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제조
산업용 사물 인터넷 | 산업자재 | 장비 유지 보수 및 수리 | 산업 프로그래밍 |
home  MfgRobots >> 산업 제조 >  >> Industrial materials >> 나노물질

글리세롤 연료 전지의 전기 산화를 위한 새로운 양극 PdAu/VGCNF 촉매의 향상된 성능

초록

이 연구는 글리세롤 연료 전지에서 전기 산화를 위한 새로운 양극 PdAu/VGCNF 촉매를 제시합니다. 반응 조건은 글리세롤 전기 산화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 연구는 촉매 로딩, 온도 및 전해질 농도의 효과를 제시합니다. 양극 측에서 PdAu/VGCNF 촉매의 글리세롤 산화 성능은 3mm 2 의 순환 전압전류법을 통해 테스트됩니다. 활동 영역. 촉매의 형태 및 물리적 특성은 X선 회절(XRD), 전계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SEM) 및 에너지 분산 X선(EDX) 분광법을 사용하여 조사됩니다. 그런 다음 중심 합성 실험 설계를 사용하여 응답 표면 방법을 사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합니다. 전류 밀도는 일련의 실험적 실험실 테스트에서 응답 변수로 실험적으로 획득됩니다. 촉매 로딩, 온도 및 NaOH 농도는 스크리닝 실험에서 이전에 평가된 독립적인 매개변수로 사용됩니다. 158.34mAcm −2 의 최고 전류 밀도 3.0M NaOH 농도, 60°C 온도 및 12wt.% 촉매 로딩의 최적 조건에서 얻어집니다. 이러한 결과는 PdAu-VGCNF가 글리세롤 연료 전지의 잠재적인 양극 촉매임을 증명합니다.

<섹션 데이터-제목="배경">

배경

화석 연료와 같은 기존의 에너지원은 제한적이며 언젠가는 고갈될 것입니다. 화석 연료의 소비는 여전히 필수 사항이지만 우리가 연료로 사용하는 가연성 물질은 미래 에너지 수요를 충족할 만큼 빠르게 대체할 수 없습니다[1, 2]. 연료 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결합하여 전기, 열 및 물을 생산하는 유망한 재생 에너지 기술입니다. 이전에는 수소가 연료 전지의 기본 연료로 사용되었습니다. 불행히도 수소의 취급 및 저장이 어렵기 때문에 수소를 에너지 운반체로 액체 연료로 대체하고 수소를 연료 전지에 전달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3].

초기 연구에서 메탄올은 높은 에너지 밀도와 단순한 분자 구조로 인해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연료였습니다. 그러나 주요 초점은 환경 친화적 인 재료로 이동했습니다. 따라서 메탄올은 높은 독성 때문에 연료로 적용할 수 없습니다[4]. 또한, 연료극에 공급되는 연료로서 메탄올은 비효율적인 산화, 낮은 개방 전위, 양극에서 음극으로의 크로스오버(crossover)의 한계를 보인다[5]. 따라서 메탄올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글리세롤은 연료 전지에 사용하기 위한 유망한 후보가 되었습니다. 바이오디젤의 주요 산물인 글리세롤이 풍부하고 높은 에너지 밀도와 낮은 독성으로 인해 이 알코올은 연료 전지 응용 분야의 좋은 대안이 됩니다[6].

글리세롤의 복잡한 분자 구조와 산화 과정의 수많은 중간 종은 연료 전지에서 글리세롤의 사용을 막는 주요 장벽입니다. 따라서 촉매 및 반응 조건의 선택은 원하는 결과를 보장하는 데 중요합니다. 산성 매질보다는 알칼리성 매질이 산화 반응 동안의 동역학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글리세롤 산화에 사용되어 왔다[7]. 애노드에서 촉매는 연료의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팔라듐 기반 물질은 알칼리성 매질에서 효율적인 양극 물질이기 때문에 기상 성장 탄소 나노 섬유(VGCNF)에 지지된 바이메탈 PdAu 나노 입자는 이 연구에서 글리세롤 산화 촉매로 사용됩니다. 응집 경향이 높은 PdAu 나노 입자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촉매 지지체의 사용은 촉매의 성능, 활용도 및 수명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8]. 또한 10–200m 2 범위의 기계적 강도 및 표면적 외에도 g −1 , VGCNF는 금속 지지체 상호작용을 위한 표면을 제공하는 격자 및 기저 영역에 많은 수의 가장자리가 있는 고유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9, 10]. 지지체 물질로 VGCNF의 존재는 금속 촉매의 분산과 전기 촉매 성능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11].

