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제조
산업용 사물 인터넷 | 산업자재 | 장비 유지 보수 및 수리 | 산업 프로그래밍 |
home  MfgRobots >> 산업 제조 >  >> Industrial materials >> 나노물질

Tetrakis(에틸메틸아미노) 및 Tetrakis(디메틸아미노) 전구체를 이용한 원자층 증착 Hf0.5Zr0.5O2 박막의 강유전체 성능 비교 연구

초록

증착된 원자층의 화학적, 물리적, 전기적 특성 Hf0.5 Zr0.5 O2 테트라키스(에틸메틸아미노)(TEMA) 및 테트라키스(디메틸아미노)(TDMA) 전구체를 사용한 박막을 비교합니다. 금속-유기 전구체의 리간드는 잔류 C 농도, 입자 크기 및 결과적인 강유전체 특성에 강한 영향을 미칩니다. Hf0.5 입금 Zr0.5 O2 TDMA 전구체가 있는 필름은 C 농도가 낮아지고 입자 크기가 약간 커집니다. 이러한 발견은 웨이크업 효과를 완화하는 더 많은 강유전성 위상 지배 필름을 성장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TDMA-Hf0.5의 웨이크업 테스트에서 Zr0.5 O2 2.8 MV/cm 사이클링 필드를 갖는 필름, 불리한 기상 효과는 10 5 까지 잘 억제되었습니다. ~40 μC/cm 2 의 상당히 높은 이중 잔류 편광 값을 갖는 사이클 . 이 영화는 또한 최대 10 9 까지 안정적인 전환을 보여주었습니다. 2.5 MV/cm 사이클링 필드로 웨이크-업 효과를 포함하지 않고 전형적인 피로 거동을 갖는 사이클입니다.

소개

원자층 증착 Hf1-x Zrx O2 (HZO, x ~ 0.5) 박막은 메모리 및 논리 응용 프로그램용 반도체 장치 분야에서 초박형 강유전체(FE) 층으로 주요 경쟁자였습니다. 이는 형석 구조의 FE HZO 필름이 10 nm 이하로 축소될 수 있고 성숙 원자층 증착(ALD) 기술을 활용하여 3차원 나노구조에 균일하게 증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존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강유전체에서 거의 달성할 수 없었던 기존의 TiN 전극[1, 2]과 호환됩니다. 지난 몇 년 동안 ALD 기반 박막을 사용하여 HZO 필름 처리 및 소자 제작이 크게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해결되지 않은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형석 구조의 강유전체의 신뢰성은 불확실하다. 현재 각성 효과와 제한된 지구력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여겨진다[3]. 일반적으로 분극-전기장(PE-E) 곡선은 깨끗한 상태에서 꼬집어 나타나며, 이는 보자력장(Ec )는 공간적으로 균일하지 않으며 여러 FE 도메인이 고정되어 있습니다[4]. Ec보다 높은 전계 강도로 전계 순환 후 , 더 대칭적이고 정사각형과 같은 PE 곡선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웨이크업 효과라고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깨우기 프로세스가 10 4 동안 진행됩니다. –10 5 ca의 전형적인 지구력 주기인 주기. 플래시 메모리로 인해 장치 및 시스템 작동이 복잡해집니다[5]. 제한된 수의 지구력은 작업 기억으로 사용하려는 경우 또 다른 중요한 문제입니다(지구력> 10 15 필수). 금속-강유전체-금속 커패시터 구조의 경우 보고된 최대 내구성은 10 11 미만입니다. [6], 그리고 강유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금속-강유전-반도체 게이트 스택의 경우 내구성은 최대 10 5 으로 제한됩니다. 배 [3, 7].

각성 효과의 다양한 기원이 문헌에서 제안되었습니다. 제안된 메커니즘은 불순물, 산소 결손 및 깨끗한 상태의 반도체 채널 또는 전극에 인접한 계면에서 비강유전성 상(입방체 또는 정방정계 상)의 존재와 같은 결함에 의한 도메인 경계의 고정입니다[5, 8 ,9,10]. 반복적인 편광 스위칭 동안 피닝 사이트 농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전기장 순환은 계면 정방정계 또는 입방정계 상을 FE 사방정계 상으로 변환합니다[5]. 이 연구는 주로 HZO 필름의 전기적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ALD 공정에서 대체 Hf 및 Zr 전구체를 채택하여 웨이크업 효과를 제거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는 불순물 농도, 특히 탄소 불순물을 낮출 수 있습니다.

