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제조
산업용 사물 인터넷 | 산업자재 | 장비 유지 보수 및 수리 | 산업 프로그래밍 |
home  MfgRobots >> 산업 제조 >  >> Industrial materials >> 나노물질

알긴산 나트륨 전해질-설폰화 그래핀 산화물 생체막을 통한 향상된 양성자 전도도 및 메탄올 투과성 감소

초록

Nafion® 멤브레인의 높은 메탄올 크로스오버와 높은 비용은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 응용 분야의 주요 과제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알긴산나트륨(SA) 고분자를 매트릭스로, 술폰화 그래핀옥사이드(SGO)를 무기 충전재(0.02~0.2)로 사용하여 메탄올 투과도가 낮고 양성자 전도도가 높은 비나피온 고분자 전해질막 wt%)는 간단한 용액 주조 기술로 제조되었습니다. -SO3 사이의 강한 정전기적 인력 SGO의 H와 알긴산 나트륨 폴리머는 기계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수분 흡수를 최적화하여 멤브레인에서 메탄올 크로스오버를 억제했습니다. 최적의 특성과 성능은 0.2wt% SGO의 로딩을 갖는 SA/SGO 멤브레인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이는 13.2 × 10 −3 의 양성자 전도도를 제공했습니다. Scm −1 , 그리고 메탄올 투과성은 1.535 × 10 -7 cm 2 s −1 25°C에서 Nafion보다 훨씬 낮습니다(25.1 × 10 −7 cm 2 s −1 ) 25°C에서 인장강도 및 파단신율 측면에서 알긴산나트륨 중합체의 기계적 특성은 SGO 첨가로 개선되었습니다.