전해질 온도와 NaOH 농도에 대한 알코올의 전기 산화 의존성은 여러 연구에서 조사되었습니다. Tripković, Štrbac 및 Popović [10]은 온도를 295K에서 333K로 증가시키면 Pt 및 PtRu 촉매의 MOR 활성이 증가한다고 언급했습니다. Habibi와 Razmi[12]는 개질된 탄소 세라믹 전극( CCE). 저자들은 NaOH 농도와 온도가 글리세롤의 산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습니다. 촉매 로딩은 또한 알코올 산화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기본적으로, 특히 글리세롤과 같은 복잡한 분자의 경우 알코올 산화에 대한 촉매 로딩의 영향을 줄이는 것은 중요한 과제입니다. 많은 연구에서 [13] 에탄올과 글리세롤의 산화를 위한 10wt.% ~ 20wt.% Pd/C 및 PdAu/C 금속 촉매를 개발했습니다. 에탄올 및 글리세롤과 같은 폴리알코올은 산화 중 많은 중간 반응 메커니즘을 포함하므로 더 낮은 촉매 부하를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관찰은 글리세롤 산화 반응 조건에 대한 최적화 연구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전해질 온도, NaOH 농도 및 촉매 로딩이 PdAu/VGCNF를 사용한 글리세롤 산화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반응 표면 방법(RSM)으로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한 번에 하나의 매개변수를 변경하여 실험 데이터에서 예측 모델을 생성했습니다. RSM은 전략적으로 실험을 계획하고 실행하여 글리세롤 산화의 작동 조건을 최적화하는 데 필요한 실험 수를 줄이는 데 사용되는 실험 설계를 위한 응용 통계 기법입니다. RSM은 실험 데이터에 대한 다항식의 적합에 기반한 수학적 및 통계적 기술의 모음입니다[14, 15]. RSM의 사용은 변수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포함할 수 있고 결국 매개변수가 프로세스에 미치는 전체 효과를 묘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실용적입니다[16]. 합금 전극촉매의 작동 조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입니다. 또한 PdAu/VGCNF 촉매를 사용하여 알칼리성 매질에서 글리세롤 산화에 대한 반쪽 전지 성능의 RSM 최적화는 연구된 적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연구는 단일 셀의 성능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그러나 하프 셀 테스트에서 매개변수를 최적화하면 단일 셀 작동에 적용할 수 있는 벤치마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실험

재료 및 화학 물질

금(III) 염화물 삼수화물(HAuCl4)과 같은 모든 전구체 금속 염 및 화학 시약 ·3H2 O), 염화팔라듐(PdCl2 ), 구연산삼나트륨(Na3 Ct),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 탄소 나노섬유, 수산화나트륨, 글리세린, 2-프로판올 및 5wt.% Nafion 용액은 Sigma-Aldrich/USA에서 구입했습니다.

악기

전기 촉매의 물리적 분석을 위해 X선 회절(XRD), 전계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에너지 분산 X선(EDX) 분광법 및 투과 전자 현미경(TEM)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전기 촉매를 조사했습니다. 결정화, 구조, 형태, 원소 조성, 크기 및 원자 분포. XRD는 결정질 물질의 상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작업에 사용된 기기는 40kV 및 40mA에서 CuKα 방사선 소스가 장착된 Bruker D8 Advance 회절계입니다. 전기 촉매의 스캐닝은 2° min −1 의 속도로 수행됩니다. 30°와 90° 사이. Scherrer 방정식은 분말의 결정질 입자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나노 구조 촉매에 대한 지형 및 원소 정보는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아래 샘플의 원소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기가 장착된 Gemini SEM 500 전계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얻었습니다. 분석. 투과 전자 현미경(TEM)은 120kV에서 작동하는 Philips CM12 현미경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분석 전에 샘플 촉매를 초음파 수조의 에탄올에 30분 동안 두었습니다.