금속-유기 전구체를 사용하는 ALD 공정의 경우, 유기 리간드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C, N, H와 같은 잔류 불순물이 성장막에 유도되는 것은 거의 불가피하다. Kim et al. [11, 12]는 HfO2의 증착 온도를 변경함으로써 및 HZO 필름, 다형성 및 결과적인 전기적 특성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Auger 전자 분광법(AES)에서 ALD HZO 박막의 C 농도는 증착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했으며 이는 불완전한 리간드 교환 반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11, 12]. 또한 측방향 입자직경은 C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러한 형석 구조 필름에서 안정한 단사정상보다 불안정하거나 준안정한 상(정방정계, 사방정계 및 입방정)의 형성은 결정립 크기 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13,14,15,16]. 따라서 불순물 농도를 제어하는 ​​것은 원하는 상(FE 사방정계)을 달성하고 필름의 전기적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FE HZO 박막의 ALD에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금속-유기 Hf 및 Zr 전구체는 테트라키스[에틸메틸아미노]하프늄(TEMAH) 및 테트라키스[에틸메틸아미노]지르코늄(TEMAZ)[11, 12, 17]입니다. 이들 전구체는 메틸기와 에틸기 사이의 전하 이동을 통한 손쉬운 리간드 분해를 목적으로 금속-유기 화학 기상 증착을 위해 개발되었습니다[18,19,20].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열 유도 리간드 분해 및 유기 리간드(단편)의 후속 제거는 용이한 ALD 반응을 방해하여 필름에 불순물(C, H 및 N) 혼입을 초래합니다[11, 17, 18, 19,20].

대조적으로, FE HZO 필름[21,22,23,24]을 증착하는데도 사용된 테트라키스[디메틸아미노]하프늄(TDMAH) 및 테트라키스[디메틸아미노]지르코늄(TDMAZ) 전구체는 리간드. 따라서 열분해의 완전한 억제는 보장할 수 없지만 이러한 역효과는 심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 전구체를 사용하여 ALD 공정으로 성장한 HZO 필름을 비교 분석했습니다. TEMAH/TEMAZ 및 TDMAH/TDMAZ. 후자의 공정은 필름의 C 농도를 낮추어 HZO 필름의 전기적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최적화된 스위칭 사이클링 조건에서 웨이크업 효과는 거의 달성되지 않았지만 스위칭 가능한 분극은 ~ 40 μC/cm 2 로 유지되었습니다. .

방법/실험

Hf0.5의 준비 Zr0.5 O2 박막

이 연구는 금속-유기 전구체 유형이 원자층 증착 Hf0.5의 구조 및 전기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Zr0.5 O2 박막. HZO 박막은 TDMAH(또는 TEMAH), TDMAZ(또는 TEMAZ) 및 오존(190 g/m 3 )이 있는 4인치 직경의 열 ALD 반응기를 사용하여 증착되었습니다. 농도)를 각각 Hf 전구체, Zr 전구체 및 산소 공급원으로 사용합니다. TEMAH/TEMAZ 전구체를 사용한 최적화된 ALD 공정은 저자의 이전 연구[5, 9, 11,12,13,14,15,16]와 같습니다. TDMAH/TDMAZ 전구체가 있는 HZO 박막은 260°C의 기판 온도에서 열 ALD에 의해 준비되었습니다. 구성이 가장 큰 잔류 분극(Pr ) 이전 연구의 값[17, 25, 26]. TDMAH/TDMAZ 전구체가 있는 HZO 박막은 TiN/Ti/SiO2에 Hf 및 Zr 전구체의 1:1 ALD 사이클 비율로 증착되었습니다. /Si 기판. 하나의 ALD 사이클은 소스 공급(2 s) - 소스 퍼지(20 s) - 오존 공급(3 s) - 오존 퍼지(10 s) 프로세스로 구성되었습니다. HZO 박막의 성장 속도는 사이클당 0.13 nm이었고 10nm 두께의 HZO 박막은 실험을 위해 TDMAH/TDMAZ 전구체에 의해 준비되었습니다. ALD 챔버의 부피에 따라 최적의 조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표 1은 TEMA와 TDMA 소스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한 것입니다. TiN(50 nm) 및 Ti(5 nm) 필름은 상용 스퍼터링 도구(Endura, Applied Materials)를 사용하여 열 산화된 p형 Si 기판에 5 kW의 스퍼터링 전력으로 스퍼터링을 사용하여 증착되었습니다. 증착된 HZO 필름은 증착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만 결정성 또는 비정질이므로 결정화를 위한 후속 어닐링은 N2에서 450°C에서 급속 열처리(RTP)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분위기.

