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제조
산업용 사물 인터넷 | 산업자재 | 장비 유지 보수 및 수리 | 산업 프로그래밍 |
home  MfgRobots >> 산업 제조 >  >> Industrial materials >> 나노물질

압연 중 사전 열처리된 전착 나노결정질 니켈의 미세구조 안정성에 대한 비교 연구

초록

미세구조적 안정성은 나노결정질 물질이 많은 분야에서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X선 회절선 프로파일 분석과 투과 전자 현미경 관찰을 기반으로 초기의 강한 섬유 조직을 포함하는 사전 어닐링된 전착된 나노결정질 니켈에서 롤링 변형에 따라 미세 구조가 어떻게 진화하는지 보여줍니다. 금속/롤 접촉 계면의 미세구조 안정성에 대한 전단 변형률의 영향은 금속/금속 접촉 계면의 영향과 비교됩니다. 후자는 평면 변형 압축의 변형에 더 가깝습니다. 최종 압연 통과 후 변형된 Grain의 실험적으로 관찰된 미세구조와 함께 통계적 미세구조 정보로부터, 금속/금속 접촉 계면의 미세구조가 금속/롤 계면의 미세구조보다 팩 압연 동안 더 안정적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소개

입자 크기가 100nm 미만인 나노결정질(nc) 재료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기술 응용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특히 고강도 및 고경도를 나타냅니다[1]. 그러나 최근 몇 년간 많은 연구에서 미세구조의 안정성은 nc 재료가 실용화될 때 불가피하고 매우 중요한 문제임을 보여주고 있다[2,3,4]. 가장 일반적인 미세 구조 특징 중 하나인 입자 크기는 nc 재료의 생산 및 가공 중에 항상 최우선 순위입니다. 불행히도, nc 재료의 열처리 또는 기계적 가공 시 명백한 결정립 성장이 발생할 수 있음이 밝혀졌습니다[5,6,7,8,9]. 입자 크기 범위가 ~ 20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인 재료에 대한 고전적인 Hall-Petch 관계에 따라 입자 성장은 성능 저하 또는 저하로 이어질 것입니다. nc 금속의 미세 구조와 특성 간의 관계에 대한 실험적 조사를 통해 고해상도 투과 전자 현미경 및/또는 3차원 원자 프로브[10,11,12,13]에 의해 많은 미세 구조 정보가 얻어졌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직접적이고 가시적으로 보이지만 그러한 국지적 관찰이 너무 소우주적이라는 점에서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보다 거시적 또는 전체적 관점에서 소성 변형의 물리학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고 중요합니다.

변형된 nc 재료의 미세구조 발달 비교 결과는 결정립 성장 거동이 결정립 방향, 내부 응력 및 결정 결함 밀도와 같은 초기 미세조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6, 14, 15, 16]. 따라서 다른 문헌에서 미세구조 진화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은 어렵다. 명목상 동일한 변형 조건에서 둘 이상의 샘플이 동시에 변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누적 롤 접합은 큰 변형률과 변형률 구배를 도입하여 초미세 입자 미세구조를 생성하는 강력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17, 18]. 팩 압연은 이전 연구에서 변형 가공 경로로 선택되었습니다. nc Ni의 미세 구조, 조직 및 경도에 대한 팩 압연 변형의 영향이 주로 조사되었습니다[19, 20].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진 변형된 영역은 다른 변형을 겪는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정 결함 밀도의 변화와 같은 미세 구조 진화의 심층 비교 분석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압연된 nc Ni의 미세구조적 안정성을 추가로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자료 및 방법