<섹션 데이터-제목="배경">

배경

연료에서 화학 반응을 통해 화학 에너지를 전기로 간단히 변환하는 것은 연료 전지 장치에 의해서만 가능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DMFC(Direct Methanol Fuel Cell)는 17%의 메탄올만을 연료로 사용하여 운전할 수 있어 다른 방식에 비해 오염물질 배출이 적으면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비행 중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 큰 주목을 받고 있다[1] . DMFC는 의료 도구, 보청기 및 휴대용 도구와 같은 많은 응용 분야에서 광범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높은 생산비(약 1000 USD m −2 )[2], 상용화된 멤브레인(Nafion)의 높은 메탄올 투과성 및 현재 전기촉매(팔라듐 및 루테늄)의 낮은 반응성 및 낮은 내구성[3]. 양성자 전해질 막은 연료 및 산화제 분리기 및 양성자 전도 경로 기능을 하기 때문에 DMFC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결과적으로 전체 시스템 효율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요구되는 멤브레인 특성 중 멤브레인은 높은 양성자 전도도와 음극 측 중독을 피하기 위해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메탄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능력을 가져야 합니다[4]. 또한 멤브레인의 경우 위험하지 않고 저렴한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상용 멤브레인(Nafion)은 이러한 주요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높은 메탄올 투과성, 높은 비용 및 유해 물질 사용으로 인해 DMFC 응용 분야에 좋은 멤브레인이 아닙니다. 또한 양성자 전도도가 이러한 문제의 영향을 받아 결과적으로 DMFC 응용 분야에서 효율성이 제한됩니다. 현재 바이오소재는 녹색기술소재로 분류될 만큼 안전하고 친환경적이어서 주목받고 있다. 새롭고 우수한 생체 재료로서 알지네이트는 조직 공학, 생물 의학, 약물 전달 수단, 식품 포장 및 DMFC를 포함한 다양한 응용 분야의 많은 연구자에게 흥미를 불러일으켰습니다[5]. 알지네이트는 갈조류에서 발견되는 탁월한 수용성 다당류이며 (1-4) 연결된 β-d-만누론산(M)과 α-l-굴루론산(G) 단위로 구성됩니다. 물 흡수율이 매우 높으며 자기 무게의 200~300배의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6]. 순수한 알지네이트의 proton 전도 능력은 연속적인 전달 경로가 없고 폴리머의 약한 전도 능력으로 인해 낮습니다[6,7,8,9]. 이전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분자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특성을 특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기 재료와 고분자 백본을 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 복합 재료는 각 구성 요소를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얻기 어려운 새로운 기능을 확장하거나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탄소 나노튜브와 산화 그래핀을 알지네이트 고분자 매트릭스에 도입함으로써 알지네이트의 기계적 강도가 성공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3, 10, 11]. 바이오폴리머 기반 멤브레인의 개발에 대한 이전 연구는 무기 또는 합성 폴리머, 예를 들어 이중층 키토산(1.67 × 10 −6 )과 같은 다른 재료와 결합할 때 좋은 잠재력을 보여주었습니다. cm 2 s −1 )[12], 키토산-PVA/나피온(2.2 × 10 −6 ) cm 2 s −1 )[13], 키토산-SHNT(0.76 × 10 −2 Scm −1 ) [14], 키토산-제올라이트(2.58 × 10 −2 S cm −1 )[15], 키토산-PMA(1.5 × 10 −2 S cm −1 ) [16], 키토산-알긴산나트륨(4.2 × 10 −2 ) S cm −1 ) [17], 알지네이트-카라기난(3.16 × 10 −2 S cm −1 ) [18], 설폰화된 키토산-SGO(72 × 10 −2 S cm −1 ) [19], PVA-알긴산나트륨(9.1 × 10 −2 S cm −1 )[20], 바이오셀룰로오스-나피온(7.1 × 10 −2 S cm −1 )[21], 키토산-SPSF(4.6 × 10 −2 S cm −1 ) [22], 키토산-실리카/탄소나노튜브(CNT) (2.5 × 10 -2 S cm −1 ), 키토산-PVP(2.4 × 10 −2 S cm −1 ) [23], 나노셀룰로오스/폴리피롤(1.6mW cm −2 ) 효소 연료 전지[24],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0.05 × 10 −3 ) S cm −1 ) 및 셀룰로오스 나노결정(CNC)(4.6 × 10 −3 S cm −1 ) [25], 박테리아 셀룰로오스(BC)/폴리(4-스티렌 설폰산)(PSSA)(0.2 S cm −1 ) [26], 그리고 이미다졸이 도핑된 나노결정질 셀룰로오스(2.79 × 10 -2 S cm −1 ) [27]. 그러나 개발된 바이오폴리머 기반 분리막의 수는 연료전지를 비롯한 많은 분야에서 합성고분자에 대한 연구에 비해 너무 적은 실정이다. 또한 키토산이 다른 탄수화물 폴리머보다 더 많은 관심을 받은 것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래핀 옥사이드는 전자공학, 나노복합체, 생물의학 및 연료전지를 포함한 많은 응용 분야에서 잠재력이 높은 유망한 탄소 기반 재료입니다. 그래핀 옥사이드는 높은 종횡비, 높은 전도성, 높은 기계적 강도, 독특한 흑연화 평면 구조 및 전기 절연 특성과 같은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친수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첨가제로 높은 탄성을 제공하여 습기로 인한 팽창에 저항합니다. 더욱이, 그래핀 옥사이드는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CNT보다 선호될 것이며, 이는 DMFC 응용 분야에서 멤브레인에 가장 적합한 후보가 됩니다[29]. 이전 연구에서는 GO가 키토산 필름 및 키토산-젤라틴 다공성 단일체와 같은 천연 고분자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9, 30]. Bayer et al. [31] Nafion보다 3배 낮은 수소 투과성과 49.9mScm -1 의 양성자 전도도를 나타내는 GO 종이를 준비했습니다. 인플레인 기법을 사용합니다. 직접 액체 연료 전지(DLFC) 성능은 Lue et al. [32] 나피온에 GO를 도입했다. 그러나 양성자 전도체로서의 GO의 성능은 막에 양성자 운반체가 될 수 있는 작용기가 부족하여 양성자 전도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연료 전지 성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제한적이다[19]. Karim et al. [33]은 그들의 연구에서 GO 나노시트의 전도도가 15mS cm -1 라고 보고했습니다. 및 Hatakeyama et al.에 의해 보고된 GO 전도도. [34] 및 Bayer et al. [35] 0.4 mScm −1 및 0.55mScm −1 , 각각. 이러한 약점을 기반으로, 설폰화된 GO는 증가된 양성자 전도도를 보여주고, GOS와 SO3 사이의 높은 상용성으로 인해 균질한 멤브레인의 형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설폰화된 GO가 이 응용 분야에서 GO보다 더 나은 옵션으로 간주됩니다. H [19]. Keith et al. [36]은 113mWcm −2 의 높은 최대 전력 밀도를 나타내는 SGO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PEMFC)의 경우 0.39V에서 –SO3의 장점 H 통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i) 산 그룹은 양성자 이동을 위한 추가 호핑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ii) 정전기 인력은 알지네이트 사슬 이동성과 패킹을 방해하여 열 및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아직 이 방법을 사용하여 나노복합체 알지네이트/SGO 재료를 생산하지 않았습니다. 전기 장치의 응용에서 생체 재료의 사용은 생물 과학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기술 간의 학제 간 연구로 이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알긴산염과 SGO의 장점을 결합하여 높은 내구성, 우수한 양성자 전도도 및 메탄올 투과성을 갖는 새로운 생체막을 형성하기 위해 나피온이나 다른 상용 PEM(양성자 교환막) 나피온보다 생산 비용이 훨씬 저렴합니다.

방법

자료

TIMREX PG25 천연 흑연은 TIMCAL Ltd.에서 구입했습니다. 농축 황산(H2 SO4 , 95%), 메탄올(CH3 OH, 99.7%), 과망간산칼륨, 염산, 과산화수소 수용액(H2 O2 , 35%), 염화칼슘, 에탄올, 설파닐산, 아질산나트륨 용액 및 글리세롤은 Sigma Aldrich에서 입수했습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은 추가 정제 없이 받은 그대로 사용되었습니다. Millipore 시스템(Milli-Q)을 통한 탈이온수(DI)는 모든 실험에 사용되었습니다.