Hf0.5의 화학적/물리적 특성 특성화 Zr0.5 O2 박막

증착된 필름의 결정 구조는 입사각이 0.5°인 스침 입사 기하학 내에서 X선 ​​회절계(XRD, X'pert pro, Panalytical)를 사용하여 분석되었습니다. 시료의 미세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SEM, S-4800, Hitachi)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입도분포는 Gwyddion 소프트웨어[29]를 이용하여 watershed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증착된 HZO 필름의 화학 조성은 X선 형광(XRF, Quant'X, Thermo SCIENTIFIC)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C와 같은 불순물을 포함한 화학 조성의 심층적 변화는 time-of-time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습니다. 비행 오제 전자 분광법(AES, PHI-700, ULVAC-PHI).

Hf0.5의 전기적 특성 특성화 Zr0.5 O2 박막

HZO 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부 TiN 전극을 92.6%-Ar/7.4%-N2 조건에서 100 W의 전력으로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반응성 증착했습니다. 대기. TiN 상부 전극은 직경이 300 μm인 원형 구멍이 있는 섀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패턴화되었습니다. PE 특성은 1 kHz의 측정 주파수에서 강유전체 테스터(TF Analyzer 2000, Aixacct syste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내구 시험은 펄스 발생기(81110A, Agilent)와 강유전성 시험기(TF 분석기 2000, Aixacct 시스템)에서 생성된 높이와 너비가 각각 2.8 ~ 3.8 MV/cm 및 10 μs인 직사각형 바이폴라 펄스로 수행되었습니다. 정전 용량-전압(C-V) 특성은 임피던스 분석기(4194A, Hewlett-Packard)를 사용하여 DC 바이어스와 결합된 주파수 10 kHz 및 높이 50 mV의 정현파 AC 펄스에서 측정되었습니다. HZO 필름의 유전상수는 측정된 정전용량과 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한 전극면적, 분광타원법(ESM-300, J.A. Woollam)을 사용하여 측정한 두께로부터 계산하였다. 전류밀도-전계(J-E) 특성은 1 s의 지연시간을 갖는 DC 바이어스 하에서 반도체 파라미터 분석기(4155B, Hewlett-Packar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론

그림 1a는 10nm 두께의 Hf0.5의 스침 입사 X선 회절(GIXRD) 패턴을 보여줍니다. Zr0.5 O2 TDMAH/TDMAZ(TDMA-HZO, 흑색 곡선) 및 TEMAH/TEMAZ(TEMA-HZO, 적색 곡선)를 사용하여 입사각 0.5°로 증착된 박막. 단사정계, 정방정계 및 사방정계 위상에 대한 문헌에서 가져온 참조 패턴이 하단 부분에 추가되었습니다. TDMA 및 TEMA HZO 필름의 GIXRD 패턴 모두에서 단사정상에서 회절 피크의 강도는 무시할 수 있었고 피크 모양과 강도의 눈에 띄는 차이는 식별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GIXRD에서 TDMA와 TEMA HZO 간의 결정학적 구조에 큰 차이가 실험적으로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그림>

(a) TDMAH/TDMAZ(검은색 곡선) 및 TEMAH/TEMAZ(빨간색 곡선)를 사용하여 증착된 HZO 박막의 GIXRD 패턴, 단사정계, 정방정계 및 사방정계 위상에 대한 문헌에서 가져온 참조 패턴이 하단 패널에 첨부되어 있습니다. (b) TDMA HZO 필름 및 (c)의 평면 SEM 이미지 TEMA(적색, Ref. [15]에서 재현), TDMA(검정색) HZO의 입자 크기 분포. (d) ToF(time-of-flight) Auger 전자 분광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TDMA HZO 박막의 깊이 프로파일 및 (e) HZO 필름 부분의 확대된 저농도 영역. TDMA(검은색 점선), TEMA(빨간색 점선, 참조 [12]에서 재현), HZO의 평균 C 농도가 표시됩니다.