촉매 합성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전기촉매 합성 방법론은 환원과 함침을 기반으로 하는 혼합 기술이다[17]. 이것은 기상 성장 탄소 나노섬유(VGCNF)에 지지되는 PdAu 바이메탈 합금의 형성을 허용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2ml의 PdCl2로 시작된 전기촉매 합성 (0.05M) 7ml의 금(III) 염화물 삼수화물(HAuCl4)과 혼합 ·3H2 O) (0.012M). 혼합 용액을 일정량의 구연산삼나트륨(0.5M)에 적가하였다. Trisodium citrate는 고체 입자와 용매 사이의 표면 장력을 낮추어 나노 입자의 응집을 제어하는 ​​안정화제 역할을 합니다. 이어서, 혼합 용액을 교반된 VGCNF 슬러리(이소프로판올 + 탈이온수)에 적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금속 전구체의 환원은 새로 준비된 과량의 얼음처럼 차가운(0.5M)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 용액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시간이 길수록 환원력이 강한 수소화붕소나트륨이 생성물과 반응할 수 있습니다. NaBH4의 몰비 금속 이온에 대한 5 내지 15는 PdAu 바이메탈 합금 나노 입자의 더 나은 촉매 분산 및 표면 조성을 제공합니다. 용액을 밤새 자기 교반 하에 유지하고, 여과하고, 탈이온수로 여러 번 세척하여 모든 용매를 제거하고 80°C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했습니다. VGCNF에 지지된 전기촉매 PdAu 바이메탈 합금의 준비에서 금속 로딩은 10wt.%와 30wt.% 사이에서 다양했습니다.

주기적 전압전류 테스트

전기촉매의 전기화학적 분석을 위해 순환 전압전류법 실험을 수행하였다. 순환 전압전류 측정은 Autolab(PGSTAT101) 전기화학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수행되었습니다. 촉매 잉크는 증류수, 이소프로필 알코올 및 5중량% Nafion®의 혼합물에 5mg의 전기 촉매를 용해하여 제조했습니다. 전기촉매 잉크 2.5μl 분취량을 마이크로피펫을 사용하여 유리질 탄소 전극에 증착한 다음 실온에서 건조되도록 둡니다. 전기 촉매의 전기화학적 특성화는 50mVs − 1 의 스캔 속도에서 1M NaOH에서 - 0.8 ~ 0.4V의 전위 범위에 걸쳐 순환 전압전류법(CV) 테스트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0.5M 글리세롤/0.5M NaOH 용액 NaOH 전해질의 농도와 온도는 각각 0.5~6.0M 및 25~80°C로 다양했습니다. 두 용액 모두 N2로 버블링하여 탈산소화되었습니다. 최소 200ml에서 − 1 글리세롤 산화 반응을 측정하기 전에 30분 동안.

실험 디자인

PdAu/VGCNF 전기촉매를 이용한 글리세롤 산화 반응에 대한 최적화 인자를 결정하기 위해 Design Expert 8.0을 이용한 중심 합성 설계(Central Composite Design, CCD)를 수행하였다. CCD는 충분한 수의 실험 데이터 포인트가 존재할 때 적합성 결여에 대해 테스트할 수 있는 합리적인 양의 정보를 허용하는 순차적 실험을 위한 설계 도구입니다[18]. 이 작업에 사용된 세 가지 요소와 범위는 표 1에 나와 있으며 NaOH 전해질 농도, 전해질 온도 및 금속 부하가 포함됩니다. 응답은 순환 전압 전류 분석에서 얻은 글리세롤 산화 피크 전위에서의 전류 밀도로 설정되었습니다.

