Gold nanoparticles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FBS:

Fetal bovine serum

GAE:

Gallic acid equivalent

HR-TEM:

고해상도 투과전자현미경

HR-XRD:

High-resolution X-ray diffraction

HT-29: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

IC50 :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P-OES: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MDA-MB-231:

Human breast adenocarcinoma cell

PANC-1:

Human pancreas ductal adenocarcinoma cell

PO-AuNPs:

Gold nanoparticles green synthesized by the extract of P. oleracea

PV-AuNPs:

Gold nanoparticles green synthesized by the extract of P. vulgaris

SPR:

표면 플라즈몬 공명

WST assay:

Water-soluble tetrazolium assay


나노물질

  1. 플라즈몬 나노입자
  2. 화학 센서용 금 나노입자
  3. 진단 및 치료 응용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다기능 금 나노입자:검토
  4. 암 치료를 위한 나노입자:현재 진행 상황 및 과제
  5. 대장균에 대한 산화구리 나노입자의 생물학적 합성, 특성화 및 항균 가능성 평가
  6. 생쥐에 대한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의 잠재적인 간, 뇌 및 태아 독성
  7. 생체내 CT 이미징 및 신장 제거 특성을 위한 새로운 생체 ​​적합성 Au Nanostars@PEG 나노입자
  8. 탄화수소에서 금 나노입자의 크기 조절 및 안정화를 위한 분산제로 수정된 과분지형 폴리글리세롤
  9. 광열 치료 및 광음향 영상을 위한 폴리피롤 코팅 철-백금 나노입자의 합성 및 시험관 성능
  10. 생의학 응용 분야를 위한 구형 복합 금-코클 껍질 유래 탄산칼슘 나노입자의 제조, 특성화 및 세포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