막 준비

Hummer의 방법은 천연 흑연에서 GOS를 제공하기 위해 수정 및 적용되었습니다[10, 37]. 먼저 2g의 흑연을 150ml의 H2와 혼합했습니다. SO4 (95%)를 500ml 플라스크에 담습니다. 혼합물을 빙욕에서 30분 동안 교반했습니다. 지속적으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15g의 과망간산칼륨을 혼합물에 첨가했습니다. 첨가 속도는 반응 온도를 20°C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 깊게 제어했습니다. 그 다음, 혼합물을 교반하고 실온에서 밤새 방치한 다음 격렬하게 교반하고 98°C에서 24시간 동안 환류하면서 180ml의 물을 첨가하고; 이로 인해 용액이 노란색으로 변했습니다. 35% H2의 80밀리리터 O2 KMnO4로 반응을 켄칭하기 위해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 생성된 GO를 5% HCl로 세척한 후 원심분리하여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생성물을 탈이온수로 여러 번 헹구고, 여과하고, 진공 조건에서 건조시켰다.

50ml의 산화 그래핀을 70°C에서 0.06M 설파닐산 용액 8ml에 첨가했습니다. 계속 교반하면서 아질산나트륨 용액 2ml를 혼합물에 적가하고 70°C의 일정한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했습니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세척하고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SGO는 pH가 7에 도달할 때까지 물로 여러 번 더 세척되었습니다. SGO 입자는 X선 광전자 분광법(XPS)으로 특성화되었습니다. 알긴산나트륨은 1%(w /v ) 이중 증류수를 사용하여 알지네이트 용액을 얻습니다. 알지네이트 용액에 첨가된 SGO 함량은 0.02, 0.05, 0.09, 0.13, 0.17 및 0.2wt% 값으로 다양하여 복합 필름을 생성했습니다. 혼합물을 자기 교반기로 60분 동안 계속 교반했습니다. 불균일 용액을 유리기판으로 옮기고 60°C에서 72시간 동안 방치하여 박막을 형성하였다. 건조된 알지네이트/설폰화 그래핀 옥사이드 막을 염화칼슘/글리세롤 용액을 사용하여 가교결합하여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알지네이트의 친수성을 감소시켰다. 막을 양이온 농도가 1.5% w로 유지된 100ml의 가교 용액에 30분 동안 담그었습니다. /v . 마지막으로 탈이온수로 세척하여 막 표면에서 유리 양이온을 제거하고 막을 25°C에서 건조했습니다. 제조 방법은 Scheme 1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그림>

설폰화 그래핀 옥사이드(SGO) 충전제 및 SA/SGO 생체막 제조 방법

막 특성화

그래핀 옥사이드, 설폰화된 그래핀 옥사이드 및 멤브레인의 푸리에 변환 적외선(FTIR PERKIN ELMER) 스펙트럼을 분석했습니다. FTIR 파장은 4000~500cm −1 범위였습니다. . 생체 재료 기반 샘플에 대한 예방 조치로 작동 전압이 5kV인 전계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FEI QUANTA 400 FESEM)을 사용하여 필름 막의 미세 구조를 조사했습니다. 고해상도 투과 전자 현미경(HRTEM) 분석은 o 300kV의 가속 전위에서 작동되는 Digital TEM HT7700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끈으로 묶인 탄소 지지 필름이 있는 격자에서 샘플을 준비했습니다. XPS는 Axis Ultra DLD를 사용하여 샘플 표면의 화학적 조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인장 강도, 영률 및 파단 신율을 포함하여 SA/SGO 멤브레인의 기계적 강도를 만능 시험기로 테스트했습니다. 사용된 하중은 실온에서 3kN이었습니다. 습식 및 건식 멤브레인의 무게와 길이(또는 두께)의 변화는 수분 흡수율과 멤브레인의 팽창 비율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멤브레인은 30°C에서 2일 동안 물에 담가두었습니다. 젖은 멤브레인의 경우 무게와 길이를 기록하여 멤브레인 내부의 수분과 멤브레인 표면의 액적을 제거하였다. 또한, 습윤 막을 진공 압력 및 120°C의 온도에서 최소 24시간 동안 건조했습니다. 건조 상태에서 멤브레인의 무게와 길이도 기록되었습니다. 식 사용하기 1 및 2, 수분 섭취량(WU%) 및 팽창율(SW%)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L 젖은 젖은 질량을 나타내고 L 건조 는 각각 습식 및 건식 멤브레인의 길이에서 얻은 건조 질량을 나타냅니다.

$$ \mathrm{WU}\%=\frac{{\mathrm{질량}}_{\mathrm{습식}}-{\mathrm{질량}}_{\mathrm{건식}}}{{\mathrm{ 질량}}_{\mathrm{건식}}}\times 100 $$ (1) $$ \mathrm{SW}\%=\frac{L_{\mathrm{습식}}-{L}_{\mathrm{ 건조}}}{L_{\mathrm{건조}}}\times 100 $$ (2)

메탄올 섭취량 계산은 침지 용액이 DI water가 아닌 메탄올로 변경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수분 섭취량 계산과 동일합니다.