촉매는 요인, 축 및 중심점을 포함하여 총 20개의 실험이 수행된 표 2에 나열된 조합 설계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최적화를 위해 준비되었습니다. 실험 데이터는 Eq.로 표현되는 2차 다항식 회귀 모델에 적합했습니다. 1:

$$ Y=\베타 o+{\sum}_{i=1}^n\베타 i\times Xi+{\sum}_{i=1}^n\베타 ii\times X{i}^2+{ \sum}_{i=1}^n{\sum}_{j>1}^n\beta ij\times Xi Xj $$ (1)

여기서 Y 예측 응답 변수입니다. n 변수의 수입니다. 및 β 0 , β , β ii , 및 β ij 는 각각 선형 매개변수, 2차 매개변수 및 상호작용 매개변수의 계수입니다. 위의 다항식 모델의 확실성은 결정 계수 R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2 . 실험 순서는 시스템 오류를 피하기 위해 무작위로 지정되었습니다.

결과 및 토론

촉매의 물리적 특성

VGCNF에 지지된 PdAu 합금의 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택된 샘플(샘플 Run-15)을 XRD로 분석했습니다(그림 1 참조).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26.0° 중심의 첫 번째 회절 피크는 원시 VGCNF의 흑연 구조 탄소, 특히 육각 흑연의 (002) 회절 평면(JCPDS 카드 번호 41–1487)에 할당될 수 있습니다. [10 ]. 두 번째 피크는 단일 면심 입방체(fcc) 상에 해당하며, 이는 Pd와 Au가 고도로 합금화되어 고도로 합금화된 PdAu 바이메탈 합금 나노입자를 형성함을 나타냅니다. 샘플은 fcc 구조의 (111), (200), (220) 및 (311) 평면에 해당하는 39.06°, 45.14°, 66.17° 및 79.60°에서 XRD 피크를 나타냅니다. PdAu 바이메탈 합금의 XRD 패턴은 Fm3m 공간 그룹과 JCPDS 카드 번호 96-151-0339의 분말 회절 데이터로 색인화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금속, 즉 Au를 추가하면 두 번째 금속과 Pd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회절 피크가 더 낮은 값으로 이동합니다. 또한 두 샘플의 XRD 피크는 작은 크기(나노스케일) 재료로 인해 더 짧고 넓습니다. 결정자 크기는 Scherrer 방정식을 사용하여 추정되었으며 Run-15 샘플의 경우 결정자 크기가 4.5nm임을 보여줍니다.

<그림>

샘플 Run-15에 대한 XRD 패턴

VGCNF에 지지된 PdAu 입자의 형태를 조사하기 위해 FESEM을 사용하여 샘플을 관찰했습니다. 그림 2a에서 VGCNF에 담지된 PdAu 입자는 VGCNF에 중간 정도의 덩어리를 가지며 그 모양을 구별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촉매 샘플 내의 원소 조성 분포는 그림 2b에 제공된 EDX에 의해 측정되었습니다. PdCl2의 비율일 때 :HAuCl4 ·3H2 공급 용액의 O는 1:1이었고 Pd:Au 원소 비율은 예상 비율에 근접한 55:44로 결정되었습니다. 이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Pd 및 Au 나노입자의 존재를 확인하고 공급 용액의 두 금속염과 잘 일치합니다.

<사진>

FESEM 이미지 및 b 샘플 Run-15에 대한 EDX 데이터

그림 3은 PdAu/VGCNF(샘플 Run-15)의 TEM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샘플의 이미지는 PdAu 나노입자가 VGCNF에 잘 분포되어 있고 덩어리 및 응집된 혼합물에서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응집된 입자는 단단한 응집체를 형성하지 않고 반데르발스(van der Waals)와 모세관 접착력에 의해 약하게 부착된 1차 입자로 구성된 부드러운 응집체를 형성한다[19]. 이것은 입자 사이의 장거리 자기 쌍극자-쌍극자 상호 작용 때문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결과는 용매 증발 동안 모세관력으로 인한 TEM 샘플 준비의 건조 단계에서도 관찰되었습니다[20]. 입자 크기 분포 히스토그램의 범위는 2.5~9.5nm이며 평균 직경은 4.5±1.0nm입니다. 이 값은 XRD 분석에서 얻은 결정자 크기에 가깝습니다.