본 연구 재료는 순도 99.8%의 완전 조밀한 전착 nc 니켈 판을 선택하였다. 압연 변형 전에 두께가 ~ 0.22mm인 수신된 시트를 먼저 373K에서 30분 동안 진공에서 어닐링하여 잔류 응력을 완화했습니다. 명백한 곡물 성장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그 후, 사전 어닐링된 시트를 6mm × 5mm 크기의 작은 조각으로 절단했습니다. XRD(X-ray diffraction) 분석으로 선택한 명목상 유사한 초기 미세 구조를 가진 두 개의 샘플을 함께 쌓은 다음 실온에서 직경 180mm의 롤 쌍을 통과했습니다. 각 압연 패스 후, 두 개의 변형된 샘플이 거의 동일한 두께 감소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압축 압연 과정에서 각 샘플의 공칭 압연 변형률은 ε =\( 2\ln \left({t}_0/t\right)/\sqrt{3} \), 여기서 t 0 그리고 t 는 각각 초기 두께와 최종 두께[21]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특히 금속/금속 접촉 계면과 금속/롤 접촉 계면의 미세 구조 진화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편의상 금속/금속 접촉 계면을 계면 M/M이라 하고 금속/롤 접촉 계면을 계면 M/R이라고 하였다.

고정 시간 스캔 모드에서 작동하는 회전식 Cu 타겟(18KW)이 있는 Rigaku D/MAX-2500 PC 회절계에서 변형 유도 미세 구조 변화를 XRD 분석으로 정량적으로 조사했습니다. 결정립 크기 및 미세변형률과 같은 관련 미세구조 매개변수는 X선 회절선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얻었다[22, 23]. XRD에서 얻은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사용하여 법선 방향 압연 방향 단면의 최종 미세 구조, 특히 입자 크기 분포를 직관적으로 평가했습니다. TEM용 포일 샘플은 메탄올과 질산 용액(V :V =4:1) 243K의 온도에서. TEM 관찰은 200kV의 가속 전압에서 ZEISS LIBRA 200FE에서 수행되었습니다. 명시야 이미징에서 입자 형태가 관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암시야 이미징을 사용하여 입자 크기 측정을 수행했습니다. 각 샘플에 대해 200개 이상의 입자를 측정하여 입자 크기 분포의 전반적인 변화를 포착했습니다. 또한 작은 시편의 제한된 치수를 고려하여 0.196N 하중의 HVS-1000 micro Vickers 경도계를 사용하여 각 압연 후 시편의 양면에 미세경도 측정을 수행했습니다.

결과 및 토론

그림 1은 압연 변형률이 다른 팩 압연 nc Ni 샘플의 인터페이스 M/R 및 M/M에 대한 일반적인 XRD 패턴을 보여줍니다. 어닐링된 변형되지 않은 샘플의 경우(ε =0), 계면 M/R과 M/M 사이의 회절 강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습니다. 조직 계수에 대한 추가 분석은 변형되지 않은 샘플이 초기에 강한 섬유 조직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상대로 회절 강도, 특히 (111) 및 (200) 피크의 경우 팩 롤링 변형(ε =0.25 및 ε =0.50). 변형 텍스처 개발과 관련된 이전 연구에 따르면 계면 M/R은 전단 변형에 의해 지배되는 반면 계면 M/M은 평면 변형 압축에서 변형에 더 가깝습니다[24,25,26]. (111) 및 (200) 피크의 정규화된 결과에 대한 정량 분석은 인터페이스 M/R과 인터페이스 M/M 사이에 특정 불일치가 있음을 증명합니다. 계면 M/R의 경우, 회절 피크가 상당히 좁아지며, 이는 주로 변형에 의해 유도된 결정립 성장으로 인한 것입니다. 그러나 계면 M/M의 경우 명백한 피크 확장 및 피크 시프트가 관찰되어 압연 과정에서 전위 및 적층 결함과 같은 결정 결함이 많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냅니다.

<그림>

a의 일반적인 XRD 패턴 금속/롤(M/R) 접점 인터페이스 및 b 사전 어닐링된 전착된 나노결정질 니켈의 팩 압연 변형 동안 금속/금속(M/M) 접촉 인터페이스. (111) 및 (200) 반사면의 정규화된 피크가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표시됩니다.