준비된 멤브레인의 양성자 전도도는 1MHz에서 50Hz까지의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하는 potentiostat/galvanostat(WonATech)에 연결된 4전극 전도도 셀을 사용하여 계산되었습니다. 멤브레인(크기 1cm × 4cm)은 완전히 수화된 상태에서 전도도 판독값을 위해 24시간 동안 물에 담가야 합니다. 전압 대 전류의 그래프를 얻기 위해 potentiostat를 실행했습니다. 직선의 기울기는 막 저항입니다. 반응식 1은 양성자 전도도 테스트의 셀을 나타냅니다. 양성자 전도도는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 \sigma =\frac{L}{RWT} $$ (3)

여기서 L 두 전극 사이의 거리, W 막의 너비, T 는 막 두께이고 R 는 이전 연구[38, 39]의 방법과 유사한 멤브레인의 저항입니다.

20 v가 있는 2개의 탱크 액체 투과성 셀 /v % 메탄올을 사용하여 멤브레인의 메탄올 투과성을 측정했습니다. 메탄올 농도의 차이로 인해 멤브레인을 통한 메탄올 교차가 발생하고 메탄올 투과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방정식 3은 메탄올의 투과성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 P=\frac{1}{Ca}\left(\frac{\Delta Cb(t)}{\Delta t}\right)\left(\frac{LVb}{A}\right) $$ ( 4)

여기서 P 는 메탄올의 막 확산 투과도입니다(cm 2 s −1 ), Ca 는 공급 챔버, 즉 셀 A의 메탄올 농도입니다(mol L -1 ), ∆Cb ( )/∆t 는 시간의 함수에 따른 셀 B의 메탄올 몰 농도 변화입니다(mol L -1 s), V b 각 확산 저장소의 부피입니다(cm 3 ), A 는 멤브레인 영역이고 L 막 두께(cm)입니다.

막의 특성은 높은 양성자 전도도와 낮은 메탄올 투과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막의 선택성을 계산하여 결정할 수 있습니다. 선택도 계산에 사용된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varphi =\frac{\sigma }{P} $$ (5)

여기서 φ 선택성, σ를 나타냅니다.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며, P 메탄올 투과성을 나타냅니다.

결과 및 토론

설폰화된 산화 그래핀(SGO) 및 SA/SGO 생체막의 특성화

그림 1a, b의 FTIR 스펙트럼은 GO와 SGO의 차이를 보여주므로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림 1b는 SGO 스펙트럼의 피크를 더 명확하게 보기 위해 그림 1a를 확대한 것입니다. SGO의 스펙트럼은 1244cm −1 에서 새로운 밴드를 보여줍니다. , 이는 술폰산기의 전형적인 흡광도입니다(-SO3 H) 반면 GO 스펙트럼은 이 대역을 포함하지 않습니다[40]. 또한 스펙트럼은 1012, 1036 및 1125cm −1 파장에서 새로운 피크를 보여줍니다. , SO3의 대칭 및 비대칭 신축 진동으로 간주됩니다. ㅎ 여러 떼. 이 새로운 스펙트럼은 위에서 설명한 간단한 방법을 사용하여 산화 그래핀 용액이 성공적으로 설폰화된 산화 그래핀으로 변형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동시에, 설폰화 변형은 3319cm -1 에서 수산기와 같은 GO의 작용기를 여전히 유지했습니다. 및 1636cm −1 의 카르복실기 . SO3의 존재에 대한 추가 확인 ㅎ XPS 분석으로 그룹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림>

, b 산화 그래핀(GO) 및 술폰화된 산화 그래핀(SGO)에 대한 FTIR 스펙트럼

그림 2는 측정 가능한 분석을 통해 기존 요소의 표면을 인식하기 위해 스캐닝 스펙트럼이 0–800eV 범위에 있는 GO 및 SGO 멤브레인의 XPS 스펙트럼을 보여줍니다. C1s 및 O1s 신호는 GO 및 SGO 스펙트럼 모두에서 각각 286 및 531eV에서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설폰산기가 GO에 도입된 후 168eV에서 새로운 S2p 피크가 나타났습니다. SGO의 설폰 그룹은 GO와 비교하여 O1 스펙트럼의 강도를 약간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Gaussian spectral deconvolution이라고 하는 C1의 고해상도 스펙트럼은 GO가 화학적 변형을 통해 성공적으로 맞춤화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41]. 그림 2b 내부의 그림은 더 큰 배율에서 기능화된 GO에 대한 S2p 스펙트럼입니다. sulfonic 그룹의 결합 에너지는 168 eV에서 S2p 피크의 출현에 기여했으며 이 피크는 sulfonic acid 그룹이 GO 나노시트 백본에 성공적으로 부착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41, 42].