<그림>

샘플 Run-15의 TEM 이미지

최적화 연구

표 2는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피크 전위에서 전류 밀도 응답을 보여줍니다. 글리세롤 산화의 피크 전위에서 전류 밀도는 식에 의해 주어진 2차 다항식 회귀에 의해 모델링됩니다. 1. Eq.에서 얻은 적합 요약 모델 통계 결과. 1은 표 3에 나와 있습니다. 2차 다항식 회귀 모델링은 조정 및 예측된 R 2 를 최대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가치. 표 3과 같이 2차 모델은 조정된 R이 가장 높습니다. 2 및 예측 R 2 값과 가장 낮은 p 가치.

표 4는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전류 밀도에 대한 분산 분석(ANOVA) 결과를 보여줍니다. 모형의 p-값은 <0.0001로 모형이 유의함을 나타냅니다[21]. 이 연구에 사용된 요소, 즉 NaOH 농도, 전해질 온도 및 촉매 로딩은 모두 글리세롤 산화 반응 모델에서 중요합니다. 이 모델은 또한 높은 R 2 값이 0.9859인 결정 계수는 모델이 관측된 데이터에 잘 맞는다는 것을 나타내며 반응의 변동성은 0.0141%에 불과합니다. 경험적 모델은 적절하며 모델에 R이 있는 경우 우수한 모델 성능을 나타냅니다. 2 최소 0.75의 값[22]. 적합성 결여에 대한 p-값은 0.0844로 0.05보다 큽니다. 이것은 또한 표 4에서와 같이 모델이 잘 적합하고 매개변수와 출력 응답 사이에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줍니다[23]. 예측된 R 2 조정된 R 2 는 0.3보다 크지 않으며, 이는 중요하지 않은 항이 2차 모형에서 간섭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자유도(F test)는 모델에서 4303.03의 값을 가지며, 이는 모델이 유의하고 이 큰 F 노이즈로 인해 값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코딩된 요인 모델은 Eq.에서 얻은 2차 모델에 맞게 개발되었습니다. 2;

$$ \mathrm{현재}\ \mathrm{밀도}=157.49+{10.76}^{\ast }{\mathrm{X}}_1+{21.91}^{\ast }{\mathrm{X}}_2+{8.87 }^{\ast }{\mathrm{X}}_3-{5.37}^{\ast }{\mathrm{X}}_1{}^2-{29.43}^{\ast }{{\mathrm{X }}_2}^2-{36.43}^{\ast }{{\mathrm{X}}_3}^2-{9.11}^{\ast }{{\mathrm{X}}_1}^{\ast }{\mathrm{X}}_2+{0.78}^{\ast }{{\mathrm{X}}_1}^{\ast }{\mathrm{X}}_3-{1.51}^{\ast }{ \mathrm{X}}_2\ast {\mathrm{X}}_3 $$ (2)

그림 4a는 스튜던트화 잔차의 정규 확률도를 보여줍니다. 플롯은 데이터 포인트가 대략 선형임을 보여주며 이는 오류 항에서 원하는 정규성을 나타냅니다. 그림 4b는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에서 예측된 전류 밀도 대 실제 응답 데이터의 플롯을 보여줍니다. 예측 대 실험 전류 밀도의 플롯(mAcm −2 )는 회귀 모델에 완벽하게 부합하며 운영 변수 범위에서 관찰된 밀도와 잘 일치합니다. 그림 5는 원시 데이터에 대한 잔차 대 예측 값의 플롯을 보여줍니다. 이 플롯은 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림 5에서 표준화 잔차 대 실행 순서의 플롯은 잔차가 직선을 따라 무작위로 흩어져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결과는 원래 관측치의 분산이 모든 응답 값에 대해 일정함을 시사합니다.

<그림>

반응 표면 방법론(RSM)에서 스튜던트화 잔차의 정규 확률도.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에서 전류 밀도에 대한 실제 응답 데이터 대 예측 데이터