측면 결정립 크기를 포함한 미세 구조는 HZO 박막의 FE 특성에 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입니다[13,14,15,16, 30]. 따라서,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TDMA 및 TEMA HZO 필름의 미세구조를 분석하였다. 그림 1b는 TDMA HZO 필름의 평면 SEM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다양한 선행 연구에 따르면 Thermal ALD를 사용하여 증착된 HZO 박막은 기둥형 결정립 구조를 보여 수직 결정립 크기가 막 두께만큼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1, 5, 11, 31]. 위에서 언급한 소프트웨어[29]를 사용하여 분석된 측면 결정립 크기의 분포는 가우시안 함수로 피팅되었습니다. TEMA HZO(빨간색 곡선)의 입자 크기 분포는 이전 연구[15]에서 가져왔으며 TDMA HZO(검은색 곡선)의 입자 크기 분포와 함께 그림 1c에 표시했습니다. 그림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TDMA HZO(8.5 nm)의 평균 측방향 결정립직경은 TEMA HZO(7.1 nm)보다 컸습니다. 이것은 TDMA HZO의 FE 성능이 개선된 주된 이유일 수 있습니다. 이전 보고서에 따르면 사방정계 및 정방정계 상과 같은 준안정상의 형성은 동역학적 기원에 의해 구동되며, 정방정계 및 사방정계 상이 작은 입자 크기 영역에서 선호됩니다[13, 16]. 훨씬 큰 결정립은 단사정상을 선호하고, 작은 결정립은 정방정상을 선호하며, 약간 큰 결정립은 사방정계상을 선호합니다. 회절 패턴에서 두 상(정방정계 및 사방정계 상)의 피크 위치가 거의 겹치므로 두 필름에서 주요 상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SEM 및 수반되는 입자 크기 분석은 TDMA HZO 필름이 TEMA HZO 필름에 비해 사방정계 상의 더 많은 부분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서로 다른 입자 크기는 두 필름의 C-불순물 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순물의 농도는 미세구조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HZO 박막의 강유전체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1, 12, 32]. 따라서 TDMA 및 TEMA HZO 박막의 화학 조성은 비행 시간 AES를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TDMA HZO에서 Hf, Zr, O, C, Ti 및 N과 같은 다양한 원자의 심층 농도 결과 필름은 그림 1d에서 스퍼터링 시간의 함수로 플롯되었습니다. 그림 1e는 HZO 필름 부분에서 그림 1d(빨간색 점선 상자)의 확대된 저농도 영역을 보여줍니다. TDMA HZO 필름(검은색 사각형)의 평균 C 농도는 ~ 2.4%로, TEMA HZO 필름(빨간색 삼각형)의 농도(~ 3.9%)보다 ~ 38% 작습니다. 저자의 이전 연구 [12]. N을 포함한 다른 모든 농도는 눈에 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Choet al. ALD 공정 동안 형성된 잔류 C 불순물이 결정립 성장을 지연시키고 최종 증착된 막의 입자 크기를 작게 만든다고 제안했다[32]. 강유전성 Hf0.5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관찰되었습니다. Zr0.5 O2 박막 및 순수 HfO2 Kim et al. 증착 온도가 280에서 200 °C로 감소했을 때 [11, 12]. Jung et al. HfO2의 C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방정상과 단사정상 사이의 자유 에너지 차이가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계산 시뮬레이션을 사용했습니다. , C 불순물을 포함하면 준안정 정방정계 상의 안정성이 향상됨을 시사한다[33]. Kuenneth et al. 또한 HfO2의 자유 에너지 값에 대한 C 농도의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 그러나 그들은 C 농도의 증가가 사방정계 상과 단사정상 사이의 자유 에너지 차이의 감소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34]. Kuenneth et al.의 연구에서는 C 불순물이 일반적으로 HfO2의 틈새 결함으로 알려져 있지만 치환 C 결함이 고려되었습니다. [33, 35]. 따라서 이론적 계산은 C 불순물이 정방정계와 사방정계 상 사이의 자유 에너지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실험을 통해 C 불순물의 증가가 ALD HZO 박막에서 정방정계 상 분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11, 12, 33].

TDMA HZO 필름에서 낮은 C 불순물 농도는 TDMA 및 TEMA 리간드의 다른 열 분해 특성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TEMA 리간드에서 가장 바깥쪽에 있는 탄소 원자는 열적으로 해리되기 쉽고 ALD 공정 동안 필름 표면에 남아 있는데[11, 12], 이는 TDMA 리간드의 경우가 아닐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로 C 농도와 그로 인한 미세 구조가 강유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그림 2a와 b는 TDMA HZO 및 TEMA HZO 필름을 사용하여 각각 깨끗한 상태와 피로 상태에서 10 2 전환한 상태에서 측정한 MFM 커패시터의 PE 곡선을 보여줍니다. , 10 3 , 10 4 , 및 10 5 3.8 MV/cm 높이 및 10 μs 폭 양극 직사각형 펄스를 사용하여 시간. 그림 2a 및 b(원래 상태)의 PE 곡선에서 TEMA HZO 커패시터(검은색 곡선, 그림 2b)의 PE 곡선은 TDMA HZO 커패시터(검정색 곡선, 그림 2a). 그림 2b는 TEMA HZO 커패시터의 원시 PE 곡선의 혹을 명확하게 보여주지만, 이는 TDMA HZO 커패시터의 원시 PE 곡선의 경우가 아닙니다. PE 곡선의 혹은 일반적으로 내부 전기장 및/또는 보자력장의 공간적 비균질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위칭 전류 피크의 분할에서 비롯됩니다. 그림 2c는 2Pr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피로 펄스의 함수로서 TDMA 및 TEMA HZO 커패시터의 값. 2Pr 10 5 이후의 값 깨끗한 2Pr와 비교한 전기 펄스의 시간 TDMA 및 TEMA HZO 커패시터의 값은 각각 ~ 80 및 ~ 69%입니다. 이는 TEMA HZO 필름이 TDMA HZO 필름에 비해 더 높은 웨이크업 거동을 가짐을 시사합니다.