<그림>

a의 XPS , b 넓은 스펙트럼 GO 및 SGO 및 c SGO의 S2p 스펙트럼

Hummer의 방법을 통한 GO의 성공적인 생산은 FESEM 이미지(그림 3a)와 같이 시트 형태의 GO 형태로 확인되었습니다. Bai et al. [43] 또한 Hummer의 방법으로 GO를 생성했습니다. 그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GO와 RGO의 형태는 모두 약간 접혀 있고 약간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 본 연구의 GO 형태와 유사합니다.

<그림>

GO의 FESEM 이미지. , 다양한 배율과 d를 사용한 SGO의 FESEM 이미지 SGO의 EDX

그림 3b, c의 SGO의 FESEM 이미지는 GO의 표면에 비해 구겨지고 거친 표면을 가지며 이는 설폰화 공정의 영향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아 변형 방법도 성공적으로 적용되었음을 확인합니다[41, 44 ]. 이것은 sulfonic 그룹에 속하는 FTIR 투과율 스펙트럼에서 새로운 피크의 존재와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XPS 분석을 통해 GO 시트에서도 설폰기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SGO는 응집이 없는 다층 구조의 GO와 달랐다. 적용된 수정 방법은 계층화되고 다시 쌓인 구조의 형성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SGO는 유연성을 보여주었습니다. EDX(Energy Dispersive X-ray) 결과는 SGO 시트에 1.76wt%의 황 원소가 존재함을 나타냅니다(그림 3d).

SA 및 SA/SGO 생체막의 표면 이미지와 단면은 그림 4에 나와 있습니다. 그림 4a–c는 표면 이미지이고 그림 4d–f는 SGO 함량이 다른 멤브레인의 단면 이미지입니다. 낮은 확대 및 높은 확대 모두 SGO 시트가 전체 폴리머 매트릭스에 균질하게 완전히 분산되고 분자간 상호 작용에 의해 유도됨을 보여줍니다. SGO의 sulfonic acid 그룹과 SA/SGO 멤브레인의 극성 그룹(-O-, C =O) 사이에 수소 결합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45]. SGO는 메탄올 분자에 대한 장벽으로 기능하기 위해 고분자 매트릭스에 배치됩니다. SA/SGO6의 이미지는 전체 알긴산 나트륨 폴리머 매트릭스에 완전히 퍼졌을 때 더 좋아 보입니다. 그림 5는 SGO 나노시트가 알긴산 나트륨 고분자 매트릭스에 잘 분포된 합성물에 대한 TEM 이미지입니다. 알긴산나트륨은 나노구체 입자 구조에 존재하는데, 이는 Marrella et al.에 의해 보고된 이전 연구와 유사합니다. [46].

<사진>

a에 대한 표면 형태 및 단면의 FESEM 이미지 , d 알긴산 나트륨, b , e SA/SGO4 및 c , f SA/SGO6 생체막

<그림>

알긴산나트륨 폴리머 매트릭스에 분포된 SGO 나노시트의 TEM 이미지

SGO와 알지네이트 폴리머 매트릭스 사이의 수소 결합 상호작용의 존재는 FTIR 분석에 의해 표시됩니다. 알지네이트 및 SGO 알지네이트 멤브레인에 대한 FTIR 결과는 그림 6에 나와 있습니다. 수소 결합 상호작용에 따라 수소 결합 사이트 스펙트럼에 약간의 이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알지네이트 막의 O-H 그룹 밴드는 1413 및 3440 cm -1 에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밴드는 1406 및 3404cm −1 로 이동했습니다. SA/SGO 막에서 SGO의 극성 그룹과 알지네이트의 OH 그룹 사이의 수소 결합으로 인해 [45]. 알지네이트 막의 C=O 그룹 밴드도 1082cm −1 에서 1046으로 이동했습니다. . 설폰 그룹의 위치(–SO3 H) 알지네이트 막의 밴드도 1284에서 1277cm로 변경됨 −1 . 따라서 결과는 SGO와 알지네이트 사이에 수소 결합이 있음을 보여줍니다[47]. 폴리머 매트릭스 전체에 걸쳐 SGO 입자의 완전한 분산은 멤브레인의 모든 방향에서 양성자 전도 경로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SEM 내부 구조와 FTIR 스펙트럼에 따르면 SA/SGO 멤브레인의 특성이 원래의 알지네이트 멤브레인보다 우수한 것으로 가정되었습니다.

<그림>

SA 및 SA/SGO 멤브레인의 FTIR 스펙트럼

열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

그림 7은 SGO 함량이 다른 모든 SA/SGO 생체막에 대한 TGA 분석을 비교한 것입니다. 첫 번째 단계의 손실은 증발 과정으로 알려진 물 분자의 방출로 인해 200°C 미만에서 발생했습니다. 일반적으로 GO의 열분해는 산소 불안정성 그룹의 분해로 인해 약 200°C의 온도인 반면, 알지네이트 폴리머의 경우 첫 번째 단계의 열분해는 178°C에서 발생합니다[48, 49]. SA/SGO 생체막은 198°C의 더 높은 온도에서 큰 손실을 보입니다. 이 증가된 온도는 알긴산나트륨과 SGO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SA/SGO 생체막의 내열성을 증가시킵니다. 이것은 SGO의 존재가 알긴산 나트륨 매트릭스와 술폰화된 산화 그래핀 나노시트 사이의 정전기 상호작용 또는 수소 결합과 같은 유리한 계면 상호작용으로 인해 생체막의 열 안정성을 증가시켜 이 막을 DMFC 적용에 적합하게 만든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체중 감소의 두 번째 단계는 나트륨 알지네이트 측쇄의 분해로 인해 250°C의 온도에서 발생합니다. 세 번째 단계(> 400 °C)는 폴리머 백본의 분해 과정을 포함합니다[50].