<그림>

잔차 플롯 대 원시 데이터에 대한 예측

상호작용 매개변수의 다양한 조건에서 글리세롤 산화 성능

그림 6, 7, 8, 9는 PdAu/VGCNF 촉매에 의한 글리세롤 산화의 산화 피크에서 전류 밀도의 등고선 플롯을 다음에서 금속 촉매 로딩(wt.%) 및 NaOH 전해질 농도(M)의 함수로 보여줍니다. 25~80°C 범위의 다양한 전해질 온도 그림 6a는 전해질 온도가 25°C로 설정된 경우 등고선 플롯을 보여줍니다. 그림 6a에서 볼 수 있듯이 전류 밀도는 NaOH 농도와 금속 촉매 로딩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합니다. 그러나 22wt.% 이상의 금속 촉매 로딩에서는 전류 밀도가 감소합니다. 등고선 플롯은 25°C에서 도달한 최고 전류 밀도가 120mAcm −2 임을 보여줍니다. . 이 전류 밀도에서 18–24wt.%의 금속 촉매 로딩과 5.5–6.0M의 NaOH 농도가 필요합니다. 30°C에서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에서 전류 밀도의 등고선 플롯의 동일한 패턴이 그림 6b에서 관찰됩니다. 전류 밀도는 24wt.% 이상의 금속 부하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130mAcm −2 일 때 고전류 밀도 영역이 발생합니다. . 이 영역에는 5.0~6.0M의 NaOH 농도와 18wt.%~24wt.% 사이의 금속 촉매 로딩이 필요합니다. 25°C와 30°C 모두에서 유사한 고전류 밀도에 도달할 수 있지만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에 대한 고전류 밀도를 얻으려면 NaOH 농도를 5.0M으로 줄여야 합니다.

<그림>

(a의 전해질 온도에서 금속 촉매 로딩(wt.%) 및 NaOH 농도(M)의 함수로서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에서의 전류 밀도 플롯 ) 25°C 및 (b ) 30°C

<그림>

(a의 전해질 온도에서 금속 촉매 로딩(wt.%) 및 NaOH 농도(M)의 함수로서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에서의 전류 밀도 플롯 ) 40°C 및 (b ) 50°C

<그림>

(a의 전해질 온도에서 금속 촉매 로딩(wt.%) 및 NaOH 농도(M)의 함수로서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에서의 전류 밀도 플롯 ) 60°C 및 (b ) 70°C

<그림>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에서의 전류 밀도 플롯(a ) 80°C의 전해질 온도에서 금속 촉매 로딩(wt.%) 및 NaOH 농도(M) 및 (b ) 20wt.% 금속 촉매 로딩에서 전해질 온도(°C) 및 NaOH 농도(M)의 함수로

그림 7a는 전해질 온도 40°C에서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 전류 밀도의 등고선 플롯을 보여줍니다. 이 온도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전류 밀도는 150mA/cm 2 입니다. , 130mA/cm 2 와 대조 30°C에 도달했습니다. 30°C의 전해질 온도와 비교할 때 금속 부하는 16~29wt.% 범위이고 NaOH 농도는 1.50~6.0M 범위에서 130mA/cm 2 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전해질 온도가 40°C인 전류 밀도 그러나 2wt.%(20~24wt.%) 감소된 금속 촉매 로딩과 함께 5.0~6.0M 범위의 NaOH 농도를 사용하면 150mA/cm 2 의 최고 전류 밀도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40°C 전해질 온도에서 30°C의 온도는 130mA/cm 2 의 전류 밀도에 불과합니다. . 30°C에서 40°C로 전해질 온도의 변화는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에서 전류 밀도를 증가시킵니다.

전해액 온도가 50°C까지 추가로 증가할 때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의 전류 밀도의 등고선 플롯은 그림 7b에 나와 있습니다. 이 온도에서 가장 높은 전류 밀도는 162mA/cm 2 입니다. , 그러나 면적이 작고 금속 촉매 로딩 및 NaOH 농도가 각각 21-22wt.% 및 5.75-6.0M 필요합니다. 50°C의 전해질 온도에서 동일한 범위의 금속 촉매 로딩(20~24wt.%)을 사용하면 NaOH 농도가 0.5M(4.5~6.0M)만큼 이동하여 160mA/cm2 . 온도의 영향은 동일한 범위의 금속 촉매 로딩 및 NaOH 농도에 대해 전류 밀도를 높은 값으로 증가시킵니다.