<그림>

(a의 분극-전기장(PE) 곡선 ) TDMA HZO 및 (b ) TEMA HZO(Ref. [5]에서 재생산) 커패시터는 10 2 펄스로 원래 상태와 피로 상태에서 측정되었습니다. , 10 3 , 10 4 , 및 10 5 3.8 MV/cm 높이 및 10 μs 폭 양극 직사각형 펄스에서 시간. (c) 2Pr의 변경 사항 피로 펄스의 함수로서 TDMA(검은색) 및 TEMA(빨간색) HZO 커패시터의 값. (d의 유전 상수-전기장 곡선 ) TDMA HZO 및 (e ) TEMA HZO(Ref. [5]에서 재생산) 커패시터는 원래 상태와 피로 상태에서 측정된 상단 및 하단 TiN 전극이 있습니다. (f) TDMA(검은색) 및 TEMA(빨간색) HZO 커패시터에 대한 피로 펄스 수가 증가함에 따른 유전 상수 값의 변화

그림 2d와 e는 유전상수-전기장(εr - E) TDMA HZO 및 TEMA HZO 커패시터의 곡선은 깨끗한 상태에서 측정되었으며 피로 상태는 10 2 로 전환되었습니다. , 10 3 , 10 4 , 및 10 5 3.8 MV/cm 높이 및 10 μs 폭 양극 직사각형 펄스를 사용하여 시간. εr TDMA HZO 커패시터의 값은 모든 테스트 조건에서 TEMA HZO 커패시터의 값보다 훨씬 낮습니다. 그림 2f는 εr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TDMA 및 TEMA HZO 커패시터에 대한 피로 스위칭 주기가 증가함에 따라 값. εr 값은 평균 εr로 계산되었습니다. 그림 2d 및 e의 최고 및 최저 전기장에서 측정된 값. 그림 1a의 GIXRD 패턴에서 두 필름의 단사정 상 분율은 무시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εr의 차이는 값은 정방정계 및 사방정계 상의 상대적 비율 또는 결함 농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국부 격자 왜곡으로 평균 유전 상수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εr 정방정계상(35-40)의 값은 사방정계상(25-30)보다 높았다. 따라서 높은 εr TEMA HZO 캐패시터의 값은 TDMA HZO 캐패시터에 비해 정방정계 위상 분율이 더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피로 펄스 수가 증가함에 따라 εr TEMA HZO 및 TDMA HZO 커패시터 모두의 값은 그림 2f와 같이 감소합니다. εr 감소의 크기 10 5 동안의 가치 TDMA HZO 커패시터(26.8 ~ 25.3)에 대한 분극 스위칭 시간은 TEMA-HZO 커패시터(32.2 ~ 29.6)에 대한 것보다 ~ 42% 작습니다. 이는 그림 2c에 표시된 깨우기 동작과 일치합니다.

정방정상 분율의 차이와 결과적으로 다른 εr TDMA 및 TEMA HZO 박막의 값은 C 농도의 차이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Kim et al. [12], C 농도의 증가는 사방정계 상보다 정방정계 상의 자유 에너지를 감소시킨다(정방정계 상이 사방정계 상보다 여전히 유리함). 그 결과, C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방정상 분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TDMA HZO 필름의 C 농도는 TEMA HZO 필름의 C 농도보다 낮기 때문에 TDMA HZO 필름의 정방정계 위상 분율은 TEMA HZO 필름의 C 농도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림 1c에 표시된 입자 크기의 차이는 상대적인 결정질 상 분율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냅니다. Materlik et al.에 따르면 [30], 정방정계 상의 자유 표면 에너지(2.5 J/m 2 )보다 낮습니다(2.9 J/m 2 ). ) 사방정계 상의 자유 표면 에너지가 다양한 두께와 Zr 농도를 갖는 HZO 박막에서 실험적 관찰을 설명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Batraet al. [36]은 다양한 배향을 갖는 다양한 결정상의 자유 표면 에너지를 계산하고 정방정계 상의 자유 표면 에너지가 사방정계 및 단사정계 상의 자유 표면 에너지보다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고각 입계 에너지는 자유 표면 에너지의 대략 1/3이라는 것이 일반적으로 인정됩니다[37]. 따라서 정방정계상의 입계에너지는 사방정계상, 단사정계상과 비교하여 가장 낮아 가장 작은 입도에서 가장 안정한 상이다. 이는 TEMA HZO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평균 입자 크기가 더 큰 TDMA HZO 필름에 비해 비강유전성 정방정계 상의 더 많은 부분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는 아이디어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실험적으로 관찰된 C 농도와 입자 크기는 TDMA 및 TEMA HZO 박막의 다양한 결정 구조와 결과적인 전기적 특성을 일관되게 지원합니다.