<그림>

다양한 SGO wt%를 갖는 SA/SGO 생체막에 대한 TGA 곡선

그림 8은 SGO의 중량%가 변화함에 따라 멤브레인의 인장 응력 및 파단 신율을 나타냅니다. SGO의 0.02에서 0.13wt%로 인장 응력이 증가했다가 0.17wt%에서 약간 감소했습니다. 이것은 GO 나노시트의 반 데르 발스 힘과 관련될 수 있는 산화 그래핀 시트의 재적층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핀 옥사이드 나노시트의 대부분은 미끄러짐을 유발하고 멤브레인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는 데 있어서 그래핀 옥사이드의 효과를 감소시킵니다. 이전 연구에서 나피온 및 기타 생체막의 인장 응력은 표 1에 나열되어 있습니다[51,52,53,54,55]. 나피온 멤브레인은 SA/SGO6 생체막에 비해 인장 응력이 더 높습니다. 그러나 생체막 범주 간에는 비교할 수 있습니다. 산화 그래핀 자체는 1100GPa의 탄성 계수와 125GPa의 고유 강도로 매우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이 SGO가 알지네이트 막의 기계적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주된 이유입니다[45].

<그림>

다양한 SGO wt%를 갖는 생체막의 인장 응력 및 파단 신율

더욱이, SGO와 순수한 알지네이트 매트릭스 중합체 사이에 수소 결합이 형성되어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수소 결합이 더 많이 형성되면 계면 접착력이 강해지며 결과적으로 멤브레인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됩니다. 파단 신율 패턴은 인장 응력 패턴과 대조됩니다. 인장 응력이 낮을수록 파단 연신율이 높아집니다. 파단 신율은 막 필름이 유연성이라고도 하는 최대 지점까지 늘어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표 1은 파단 신율 측면에서 이전 연구의 여러 멤브레인을 현재 연구의 멤브레인과 비교합니다[51,52,53,54,55,56]. 인장 응력과 파단 신율 사이의 다른 패턴은 논리적입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멤브레인에 SGO가 존재하면 수소 결합으로 인한 계면 결합이 증가하여 멤브레인의 유연성이 감소합니다.

막의 액체 흡수 및 팽창 비율

물은 흡착된 물이 양성자 수송을 용이하게 하는 양성자 전도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양성자 교환막의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39]. 그림 9는 다양한 SGO wt% 값으로 SA/SGO 멤브레인의 물 흡수 및 메탄올 흡수 결과를 보여줍니다. 제시된 바와 같이, SA/SGO 멤브레인은 순수한 알지네이트와 비교하여 멤브레인에서 설폰화된 GO(최저 WU - SA/SGO6에 의해 57.9%)의 함량이 다르므로 수분 흡수 용량이 더 낮습니다. SGO의 양이 증가하면 멤브레인의 충전제로서의 차단 능력으로 인해 수분 흡수가 감소합니다[5]. SGO의 첨가는 이온 경로의 수축을 촉진하여 물과 메탄올의 이동을 방해합니다. SGO 함량이 높을수록 멤브레인의 수분 흡수 장벽이 더 강해집니다. SGO 충전제와 알긴산 나트륨 중합체 사이의 수소 결합은 막 복합재의 계면 접착력을 강화하여 수분 흡수 용량을 감소시킵니다[19]. SA/SGO 멤브레인의 수소 결합 형성은 GO의 –OH 그룹, SA 사슬의 –O- 및 C=O 그룹, 설포네이트 그룹(–SO3 아) [3, 19]. 물 흡수 결과의 패턴과 유사하게, SA/SGO 막의 메탄올 흡수도 막에서 SGO wt%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The presence of the same trend shows that there was good networking and bonding between SGO and the alginate polymer, which impeded fuel crossing.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the presence of graphene oxide-based materials lowered the water uptake capacity of the SA membrane and maintained its mechanical strength. The swelling ratio decreased from 106% to 61.12% with increasing SGO wt% in the alginate polymer matrix (Fig. 9) due to the blocking effect [10]. The strong hydrogen bonding also diminished the pathways for absorbance of the ionic group into the polymer [32].

Liquid uptake and swelling ratio of SA/SGO membrane with wt.% of SGO

IEC, Proton Conductivity, Methanol Permeability, and Selectivity

Ion exchange capacity (IEC) calculation is important since it is responsible for measuring the number of milliequivalents ions in 1 g of the prepared membranes and is an indicator for proton conductivity in DMFCs.