그림 8a, b 및 9a는 각각 60, 70 및 80°C에서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에서 전류 밀도의 등고선 플롯을 보여줍니다. 그림 8a에서 전류 밀도는 165mAcm − 2 의 가장 높은 값을 가집니다. 161mAcm − 2 의 전류 밀도를 나타내는 70 및 80°C에서와 비교하여 60°C에서 및 150.4mAcm − 3 , 각각. PdAu/VGCNF 촉매는 60°C에서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에서 가장 높은 전류 밀도를 얻습니다. 60°C 이상의 온도에서는 전류 밀도가 감소합니다. 그림 8a에서 가장 높은 전류 밀도를 얻기 위해 필요한 NaOH 농도는 5.0–5.5M 범위입니다. 그러나 160mA/cm 2 의 전류 밀도를 얻으려면 이 연구에서 발견된 가장 낮은 농도인 3M의 낮은 NaOH 농도가 필요합니다. 70°C의 전해질 온도에서 최고 전류 밀도는 161mA/cm 2 로 감소합니다. , NaOH 농도 범위는 약 4.0~5.0M입니다. 온도를 80°C까지 높이면 최고 전류 밀도가 150.4mA/cm 2 로 감소합니다. 뿐만 아니라 3.5–4.0M 범위의 NaOH 농도입니다.

60~80°C 범위의 온도에서 가장 높은 전류 밀도를 얻는 데 필요한 금속 촉매 로딩은 약 20~24wt.%로 동일한 것으로 보입니다. 금속 부하를 더 높이면 전류 밀도만 감소합니다. 다른 온도에도 동일한 조건이 적용됩니다. 금속 촉매 로딩을 24중량% 이상으로 늘리면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활성 부위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촉매는 활성이고 촉매의 표면에 글리세롤의 흡착을 허용합니다. 그러나 지지체에 있는 촉매 금속의 양을 고려해야 합니다. 높은 촉매 로딩은 탄소 지지체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연료 전지 촉매 층의 두께에 영향을 미칩니다. 게다가, 금속 부하를 증가시키면 전기화학적 활성 표면적(EASA)의 포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24]. 이는 지지체가 있는 경우에도 Pd 응집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높은 금속 로딩은 나노 입자 응집 정도를 증가시키고 다공성을 감소시켜 질량 수송 제한을 초래하고 촉매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25]. 온도와 촉매 부하가 동시에 증가하면 전류 밀도의 감소로 인해 PdAu 합금 입자가 클러스터링되어 PdAu 촉매에 대한 산화환원 전이 금속화 반응의 매우 빠른 반응 속도 때문에 제한된 질량 활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26 ]. 그림 9b는 전해질 온도와 NaOH 농도의 함수로 20wt.%의 금속 촉매 로딩을 가진 글리세롤 산화 반응의 산화 피크에서의 전류 밀도를 보여줍니다. 금속 촉매 로딩 상수를 20wt.%로 설정하면 전해질 온도와 NaOH 농도를 변화시켜 최적의 전류 밀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전류 밀도의 증가는 확산 계수, 반응물의 물질 전달 및 반응 동역학의 개선으로 인한 전해질의 온도에 기인합니다. 열이 가해지면 글리세롤 분자가 더 빨리 움직이므로 양극 촉매로 더 빠르게 글리세롤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온도를 65°C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전류 밀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중간 종의 형성으로 인해 전류 밀도가 정체되어 활성 부위를 차단하고 촉매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27]. 이것은 일정한 전해질 온도에서 증가된 NaOH 농도에서도 관찰됩니다. 전류 밀도가 123.33mAcm − 2 로 증가합니다. 그림 9b와 같이 NaOH 농도 6.0M 및 온도 25°C에서 OH - 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류 밀도가 증가합니다. concentration in an alkaline electrolyte environment may give rise to greater OH coverage on the catalyst surface. The presence of OH facilitates the adsorption of glycerol on the catalyst active sites, and increasing the OH concentration to a certain value will prevent the adsorption of glycerol on the catalyst sites and decrease the reaction rate of the glycerol oxidation [28]. Figure 9b shows the decrease in the current density when the temperature and NaOH concentration approach 80 °C and 6.0 M, respectively. In general, the performance of the catalyst increase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However, at a certain point, these two operating conditions will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current density. Temperatures and NaOH concentrations that are too high will lead to a higher coverage of the active layer on the anode catalyst and a decrease in the cell performance [27]. The highest current density is 164 mAcm − 2 , recorded at a NaOH concentration of 6.0 M and a temperature of 60 °C.