웨이크업 효과 뒤에 있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계면 커패시턴스를 추정할 수 있는 펄스 스위칭 측정(Ci ) 전극 근처의 비강유전성 층에서 발생하는 TDMA HZO 및 TEMA HZO 커패시터에서 수행되었습니다[5]. 그림 3a와 b는 Ci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 접촉 저항(Rc ) 및 Ec TDMA HZO 및 TEMA HZO 커패시터에 대한 피로 펄스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값. 자세한 측정 방법 및 결과는 온라인 지원 정보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TEMA HZO 커패시터에 대한 데이터는 Kim et al.의 이전 연구[5]에서 가져왔습니다. 여기서 Ci 값은 전기장 순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합니다[5]. 깨끗한 상태에서 Ci (37.6 μF/cm 2 ) TDMA 커패시터의 값이 (21.1 μF/cm 2 보다 높음) ) TEMA HZO 커패시터의 ~ 5%만큼 TDMA HZO의 비강유전성 계면층의 두께가 TEMA HZO 필름의 두께보다 훨씬 얇음을 시사합니다. 반면 Ec의 차이는 TDMA 및 TEMA HZO 커패시터의 원시 상태에서 값은 13%에 불과하며, 이는 TDMA 및 TEMA HZO 커패시터의 원시 PE 특성 차이의 주요 원인이 비강유전성 계면층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임을 시사합니다. Rc 이후 값은 전기 테스트 설정에 대한 접촉 저항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다른 두 요소에 비해 중요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TDMA와 TEMA HZO 커패시터의 원시 상태에서 서로 다른 PE 특성은 Kim et al. [5]. 이전 연구에 따르면 TiN 전극 근처의 산소 결손 농도는 원시 상태의 필름 벌크 영역보다 높습니다. Hoffmann et al.에 따르면 [38], 산소 결손 농도의 증가는 사방정계 상보다 정방정계 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내구 시험에서 반복적인 분극 전환 동안, 계면 정방정계상은 산소 결손을 필름의 벌크 영역으로 확산시킴으로써 FE 사방정계 상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보였다. 인가된 장은 또한 계면 비-FE 상에서 FE 상으로의 상전이를 유도하였다. TDMA-HZO 캐패시터의 계면층의 두께는 깨끗한 상태의 TEMA-HZO 캐패시터보다 얇기 때문에 필드 사이클링 동안 웨이크업 효과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사진>

(a ) TDMA HZO 및 (b ) 계면 커패시턴스(Ci)의 TEMA HZO(Ref. [5]에서 재현) ), 접촉 저항(Rc ) 및 강제 필드(Ec ) 피로 펄스 수가 증가함에 따른 값

또한 피로 펄스의 진폭은 형석 구조의 강유전체의 각성 현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입니다[6, 8]. 따라서 2.8, 3.1, 3.5, 3.8 MV/cm의 다양한 진폭을 갖는 피로 펄스를 사용하여 TDMA HZO 커패시터의 각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림 4a, b, c는 피로 펄스 높이가 각각 2.8, 3.1 및 3.5 MV/cm인 기상 테스트 중에 측정된 PE 곡선을 보여줍니다. 2Pr의 변경 사항 웨이크업 테스트 동안의 결과는 그림 4d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그림 2a의 Wake-up 시험 결과와 유사하게 PE 측정은 3.8 MV/cm의 측정 전기장에서 주어진 자기장 진폭으로 일정 횟수의 wake-up 사이클 후에 수행되었다. P–E 히스테리시스의 변화는 그림 4a–c와 같이 피로 펄스의 진폭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합니다. 그림 4d는 2Pr의 변경 사항을 요약한 것입니다. 2.8, 3.1, 3.5 및 3.8 MV/cm 진폭 피로 펄스를 사용한 내구성 테스트 중 값. Fig. 4d에서 볼 수 있듯이, 2Pr의 크기는 10 5 이후 증가 필드 사이클링의 시간은 0.41, 5.18, 9.93 및 9.94 μC/cm 2 였습니다. 각각 ~ 1, ~ 13, ~ 26 및 ~ 24% 변화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피로장 진폭에 대해. 이 결과는 2.8 MV/cm 진폭의 피로 펄스가 적용될 때 웨이크업 효과가 무시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상당히 높은 2Pr 값(~ 40 μC/cm 2 ) 여전히 달성할 수 있습니다.