Table 2 shows the IEC values of the membranes. A higher IEC value is achieved by the SA/SGO membrane containing a higher wt% of SGO. This is due to the function of sulfonic acid groups in the SGO nanosheets. An increment in the IEC value increases the proton conductivity value of the SA/SGO biomembrane. The proton conductivities of the SA/SGO membrane versus temperature are presented in Fig. 10. Increasing the temperature leads to the enhancement of proton conductivity. The SA/SGO membrane features a consistently increasing pattern in proton conductivity as the SGO particle amount increases, with a maximal value of 13.2 mS cm −1 at 0.2 wt% of SGO loading at temperature of 30 °C. The ln σ vs. 1000/T plot is also shown in Fig. 11. Assuming that the conductivity follows an Arrhenius behavior, the ion transport activation energy E a of the SA/SGO membranes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Arrhenius equation:

$$ {E}_a=-b\ x\ R $$

where b is the slope of the line regression of ln σ (S/cm) vs. 1000/T (K −1 ) plots, and R is the gas constant (8.314472 JK −1  mol −1 ). The ion transport activation energy of the SA/SGO6 composite membrane is 8.17 kJ mol −1 , which is slightly greater than the E a of Nafion® 115 (6.00 kJ mol −1 ) [57] and lower than that of Nafion 117 (12 kJ mol −1 ) [58].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hydrophilic properties of the sodium alginate matrix, which provide high water content, and the introduction of SGO still allows this property to remain due to the hydrophilic properties of oxygenated functional groups. The abundant water forms a continuous transferring channel and makes the movement of ion easy.

Proton conductivity of SA/SGO biomembranes with various content of SGO at different temperature

ln σ vs. 1000/T plot for the cross-linked QAPVA membranes, the lines indicate the linear regression

Figure 13a presents the suggested proton mobility mechanism in SA/SGO plasticized with glycerol in which high synchronization exists between H + and electron lone pairs belonging to the oxygen atoms carrier in glycerol and the hydrophilic sulfonic acid groups in SGO nanosheets. We believe that the proton transport applies both Grotthus and vehicle mechanisms, strengthened by the SGO particles.

The SA/SGO biomembranes show very low methanol permeability, and the lowest was achieved by SA/SGO6 (1.535 × 10 −7  cm 2  s −1 ), as listed in Table 2. The low methanol permeability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membrane microstructure between sodium alginate, SGO, and glycerol plasticizer. The introduced SGO particles serving as fillers in the SA polymer create substantial obstacles to the linked hydrophilic passages. The SGO filler blocks the migration of methanol passing through the membrane, and this is known as the blocking effect, which reduces the methanol permeability. The methanol permeability also decreases because of the interfacial interaction between the SGO and SA biopolymer [41]. The methanol permeability of the SA/SGO6 bio membrane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is shown in Fig. 12. As seen, the methanol permeability increases at a higher temperature, which can be related to the structure changes of the bio membrane. The higher temperature provides more heat, which can shake the membrane chains and molecules, thus leading to more free volume, which consequently reduces the methanol blocking effect. Less resistance causes easier movement of methanol diffusion [59]. Mu et al. [60] reported the decrease in methanol crossover in the presence of Au nanoparticles self-assembled on a Nafion membrane, which consequently improved the overall performance.

Methanol permeability of membrane SA/SGO6 vs. temperature

The interfacial interaction between SGO filler, glycerol, and SA polymer confines the hydrophilic passage formation in the membrane, and this wide hydrophilic passage is a significant factor in methanol migration [19]. Thus, the presence of SGO facilitates methanol permeability reduction [6]. The proposed mechanism of methanol rejection is presented in Fig. 13b.

Suggested mechanism of a proton mobility and b methanol rejection

It was noticed that a higher selectivity value resulted in a higher DMFC capability. The selectivity values of the SA/SGO can be observed in Table 2, which compares the selectivity among SA and SA/SGO biomembranes as well as Nafion 117 membranes from previous work. The presence of SGO enhanced the selectivity of the SA/SGO polymer membrane (8.555 × 10 4  S s cm −3 for 0.2 wt% SGO loading),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SA (3.7678 × 10 4  S s cm −3 ) and fortunately also higher than that of Nafion 117 (7.99 × 10 4  S s cm −3 ) [38], 4.05 × 10 4  S s cm −3 [61], and 4.22 × 10 4  S s cm −3 [62], in which the low methanol permeability is the main factor to be considered.