Confirmation test

Two additional confirm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RSM model and ensure that the model provides an adequate approximation to the real system. The chosen conditions for the temperature, NaOH concentration and catalyst loading, together with the predicted and experimental results, are listed in Table 5. Figure 10 shows the experiments tha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developed model. The predicted and experimental values were compared, and the margin of the error was in the permissible range. The maximum current density of 164.10 mAcm − 2 was recorded during the cyclic voltammetry test at a NaOH concentration of 6.0 M, temperature of 50 °C and catalyst loading of 20 wt.%. These conditions affected the glycerol oxidation performance of the catalyst, producing the best current density. For the second set of conditions, the NaOH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were set to the minimum values, with a NaOH concentration of 0.5 M, temperature of 45.21 °C and catalyst loading of 20 wt.%. The maximum current density achieved in the experiment was 143.94 mAcm − 2 . Although the current density was slightly lower, the system can be run with minimal operational cost. In addition, reducing the temperature reduces the heat or energy of the system. Reducing the energy usage directly decreases the operational cost. One optimal condition, NaOH concentration of 5.24 M, temperature of 60 °C and minimal catalyst loading of 12 wt.%, was found that led to a current density of 158.34 mAcm − 2 during glycerol oxidation. Compared to the conditions used before the optimization, the catalyst loading can be minimized by up to 8%, and the current density can be increased by more than 40% (Fig. 10). The parameters chosen for the optimum conditions are suitable for single-cell operation. Table 6 presents a comparison of our Pd-based catalyst with that used in a previous study and shows that the oxidation of glycerol is remarkably enhanced when using the PdAu/VGCNF catalyst after optimizing several of the reaction parameters.

Plot of the current density for (a ) the maximum and minimum conditions and (b ) before and after optimization of the reaction conditions

결론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is a powerful method for the examination and optimization of multivariable procedures. In this study, the Design Expert RSM tool generated 20 experiments to analyze the effects of temperature, NaOH concentration and catalyst loading on the current density of the glycerol oxidation reaction via cyclic voltammogram testing. According to the F values in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evaluation, the NaOH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ponse. High temperatures improved the reaction kinetics of the glycerol reaction. Meanwhile, a high NaOH concentration provided OH ions that facilitated the glycerol oxidation reaction. The best expression or optimal conditions subject to the highest current density of 158.34 mAcm − 2 were found to be at a NaOH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catalyst loading of 5.24 M, 60 °C and 12 wt.%, respectively. In conclusion, using RSM to optimize an analytical method verified and successfully determined the optimum conditions for glycerol oxidation when using PdAu/VGCNF as the catalyst.


나노물질

  1. 센서는 향상된 스마트 제품 분석을 위한 경쟁을 촉진합니다
  2. 향상된 약물 전달을 위한 나노섬유 및 필라멘트
  3. 리튬 이온 배터리의 전기화학적 성능이 향상된 LiNi0.8Co0.15Al0.05O2/탄소 나노튜브의 기계적 합성물
  4. 양극 TaO x 나노튜브 어레이의 향상된 생체적합성
  5. 전기방사법을 통한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용 새로운 복합 Tio2 탄소 나노섬유 양극 촉매 지지체의 제작 및 특성화
  6. 광촉매 성능이 향상된 새로운 Bi4Ti3O12/Ag3PO4 이종접합 광촉매
  7. 세포 내재화 향상을 위한 Fe3O4 자성 나노입자의 엽산과 gH625 펩티드 기반 기능화 간의 비교
  8. S-도핑된 Sb2O3 나노결정:유기 분해를 위한 효율적인 가시광선 촉매
  9.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를 위한 새로운 양극 촉매 지원:특성화 및 단일 전지 성능
  10. 염료 분해를 위한 새로운 p-Ag3PO4/n-BiFeO3 이종 접합 복합 재료의 손쉬운 합성 및 향상된 가시광 광촉매 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