그림 2는 X선 회절선 프로파일 분석에 의해 결정된 각 압연 패스 후 nc Ni의 반정량적 결과를 보여줍니다. 피크 시프트에 의해 평가된 전체 적층 결함 확률(SFP)은 그림 2a에 나와 있습니다. 인터페이스 M/M의 경우 전체 SFP는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승 추세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계면 M/R의 경우 SFP는 압연 변형의 초기 단계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 0.1의 작은 변형률에서 최대값 0.015에 도달합니다. 그 후, 이 SFP는 지속적인 변형으로 감소하고 0.5의 변형률에서 0.006의 값을 얻습니다. 이는 인터페이스 M/M의 SFP와 비교하여 1/3에 불과합니다. NC 금속에서 적층 결함의 생성 메커니즘을 고려할 때 이러한 불일치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의 미세 구조가 서로 다른 진화 경로를 거쳐야 함을 나타냅니다.

<그림>

a의 정량적 결과 스태킹 오류 확률, b (111) 및 (200) 피크에 대한 적분 너비, c 입자 크기 및 d 실효성 X선 회절선 프로파일 분석으로 얻은 미세변형

그림 2b는 (111) 및 (200) 피크에 대한 적분 너비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전체 팩 압연 변형 과정에서 경계면 M/M의 두 회절 피크의 적분 폭이 경계면 M/R의 적분 폭보다 훨씬 더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최종 변형 상태와 소둔 상태를 비교할 때 계면 M/M의 적분 폭에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이에 비추어 XRD 라인 프로파일 분석에서 결정립 크기와 제곱평균제곱근(r.m.s.) 미세변형의 변화를 주의 깊게 연구합니다. 그림 2c에서 볼 수 있듯이 변형된 샘플의 두 인터페이스는 결정립 조대화 경향을 나타내지만 조대화 속도는 다릅니다. 경계면 M/R에 위치한 Grain의 평균 크기는 더 빠르게 증가하며, 이는 다음 TEM 관찰에 의해 입증됩니다. 반면에 미세변형률 분석은 r.m.s.의 약간의 증가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림 2d와 같이 롤링 변형의 초기 단계에서 두 인터페이스에 대한 미세 변형. 변형이 계속되면 r.m.s. 인터페이스 M/R 내부의 미세 변형은 꾸준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 0.19% 수준에서 안정성에 도달하는 반면 r.m.s. 인터페이스 M/M 내부의 미세변형률은 ~ 0.26% 수준에서 안정성을 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r.m.s.의 이러한 감소 미세 변형은 큰 변형 후 냉간 압연 전착 NC Ni-Fe 합금에 대한 이전 보고서와 일치합니다. 입자 크기 변화와 함께 r.m.s. 감소의 주요 원인. 미세 변형은 입자 유착 및 조대화와 관련이 있을 것입니다[27,28,29].

그림 3은 인터페이스 M/M 및 M/R의 일반적인 TEM 결과를 보여줍니다. M/R 경계면에 위치한 Grain이 변형 후 M/M 경계면에 위치한 Grain보다 실제로 더 크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입자 크기 분포에 대한 추가 분석은 변형되지 않은 샘플에서 입자의 많은 부분(75% 이상)이 직경이 40nm 미만임을 보여줍니다. ε 이후 =0.50 압연 변형, 작은 입자의 비율(40nm 미만)은 경계면 M/R에서 분명히 떨어집니다. 대신 큰 입자(50nm 이상)의 비율이 증가합니다. 변형된 Grain의 Dislocation 활동에 대한 이전 연구에 따르면 완전한 Dislocation은 점차적으로 큰 Grain의 변형을 지배하기 시작할 것입니다[30,31,32,33]. 따라서 인터페이스 M/M의 SFP가 인터페이스 M/R의 SFP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그림>

a의 일반적인 TEM 이미지 금속/금속(M/M) 접점 인터페이스 및 b 최종 팩 롤링 패스 후 금속/롤(M/R) 접촉 인터페이스. 변형 전후의 입도 분포는 c에 나와 있습니다.