Single Cell

Single-Cell Performance Evaluation

Figure 14 indicates the cell polarization result for pure alginate, SA/SGO6 composite biomembrane and Nafion 117 under ambient temperature, 4 M methanol concentration and passive mode condition. The SA/SGO6 composite biomembrane was applied due to the high selectivity factor and obviously had a higher open-circuit voltage (0.63 V), which can be related to the low methanol permeability equaling to that the sodium alginate biomembrane. The OCV of Nafion 117 (0.52 V) in the current study is lower than SA/SGO and sodium alginate, which might be due its higher methanol permeability. The crossing of methanol through the membrane leads to the reduction in the OCV value. The higher OCV of SA/SGO and alginate membrane is the big indicator that synthesized membrane has lower methanol permeability compared to Nafion, which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successfully achieved. The improvement in the power density of SA/SGO6 is due to the sulfonic acid group that functions as a proton transferral pathway as well as a methanol inhibitor, thus achieving 5.9 mW cm −2 compared to the sodium alginate, which achieved only 2.83 mW cm −2 . However, Nafion 117 achieved a higher power density, which was 6.62 mW cm −2 . Thiam et al. [38] reported the performance of Nafion 117 membrane under the same condition with a power density of 7.95 mW cm −2 . No doubt, Nafion achieves a better performance in DMFC application due to the excellent proton conduction. However, the power density performance between Nafion 117 and SA/SGO biomembranes does not show a big difference quantitatively. Hence, SA/SGO can be an alternative membrane for DMFC in the future. However, the properties of the membrane still need to be enhanced, and higher wt% of SGO filler can probably be used to obtain a higher power density.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only one previous work by Pasini Cabello et al. that has examined the single-cell performance in DMFC application using an alginate biopolymer-based membrane [18]. They tested an alginate/carrageenan membrane at temperatures of 50, 70, and 90 °C in 2 M methanol concentration in the active mode, which achieved maximum power densities of 10.4, 13.9, and 17.3 mW/m 2 , 각각. The active mode has an advantage due to the continuous flow of the methanol feed into the cell that allows the reaction to occur continuously and thus is capable of achieving a higher power density. The higher power density could be achieved at a higher temperature due to the higher number of activated protons. Nevertheless, this work is an indicator that biopolymer-based membrane has a big potential that can be explored and applied in DMFC systems.

Single-cell performance test for sodium alginate, SA/SGO6, and Nafion 117 (4 M methanol and 25 °C temperature, passive mode)

Conclusions

In conclusion, a membrane with low methanol permeability, high proton conductivity, and high selectivity was successfully prepared through the simple technique known as the blending method. The presence of sulfonated graphene oxide enhanced the properties of the alginate-based polymer membrane in terms of proton conductivity and methanol permeability. The sulfonate groups facilitated the networking between the alginate polymer and the graphene oxide filler. The blocking effect of SGO also reduced the methanol crossover in the membrane. The primary weaknesses of the alginate polymer, which are its mechanical properties of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were also improved by the addition of SGO into the polymer matrix. The presence of SGO improved the SA/SGO membrane to a high level comparable to commercial membranes.

약어

BC:

Bacterial cellulose

CNC:

Cellulose nanocrystal

CNFs:

Cellulose nanofibers

CNT:

Carbon nanotube

DI:

Deionized

DLFC:

Direct liquid fuel cell

DMFC:

Direct methanol fuel cell

EDX:

Energy dispersive X-ray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GO:

Graphene oxide

GOS:

Graphene oxide sheet

HRTEM: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EC:

Ion exchange capacity

L :

Dis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OCV:

Open circuit voltage

P:

Membrane diffusion permeability for methanol

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s:

Proton exchange membrane

PMA:

Phospho molybdic acid

PSSA:

Poly-styrene sulfonic acid

PVA:

Poly vinyl alcohol

PVP:

Poly (vinyl pyrrolidone)

R :

Resistance of the membrane

RGO:

Reduced graphene oxide

SA:

Sodium alginate

SA/SGO:

Sodium alginate/sulfonated graphene oxide membrane

SGO:

Sulfonated graphene oxide

SHNT:

Sulfonated halloysite nanotube

SPSF:

Sulfonated polysulfone

SW%:

Swelling ratio percentage

T :

Membrane thickness

TGA: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W :

Width of the membrane

WU%:

Water uptake percentage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나노물질

  1. 확성기 및 이어폰의 그래핀
  2. 향상된 약물 전달을 위한 나노섬유 및 필라멘트
  3. 티타네이트 나노튜브 장식 산화그래핀 나노복합체:준비, 난연성 및 광분해
  4. 시험관 및 생체 내에서 그래핀 및 산화 그래핀의 생물학적 안전성 및 항균 능력
  5. 전기방사법을 통한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용 새로운 복합 Tio2 탄소 나노섬유 양극 촉매 지지체의 제작 및 특성화
  6. 증발 유도 자체 조립 및 향상된 가스 감지 특성을 통한 웜홀 유사 메조포러스 주석 산화물의 손쉬운 합성
  7. 크기, 변형, 결함 및 도핑을 통한 그래핀 일함수의 설계 및 조정:제1원리 이론 연구
  8. 슈퍼커패시터 애플리케이션용 전극으로서의 그래핀/WO3 및 그래핀/CeOx 구조의 평가
  9. 입자 크기와 감도를 크게 줄이기 위한 나노스케일 CL-20/그래핀 산화물의 원스텝 볼 밀링 준비
  10. 구형 및 샌드위치 구조 그래핀/Sio2 지지체를 통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그래핀 나노복합체 인시츄 중합의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