<그림>

피로 펄스 높이(a ) 2.8, (b ) 3.1 및 (c ) 3.5 MV/cm. (d) 2Pr의 변경 사항 2.8, 3.1, 3.5 및 3.8 MV/cm 높은 피로 펄스의 내구성 테스트 중 값

웨이크업 효과는 주로 계면층에서 산소 결손의 드리프트 및 결과적으로 정방정계 상에서 사방정계 상으로의 상전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9, 10]. 산소 결손의 드리프트는 피로 펄스의 진폭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아야 하며 적절하게 낮은 피로 시험 필드 진폭(이 경우 2.8 MV/cm)은 이러한 역효과를 크게 완화할 수 있습니다. 달성 가능한 최대 2Pr 값이 ~ 51 μC/cm 2 에서 감소했습니다. (3.8 MV/cm에서) ~ 40 μC/cm 2 (2.8 MV/cm에서), ~ 40 μC/cm 2 강유전성 메모리 장치에 대해 여전히 합리적으로 높은 가치입니다. TEMA HZO 필름의 경우 기상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유사한 전략을 적용할 수 있지만 초기에는 낮은 2Pr 값(~ 30 μC/cm 2 ) 이러한 방법의 잠재적인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C 농도의 영향은 최대 10 9 의 내구성 테스트를 통해 더욱 명확해졌습니다. Pr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림 5a 및 b와 같이 사이클 TEMA 및 TDMA HZO 필름에 대해 각각 2.5 및 3.0 MV/cm의 필드 진폭에서. 두 경우 모두 Pr 값은 사이클링 필드와 동일한 강도의 최대 전기장이 있는 PE 루프에 의해 추정되었으므로 추정된 Pr 값은 일반적으로 3.8 MV/cm로 PE 테스트를 수행한 그림 4의 값보다 작습니다. Fig. 4의 PE 시험에 대한 최대 자기장(3.8 MV/cm)을 내구시험에 활용했을 때, 필름이 조기에 파괴되어 최대 사이클 수까지 내구시험이 금지되었다. 두 영화는 Pr 대 사이클 동작:TEMA HZO 필름이 Pr을 계속 증가시켰습니다. TDMA HZO 필름의 경우에는 그 경향이 훨씬 더 낮았다. The TEMA HZO film showed unsteady Pr changes before break down at ~ 10 7 and ~ 10 9 cycles using 3.0 and 2.5 MV/cm field cycling,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TDMA HZO film showed no indication of breakdown up to ~ 10 7 and ~ 10 9 cycles at 3.0 MV/cm and 2.5 MV/cm field cycling, and sudden breakdown was observed. The Pr value decreased slightly after ~ 10 7 under the cycling field strength of 2.5 MV/cm, which corresponds to the genuine fatigue behavior. Similar decay in the Pr performance with the switching cycles has been extensively reported for conventional perovskite ferroelectrics, which usually ascribed to the domain wall pinning by the increasing defect density [40, 41].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HZO-based ferroelectric thin films, such genuine fatigue behaviors have hardly been observed due to the involvement of significant wake-up and early breakdown, which was also the case in Fig. 5a. The data shown in Fig. 5b reveals that the HZO film may also suffer from the fatigue effect, known in the perovskite ferroelectric film,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ake-up and early breakdown are appropriately addressed.

The results of endurance test of (a ) TEMA HZO (reproduced from Ref. 39) and (b ) TDMA HZO with the electric field cycling and pulse field amplitude of 2.5 and 3.0 MV/cm. The frequency of the rectangular double pulse for the endurance test was fixed at 100 kHz. (c) The current density–electric field curves of TDMA HZO (black) and TEMA HZO (red; reproduced from Ref. [39])

Figure 5c shows the comparison in the leakage current density performance of the two types of films. Due to the lower C concentration, TDMA HZO film had a lower leakage current than that of the TEMA HZO film at field strength <~ 1.5 MV/cm, where the trap-assisted tunneling may dominate. As a result of the leakage current improvement in TDMA HZO, the film did not show the breakdown up to 10 9 cycles, with relatively low field strength of 2.5 MV/cm.