미세구조 변화와 기계적 응답을 연관시키기 위해 M/M 및 M/R 계면의 미세경도 변화가 그림 4에 나와 있습니다. 변형 초기 단계에서는 두 계면 사이에 명백한 차이가 없습니다.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경계면 M/M의 미세경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경계면 M/R의 미세경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소둔 상태의 시료의 결정립 크기 및 미세경도와 비교할 때, 결정립 조대화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M/M 및 M/R 계면에서 변형에 의한 변형 경화가 발생한다. 고전적인 Hall-Petch 관계에 따르면 미세경도는 입자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합니다. 따라서 변형된 샘플에 대해 Bailey-Hirsch 관계가 고려됩니다[34, 35]. 미세경도 대 전위 밀도의 제곱근을 조사합니다. Bailey-Hirsch 행동에서 편차를 발견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변형의 후기 단계에서 r.m.s.에 의해 결정된 잔류 전위 밀도. microstrain은 인터페이스 M/R에 대해 어닐링된 상태보다 다소 낮지만 해당하는 미세경도는 다소 높습니다. 여기서, 획득된 거시적 영역에 해당하는 미세구조 정보를 기반으로 두 가지 일반적인 미세구조 요인, 즉 전위 밀도와 결정립 크기가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시도이다. nc Ni [36,37,38]에 대해 보고된 값 또는 계산된 값을 취하여 마이크로 경도의 추정 값도 그림 4에 표시됩니다. 전체적으로 M/M 계면의 추정 값은 인터페이스 M/R은 미세 구조 진화의 통계적 XRD 결과가 신뢰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냅니다. 또한 추정값과 측정값의 차이에 대한 포괄적인 비교 및 ​​분석을 통해 변형된 nc 샘플 내부에 전위-전위 상호작용과 같은 또 다른 강화 메커니즘이 있어야 한다고 결론지었습니다[37]. 특히 계면 M/R의 경우 dislocation-dislocation 상호 작용이 큰 결정립 내에 존재할 수 있어 가공 경화 정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림>

사전 어닐링된 나노결정질 니켈의 팩 압연 중 미세경도 변화의 실험적 측정 및 추정된 예측. 미세경도 추정값은 Hall-Petch 관계 및 Bailey-Hirsch 관계에 기초한 Grain 크기와 Dislocation 밀도에 의해서만 결정됩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X선 회절선 프로파일 분석을 기반으로 팩 압연 변형 동안 나노결정질 니켈의 미세구조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일부 관련 결과의 신뢰성은 투과 전자 현미경 관찰 및 미세 경도 측정에 의해 검증되었습니다. 금속/금속 접촉 계면과 금속/롤 접촉 계면 사이의 미세 구조 발달의 불일치가 특히 문제였습니다. 결과는 두 인터페이스의 미세 구조가 서로 다른 부과된 변형으로 인해 서로 다른 진화 경로를 겪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결정결함 밀도 및 결정립 크기와 같은 통계적 미세구조 정보로부터 금속/금속 접촉 계면의 미세구조가 금속/롤 계면보다 팩 압연 동안 더 안정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약어

남/남:

금속/금속

M/R:

금속/롤

nc:

나노결정질

r.m.s.:

평균제곱근

SFP:

스태킹 오류 확률

TEM:

투과전자현미경

XRD:

X선 회절


나노물질

  1. 나노결정질 합금
  2. 나노채널에서 석유 수송에 대한 표면 효과:분자 역학 연구
  3. 새로운 나노입자 강화 벌레 유사 미셀 시스템 연구
  4. 보로펜의 안정성 및 STM 이미지에 대한 제1원칙 연구
  5. 적재된 약물의 화학적 안정성에 대한 리포솜의 미세 환경 pH 효과
  6. 금속 나노입자로 구성된 효율적인 태양열 흡수체의 수치 연구
  7. 콘드로이틴 황산염-메토트렉세이트 나노겔의 항종양 연구
  8. 초고감도 포도당 감지를 위한 메조포러스 산화니켈(NiO) 나노페탈
  9. 수성 전해질에서 대칭 슈퍼커패시터로서의 탄소 나노섬유 및 활성탄 연구:비교 연구
  10. 판매 주문 자동화가 팬데믹 기간 동안 안정성을 만드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