However, in the higher field strength region, the difference becomes diminished, which may indicate that the high-field leakage current is more dominated by the interface Schottky barrier property, and such barrier property was less sensitive to the C concentration. Further research will be performed to more precisely identify the leakage current mechanism in subsequent work. The similar leakage currents in the high field region coincide with th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witching cycles before the breakdown at 3.0 MV/cm, shown in Fig. 5a and b.

결론

In conclusion, this work examined the influence of types of metal-organic precursors on the structure and electrical performances of the atomic layer-deposited Hf0.5 Zr0.5 O2 thin films. The adopted Hf and Zr precursors have either TEMA or TDMA ligands, where the former is more prone to the thermal decomposition compared to the latter. The ALD process using the precursors with TDMA ligands resulted in a lower C impurity concentration (~2.4 atomic % vs. ~3.9 atomic %) in the HZO film, which induced a slightly larger grain size (~8.5 nm vs. ~7.1 nm). As the slightly larger grain size prefers to have the ferroelectric orthorhombic phase rather than the non-ferroelectric tetragonal phase, the TDMA HZO film outperformed the TEMA HZO film, especially for the wake-up performance. When the wake-up field cycle was 2.8 MV/cm, the TDMA HZO film showed almost no wake-up effect, while a high 2Pr value of ~40 μC/cm 2 could be achieved. This is significant merit over the severely waking-up property of the TEMA HZO film. The TDMA HZO film also contained a lower portion of the interfacial non-ferroelectric phase with the TiN electrodes, compared with the TEMA HZO film. Due to the lower C concentration, the TDMA HZO film showed a lower leakage current in the low field region (<~1.5 MV/cm), but the high-field leakage current behaviors were similar. As a result, the number of switching cycles before breakdown was similar when the cycling field was as high as 3.0 MV/cm (~10 7 cycles), but it could be extended over 10 9 cycles when the cycling field was lower (2.5 MV/cm) for the case of the TDMA HZO film. The TDMA HZO film revealed that the typical fatigue behavior, i.e., decreasing Pr value with the increasing switching cycles, could be observed after ~ 10 7  cycles at 2.5 MV/cm, which might be ascribed to the domain wall pinning by the accumulated defects, as for the conventional perovskite ferroelectric films.

데이터 및 자료의 가용성

The datasets supporting the conclusions of this article are included within the article and its Additional file 1.

약어

TEMA:

Tetrakis(ethylmethylamino)

TDMA:

Tetrakis(dimethylamino)

TEMAH:

Tetrakis[ethylmethylamino]hafnium

TEMAZ:

Tetrakis[ethylmethylamino]zirconium

TDMAH:

Tetrakis[dimethylamino]hafnium

TEMAZ:

Tetrakis[dimethylamino]zirconium

TDMA HZO:

Hf0.5 Zr0.5 O2 thin films deposited using TDMAH/TDMAZ

TEMA HZO:

Hf0.5 Zr0.5 O2 thin films deposited using TEMAH/TEMAZ

ALD:

원자층 증착

AES:

Auger electron spectroscopy

RTP:

Rapid thermal process

XRD:

X선 회절계

GIXRD:

스침 입사 X선 회절

SEM:

주사전자현미경

HZO:

Hf1-x Zrx O2 , x~0.5

FE:

Ferroelectric

Pr :

Remanent polarization

Ec :

강제 필드

P–E:

Polarization–electric field

C–V:

Capacitance–voltage

J–E:

Current density–electric field

Ci :

Interfacial capacitance

Rc :

Contact resistance


나노물질

  1. 적층형 탄소 나노섬유의 원자 및 전자 구조 공개
  2. 원자층 증착 및 열수 성장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 폴리아미드 6-ZnO 계층적 나노섬유
  3. 보로펜의 안정성 및 STM 이미지에 대한 제1원칙 연구
  4. 계면층 설계를 통한 ZnO 필름의 표면 형태 및 특성 조정
  5. Ge (100), (110) 및 (111) 기판에 SrGe2 박막 제작
  6. 원자력 현미경으로 얇은 폴리스티렌 필름의 접착력 및 유리 전이 연구
  7. 수성 전해질에서 대칭 슈퍼커패시터로서의 탄소 나노섬유 및 활성탄 연구:비교 연구
  8. ITO/PtRh:PtRh 박막 열전대의 준비 및 열전 특성
  9. 이중층/삼중층 광대역 SiO2 반사 방지 필름의 단면 형태에 대한 TEM 및 STEM 연구
  10. 천연 및 합성 나노물질의 전기화학적, 생의학적, 열적 특성의 비교 연구